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바 정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30년까지 24% 달성 추진
  • 트렌드
  • 쿠바
  • 아바나무역관 유성준
  • 2024-11-26
  • 출처 : KOTRA

화석연료에너지가 95%를 점유하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확대정책 적극 추진

발전단가가 낮아진 태양광을 중심으로 에너지 정책 개편

쿠바는 국가 전력생산의 상당부분을 40년 이상 노후된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어 전력공급에 애로를 겪고 있다. 평상시 40% 이상의 전력공급 적자가 발생해 지역별 단전을 시행하고 있고, 화력발전소에 이상이 생겨 국가 전체의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특히 2024년에는 10월 화력발전설비 고장, 11월 태풍 라파엘 상륙으로 각각 3일간의 국가적인 정전이 발생해 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산업 생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쿠바 정부는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2014년부터 신재생에너지 도입 추진 중이나 아직 성과는 미비


2014년 6월 21일, 쿠바 정부는 ‘재생 가능 자원의 잠재적 개발과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에 관한 정책’ 승인을 통해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4%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책수립 당시인 2014년 쿠바의 신재생에너지 전력비중은 4.3%를 기록했고, 2년 후에는 4.65%를 달성했다. 하지만 10년이 경과한 2024년, 신재생에너지 점유율은 0.4% 증가한 5%에 그치고 있다. 정부의 계획에도 불구하고 10년 동안 실제로 추진된 사업은 많지 않다. 에너지광업부 재생 에너지 담당국장은 2022년 2월 외신 Inter Press Service와의 인터뷰에서 정책 시행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 9월 비센테 데 라 오 레비 에너지광업부(MINEM) 장관은  미국의 경제재제, 외환부족 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화력발전 위주의 전력발전 체계를 신재생 에너지원에 기반한 에너지 매트릭스로 전환하기 위해 종합 전략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장관은 쿠바가 태양광 300MW, 풍력 11.4MW, 소수력 발전소 3MW, 바이오매스 62MW, 축산용 태양열 펌프 2000대 이상, 농가 주택의 바이오 소화기 3000대 이상, 전기 자동차 1000대 이상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2024년 9월에 발표된 쿠바의 에너지 전환 국가 전략을 통해 쿠바 정부는 2026년까지 전력 생산량의 17%를, 2030년까지 24%를 청정 에너지로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점유율 100%를 목표로 제시하고 있다. 


<쿠바의 2050까지의 에너지전환 목표>

[자료: 쿠바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국가 전략, 2024년 9월]


태양광 중심의 신재생에너지 발전전략 추진


OECD 산하기관인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2년 쿠바의 신재생에너지원 비중은 태양광 54.7% (198 GWh), 수력 33.1%(120 GWh), 풍력 12.2%(44 GWh) 순으로 나타났다. 태양광은 2011년부터 비중이 급격하게 확대되었는데 태양광 패널 생산단가 인하에 따라 발전비용이 낮아진 것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쿠바 신재생에너지원별 점유율 추이>

[자료: 국제에너지기구]


2023년 기준 쿠바에는 207MW의 전력을 생산하는 70개의 태양광 발전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총 48MW 규모의 12곳의 신규 발전소가 건설 중이다. 이는 연간 8억9000만톤 가량의 화석연료 대체효과를 거두고 있다. 학교, 종합병원, 원격지 주택, 일반 가정 등에 설치된 독립형 태양광 패널 시스템은 2만4081 곳으로 집계된다. 쿠바의 태양광 발전 잠재력은 하루에 평방미터당 5KWh수준이다.


<2023 쿠바 태양광 발전현황>


[자료: 에너지광업부 (MINEM)]


쿠바 정부는 태양광 에너지 확대를 전략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첫 번째 프로젝트로, 에너지광업부는 2024년에 총 220MW규모의 10개의 발전소를 설치하고, 2025~2026년에 걸쳐 전국 모든 주에 총 46개의 태양광발전소를 건설해 1000MW의 신규 발전용량을 확보하고 2031년에 1000MW를 추가로 확보하는 계획을 갖고 있다. 다만 세부적인 재원조달 방식, 개발 방식은 공개되지 않았다.


