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저가 제품 선호와 오프라인 강세, 캄보디아 안경 시장의 트렌드
  • 트렌드
  • 캄보디아
  • 프놈펜무역관 오승준
  • 2024-11-11
  • 출처 : KOTRA

인구의 고령화 및 스크린 사용률 증가로 안경 및 렌즈 수요 증가

오프라인 매장 증가세, 진출 시 타겟 고객별 맞춤형 전략 필요

캄보디아 안경 시장 트렌드


독일 데이터 전문 기관인 Statista에 따르면, 캄보디아의 총인구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2029년 약 1806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아시아개발은행(ADB)은 비록 캄보디아는 인근국 대비 급속한 노령화에 직면하지는 않았지만, 인구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더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관련하여 최근 캄보디아 보건부에서는 2025년에 60세 노년 인구가 150만 명에 달하고 2050년에는 두 배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캄보디아 인구가 전반적으로 고령화되면서 안과 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나이가 들수록 시력 교정의 필요성이 커지고 복잡해지기 때문이다. 더불어 캄보디아의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캄보디아 청년층의 모바일 및 PC 등 스크린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안구 건강 관리 및 질병 예방에 대한 수요가 촉진되고 있다.


캄보디아 인구의 고령화 및 청년층의 안구 건강 관리 등의 요인으로 2023년 캄보디아 안경 산업의 총판매 수익은 9300만 달러로 2022년 대비 7.4% 증가했다. 그중 저가 제품의 판매가 전체의 95%를 차지했다. 더 나아가 2024년 총수익은 96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안경 산업 규모는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3.9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캄보디아 안경 시장의 주요 유통 품목


캄보디아 안경 시장에서는 시력 교정용 렌즈, 콘텐츠 렌즈, 안경테, 선글라스 등의 총 네 가지의 품목이 유통되고 있다. 특히, 시력 교정용 렌즈는 최근 캄보디아 청년층의 스크린 사용 시간 증가로 인해 시장 수익을 주도하고 있다. 2024년 시력 교정용 렌즈의 수익은 3983만 달러로 안경 산업 내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안경테(2776만 달러), 선글라스(2297만 달러), 콘택트렌즈(552만 달러)가 그 뒤를 잇는다.


<안경 제품별 수익 현황 및 전망>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수입에 의존하는 안경 및 렌즈


캄보디아는 안경 및 렌즈 관련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기반 시설이 열악하여 주로 수입에 의지하고 있다. 중국, 홍콩, 태국, 한국 등이 캄보디아에 시력 교정용 렌즈(HS 코드 9004.90) 및 선글라스(HS 코드 9004.10)를 주로 수출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이 해당 시장에서 61%의 점유율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국가별 對 캄보디아 시력 교정용 렌즈 및 선글라스 수출 비중>

(단위: %)

[자료: ITC Trademap]


한편, 안경테(HS Code 9003)의 경우 2023년 기준 중국이 對 캄보디아 최대 수출국으로 총 62%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뒤이어 일본 15%, 이탈리아 7%, 말레이시아 6% 순으로 시장 점유율을 기록했다.


<2023년 국가별 對캄보디아 안경테 수출 비중>


[자료: ITC Trademap]


캄보디아 안경 시장 내 품목별 유통가격


지난 6년 동안 시력 교정용 렌즈와 안경테의 가격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시력 교정용 렌즈의 단가는 2018년 26달러에서 2023년 31달러로 약 19% 증가했으며, 안경테의 단가 역시 동 기간 약 17% 상승했다.


<안경 품목별 단가 현황 및 전망>
(단위: US$)

[자료: Statista]


유통 채널: 온라인 VS 오프라인


팬데믹의 영향으로 2020년 온라인 판매 채널의 시장 점유율이 크게 증가했지만, 엔데믹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온라인 판매 채널의 시장 점유율은 2017년 7.8%에서 2020년 21.6%로 크게 증가했지만 2023년 15.4%로 감소했다. 온라인 판매 채널의 시장 점유율은 향후 계속 감소하여 오프라인 매장 판매가 앞으로도 안경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프라인/온라인 점유율 현황 및 전망>
(단위: %)

[자료: Statista]


캄보디아에서 안경 및 렌즈를 판매하는 주요 소매점은 브랜드숍, 전문 안과 의료 센터, 전통 안경원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한편, 캄보디아 내 안경 및 렌즈는 다수의 중소형 업체로 분산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분산 구조의 현지 중소형 업체 중심으로 캄보디아 안경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캄보디아 주요 안경 및 렌즈 소매점 현황>

(단위: 개)

업체명

점포 수

사진

EYE CARE Optics

14

OWNDAYS Cambodia

8

Paris Optics

7

Grand Optics

6

E-Optics Cambodia

5

Phnom Penh Optics

5

Modern Optics

6

[자료: 업체별 홈페이지 및 KOTRA 프놈펜 무역관 촬영]


이 외에도 프놈펜에는 Korea Seoul Optics, Sun Heng Optics Premium, VC Optics, Phnom Penh Pich Optics, Mega Optical, Phom Optics, V Care Optics, SP Optics, Seanghai Optics, PL Optics Care, Eye Optical Shop 등 다양한 소형 안경 및 렌즈 판매점이 있다. 더불어 2024년에는 일본의 유명한 안과 렌즈 기술의 선도 기업인 HOYA Lens가 현지 파트너사인 Visioncare Corporation Ltd와 함께 공식 출범을 발표했다.


