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 참관기
  • 현장·인터뷰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2-06
  • 출처 : KOTRA

한-태 상공회의소 2025년 1월 16일 ‘2025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 개최

2024년 태국 경제, 관광업 회복과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세

태국 정부 2025년 GDP 성장률 3% 이상을 목표로 추가적인 정책 계획 중, 내수경제 강화와 투자 유치에 중점

행사 개요


한-태 상공회의소는 2025년 1월 16일 태국 및 글로벌 경제의 주요 트렌드, 도전 과제, 기회를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25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2025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 개요>

행사명

2025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

일시

2025년 1월 16일(목) 13:00~15:10

장소

Carlton Hotel Bangkok Sukumvit

주최

한태 상공회의소

발표 주제 

및 연사

<Market Update 2025: Challenges & Opportunities>

Mr. Skul Boondiskulchok (부사장, 방콕은행)

<Thailand Economic Outlook 2025>
박은정 재경관, 주태국한국대사관

[자료: KOTRA 방콕 무역관]


행사 사진

 

<2025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

[자료: KOTRA 방콕 무역관 자체 촬영]

 

2024 태국 경제 동향

 

세미나의 첫 세션은 태국 방콕은행(Bangkok Bank Plc.) 부사장인 Skul Boondiskulchok 연사가 ‘태국 경제 성장 및 전망(Economic growth and projection)’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2024년 태국 경제는 관광업 회복과 정부의 경기 부양책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다. 주요기관들은 2024년 경제성장률을 2.6~8%로 전망했으며, 2025년에는 2.3~3.3% 사이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연사는 2024~2025년 신흥 시장 및 개발도상국의 평균 경제 성장률이 4.2%인 것을 고려했을 때 태국의 경제성장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연사는 미 연준이 오는 1월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90%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으며(세미나는 1월 중순 진행, 1월 30일 미 연준은 금리를 4.5%로 동결하기로 결정함), 미 연준의 금리 인하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사항 네 가지를 아래와 같이 꼽았다.


1. 재정 정책 : 트럼프 신정부의 정책(무역갈등, 관세 인상)은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음

2. 경제 성장 : 경제 지표가 성장 둔화 또는 침체 위험으로 나타나면 미 연준은 경기 부양을 위해 정책 금리를 인하할 수 있음

3. 노 : 표에 따라 션 및 기 측면을 고려하여 기준 를 조정할 수 있음

4. 지정학적 위험 : 지정학적 위험은 원자재 가격 상승을 이끌 수 있으며 인플레이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한편, 연사는 2025년 1월 2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으로 시작된 '트럼프 2.0'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강화로 태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보편 관세 도입, 대(對)중국 관세 인상 등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추진할 계획으로 알려져 있다. 연사는 이러한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는 태국을 포함한 신흥국의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태국의 주요 수출품인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이 미국의 관세 인상 대상이 될 경우 수출 감소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세계 및 개발도상국의 평균 경제 성장률 예상 전망치>

(단위: %)

World Economic Outlook, October 2024: Policy Pivot, Rising Threats

[자료: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 Bangkok Bank, 2024.10.]

 

 

2025 태국 경제 전망

 

두 번째 세션은 주태국한국대사관(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의 박은정 재경관 연사가 ‘2025년 태국 경제 전망(Thailand Economic Outlook 2025)’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박은정 재경관 연사 발표에 따르면, 2024년 태국 경제는 하반기 들어 정부 지출 확대와 수출 호조의 영향을 받아 성장 개선세가 두드러졌다. 박은정 재경관 연사는 “태국 정부는 2025년 GDP 성장률 3% 이상을 목표로 추가적인 정책을 계획 중이며, 특히 내수경제 강화와 투자 유치에 중점을 두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박은정 재경관 연사는 높은 가계 부채와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인구 고령화는 경제 성장에 부담으로 작용될 전망이며,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와 같은 대외 요인도 수출 중심 경제에 도전 과제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태국 전년 동기 대비 유형별 GDP 성장에 대한 기여도 전망치>

(단위: % YoY)

[자료: Bank of Thailand(BOT), 2024.10.]

 

2025년 경제 전망 우호요인

 

다음으로 박은정 재경관 연사는 ‘2025년 경제 전망의 우호요인’에 대해 발표했다. 박은정 재경관 연사 발표에 따르면, 예산 집행 정상화와 자본예산 급증에 힘입어 정부 투자가 확대될 전망이며, 물가 안정 및 디지털화폐 정책을 통한 가계의 소득 성장이 내수 확대로 이루어질 전망이다. 공공 투자 확대와 내수 확대 두 가지 측면은 2025년 태국 경제 성장을 이끌어 갈 것으로 보인다.


2025 회계연도에 따르면, 전체 예산은 지난해 대비 4.2% 증가한 3조7500억 바트로 책정됐으며, 자본예산은 26.5% 급증한 9100억 바트로 철도와 항구 등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가 민간 투자 촉진을 뒷받침하고 있다.


또한, 박은정 재경관 연사는 태국의 물가가 중앙은행의 관리 범위 내 하단 수준(0.3~1.3%)으로 안정될 것으로 보았으며, 만 16세 이상 국민에게 1만 바트의 디지털화폐를 지급하는 '디지털 지갑' 정책은 취약계층과 노년층의 소득을 증대시켜 내수 시장을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태국중앙은행(BOT)의 전년 동기 대비 태국 GDP 예측 추이>

(단위: % YoY)

[자료: Bank of Thailand(BOT), 2024.10.]

 

시사점

 

 2025 , , , ,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를 주최한 한태상공회의소 관계자 A 씨는 방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관광업 회복이 경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관광 수입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는 글로벌 경기 변동성에 취약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또한, 한태상공회의소의 관계자 A 씨는 "태국 정부의 인프라 투자 확대는 우리 기업에도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 "우리 기업은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철도, 항만,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의 협력 및 진출 방안을 모색해볼 수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태국 정부의 자본예산 확대와 디지털화폐 지급 정책은 내수 활성화와 민간 투자 유도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지만,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주변국과의 경쟁 심화는 수출 중심 경제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태국은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해 경제 다변화와 구조적 개혁, 그리고 글로벌 경제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적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



자료: International Monetary Fund(IMF), Bangkok Bank, Bank of Thailand,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 태국 경제 전망 세미나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