외투기업의 태양광 발전소를 국가전력체계에 편입하는 구조로 점유율 확대


쿠바정부는 외투기업과의 계약체결을 통해 태양광 발전전력을 국가 전력에 편입시킨다. 대표적인 사업으로 마리엘 경제특구에 건설돼 운영 중인 두 개의 발전소가 있다.


1) 마리엘 태양광 발전소

2019년 영국 찰스 황태자가 참석한 기공식을 통해 착공한 발전소로, 118헥타르 면적에 62MW 의 발전규모를 보유하고 있다. 쿠바의 산업 허브 중 하나인 마리엘 특별경제개발구역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 이 발전소는 영국 회사인 하이브 에너지(Hive Energy)와 중국 상하이 전기공사가 공동으로 건설했다. 총 투자비로 4500만 파운드가 소요됐으며 쿠바 정부가 운영사인 Mariel Solar에 전기료를 납부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운영사에 따르면 쿠바 정부는 이를 통해 2000만 달러를 절약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마리엘 태양광 발전소 설치모습>

[자료 : Mariel Solar 사 홈페이지]


2) 타이 빈 태양광 발전소

베트남 기업 타이 빈(Thai Binh) 그린 파워 투자 공사가 마리엘 특별 개발 구역에 설치한 발전소로, 면적은 33.6헥타르이며  23MW 규모의  용량을 가지고 있다. 2023년 운영을 시작했으며 쿠바 국가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한다. 연간 1만 톤의 화석연료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타이 빈 발전소 모습>


[자료 : energia-renovables.com]


쿠바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 과제와 시사점


텍사스 대학교의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에너지 프로그램 책임자인 호르헤 피뇽(Jorge Piñon)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쿠바는 자원 부족 문제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관리 문제도 안고 있다고 언급했다. 한 예로 중국의 자금과 기술로 10년 넘게 개발 중인 푸에르토 파드레의 라 에라두라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의 경우 풍력발전기와 블레이드는 2008년에 도착했지만 아직 설치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사례는 중국 기업이 건설한 시로 레돈도 바이오매스 발전소 프로젝트로, 1억8600만 달러가 투자돼 65MW를 생산할 계획이었지만 쿠바의 사탕수수 생산 감소로 투입원료가 줄어들어 사업이 중단됐다고 지적했다.


미국 콜롬비아 대학교 로스쿨이 운영하는 쿠바 연구 인터넷사이트인 오리존테 쿠바노(Horizonte Cubano)에 따르면, 쿠바 정부의 계획에 따라 재생 에너지를 설치하려면 약 90억에서 100억 달러가 투자돼야 한다. 하지만 쿠바 정부의 재원과 시기별 계획이 구체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 비센테 데 라 오 장관이 쿠바 공식 언론에 밝힌 바에 따르면, 앞서 밝힌 200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설치는 '신용 대출이 아닌 국가 자원으로 비용을 지불하는 계약'이다. 그러나 프로젝트의 실행과 관련된 비용이나 자세한 일정은 공개되지 않고 있다.


쿠바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 방법으로는 현지 투자를 통해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고 쿠바 정부로부터 전력 판매 비용을 받는 것이 가장 유력하다. 다만 쿠바가 미국 제재로 금융거래가 쉽지 않은 만큼 과실송금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쿠바 국가전력망과의 연결이 용이하고 정부의 프로젝트 추진 의지가 확실한 사업지를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폐태양광패널 처리에 필요한 기술전수 사업 역시 유망하다. 쿠바 정부 관계자는 KOTRA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이미 쿠바에는 400만개 이상의 태양광패널이 운영 중이고,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돼 10년이 경과한 태양광 패널도 많이 있다"며 "앞으로 태양광패널 재처리가 중요한 과제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KOTRA의 초청으로 방한했을 당시 관련 기술을 가진 한국기업을 방문한 바 있다"며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가 있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쿠바 경제 특성상 우리기업의 단독 참여보다는 ODA, KSP 등 양국간 협력사업을 통해 리스크를 완화하고 장기적인 사업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료 : 관영매체 Cubadebate, 쿠바에너지광업부(MINEM) 에너지전환국가전략, 미국 콜럼비아대학 로스쿨 Horizonte Cubano, Mariel Solar 사 홈페이지, KOTRA 아바나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바 정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2030년까지 24% 달성 추진)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