캄보디아 진출 안경 및 렌즈 기업과의 인터뷰


캄보디아의 안경 산업의 트렌드를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캄보디아에 성공적으로 진출한 프랑스 기업 Horizon Optics Cambodia의 창업자 겸 경영책임자인 Virginie HUYNH KIM LAN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Q1) Horizon Optics Cambodia에 대해 간략히 소개 부탁드린다.

A1) Horizon Optics는 프랑스 명품 안경 매장으로, 캄보디아 시장에 독점적인 고급 브랜드와 전문 안경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프놈펜에서 안경, 선글라스, 콘택트렌즈 등 고품질 제품을 선보이고 있으며, 프랑스 표준의 세심한 서비스와 패션 트렌드를 결합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Q2) 캄보디아 안경 산업의 최신 동향에 대해 설명 부탁드린다.
A2) 캄보디아의 경제 성장과 중산층의 부상으로 명품 및 고급 안경 브랜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늘어나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근시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어, 눈 건강 보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해당 요인으로 향후 캄보디아의 안경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품질 높은 안경 및 렌즈 제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Q3) 경쟁사 대비 Horizon Optics만의 차별화 요인은 무엇인지 설명 부탁드린다.

A3) Horizon Optics는 캄보디아에서 독점적으로 Moscot, Roussilhe, Lafont, Nathalie Blanc Paris와 같은 글로벌 명품 안경 브랜드를 취급하는 유일한 매장이다. 더불어 전문 검안사인 Dr. Azmat Khan을 통해 고객의 시력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고품질 시력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더불어 Essilor, Shamir와 같은 최신 고급 렌즈를 제공하고 있고, 최근에는 Acuvue Max 콘택트렌즈를 캄보디아에서 처음으로 선보였다.


Q4) 캄보디아에서 매장을 추가 확장할 계획이 있다면 설명 부탁드립니다.
A4) Horizon Optics는 캄보디아의 성장하는 안경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향후 프놈펜 주요 쇼핑몰 및 시엠립, 시아누크빌 등의 지역에 추가 매장을 오픈할 계획이다. 특히, 최근에 관광객들의 명품 안경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매장 확장을 통해 이를 충족할 예정이다. 더불어 캄보디아 내 전문 안경사 양성을 위한 교육 기관이 없는 현실을 고려해, 캄보디아 최초의 검안 아카데미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이에, 캄보디아 안경 시장에 관심이 있는 잠재 투자자와의 협력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


Q5) 마지막으로 캄보디아 안경 산업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한 Horizon Optics의 전략에 대해 설명 부탁드린다.
A5) 2022~2023년 Horizon Optics는 프놈펜을 방문하여 시장 조사를 실시한 결과, 양질의 안경 서비스와 제품을 찾기 어려운 현지 시장의 한계를 발견했다. 이에, Horizon Optics는 캄보디아에서 최초로 검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명품 안경 매장으로 자리 잡는 것을 목표로 두고 진출했다.


캄보디아 시장에 진출한 이후 우선, 전문 검안사를 보유한 유일한 플래그십 스토어로서 차별화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다음으로 소셜 미디어를 통해 타겟 고객층 대상으로 고급 브랜드 제품을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공공 및 민간 기업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이동식 검안 서비스(Optical Mobile Unit)를 통해 캄보디아 근로자에게 찾아가는 시력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Horizon Optics Cambodia 인터뷰 사진>

[자료: KOTRA 프놈펜 무역관 촬영]


시사점


캄보디아 안경 시장은 인구 증가와 고령화, 젊은 세대의 스크린 사용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현재 캄보디아 안경 시장은 가격 중심의 구매 성향을 반영하여 저가 제품이 시장 점유율의 9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산 제품이 가장 큰 비중으로 수입되고 있다. 즉, 캄보디아 경제 여건상 안경 시장이 가격 경쟁력에 민감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더불어 엔데믹 이후 오프라인 매장 점유율의 증가세는 캄보디아 소비자가 안경 구매 시 직접적인 제품 확인 및 맞춤형 서비스를 선호한다는 것을 반영한다. 캄보디아 안경 시장 진출을 고려할 경우 타겟 고객층에 따라 가격 경쟁력을 갖추면서도 소비자에게 직접 다가가며 서비스 품질을 높이는 등 현지 상황에 맞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자료: Statista, 아시아개발은행(ADB), 캄보디아 보건부, Horizon Optics Cambodia 인터뷰, KOTRA 프놈펜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저가 제품 선호와 오프라인 강세, 캄보디아 안경 시장의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