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프린터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정윤재
- 2024-07-02
- 출처 : KOTRA
-
인도네시아 프린터 시장 규모는 성장 추세
오프라인 판매 비율이 높지만 향후에는 온라인 판매도 증가할 것으로 보임
프린터의 HS 코드는 8443.32이며 해당 HS 코드는 자동 데이터 처리 기기나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는 기타 인쇄 기계로 분류된다. 해당 HS 코드 아래에는 여러 종류의 프린터가 포함되어 있다.
<HS 코드 844332 하위 품목>
HS 코드
설명
8443.32.11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컬러
8443.32.19
도트 매트릭스 프린터, 기타
8443.32.21
잉크 젯 프린터, 컬러
8443.32.29
잉크 젯 프린터, 기타
8443.32.31
레이저 프린터, 컬러
8443.32.39
레이저 프린터, 기타
8443.32.40
팩시밀리 기기
8443.32.50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인쇄 배선 기판 제조용 스크린 인쇄 기계
8443.32.60
플로터
8443.32.90
기타 인쇄 기기, 컬러, 데이터 기기/네트워크 연결 가능
[자료: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인도네시아 시장 규모 및 동향
인도네시아 프린터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는 매출 성장과 그에 대한 전망치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 내 프린터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고, 전망치도 지속적인 상승 추세를 보인다는 측면에서 향후에도 인도네시아 프린터 시장은 긍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인도네시아 프린터·복사기 매출액 및 전망치>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2024.3.]
<인도네시아 프린터·복사기 판매량 및 전망치>
(단위: 백만 대)
[자료: Statista 2024.3.]
2023년 인도네시아의 프린터·복사기 매출은 약 2억 280만 달러로, 이는 전 세계 프린터 시장에서 8위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2019년 인도네시아는 전체 11위에 불과하였으나, 5년 만에 8위로 상승하며 세계 10대 프린터 시장에 진입하였다. 2019년 대비 2023년 인도네시아 시장 매출액은 13% 증가하였다. 매출 규모 증가의 절대적인 수치는 크지 않지만, 2023년 기준 상위 10개 국가와 비교해보면 이야기가 다르다. 2019년 대비 2023년 프린터·복사기 매출액이 증가한 국가는 중국, 브라질, 인도, 멕시코 정도이며, 이들의 증가율은 인도네시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통계는 인도네시아 프린터·복사기 시장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전세계 프린터·복사기 매출액 순위>
(단위: US$ 백만, 2023년 기준 내림차순)
순위
국가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증감률
(2019년 대비 2023년 매출액 증감률)
1
중국
2,183
2,433
2,529
2,249
2,288
5%
2
미국
1,370
1,507
1,515
1,332
1,355
-1%
3
독일
544
597
604
533
537
-1%
4
브라질
468
522
530
474
483
3%
5
인도
421
484
500
437
446
6%
6
일본
394
423
423
372
377
-4%
7
멕시코
267
305
302
272
277
4%
8
인도네시아
179
208
219
196
202
13%
9
캐나다
197
218
220
194
197
0%
10
영국
195
211
207
181
180
-8%
[자료: Statista 2024.3.]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 동향
2023년 인도네시아의 프린터 수입 규모는 1억 3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2% 증가하였다. 주요 수입국은 중국, 싱가포르, 필리핀, 일본, 베트남 순이다. 특히 중국은 2023년 기준 인도네시아 프린터 수입액의 44.1%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2023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3만 달러로 전년 대비 48% 감소하였으며, 전체 인도네시아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작다. 한국은 2023년 수입국 순위에서 17위를 기록하였다.
<주요 수입국 현황(HS 코드 8443.32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2021년
2022년
2023년
점유율
증감률
-
전체
82
117
131
100
11.8
1
중국
35
50
57
44.1
15.6
2
싱가포르
13
15
22
16.9
40.6
3
필리핀
13
19
19
14.6
-0.4
4
일본
3.6
4.7
9.4
7.2
97.0
5
베트남
5.6
10
5.8
4.4
-46.1
6
태국
3.2
2.4
3.1
2.3
24.9
7
독일
0.7
2.1
2.8
2.1
34.2
8
이탈리아
1.3
2.2
2.4
1.8
9.8
9
미국
0.9
2.1
2.4
1.8
12.9
10
대만
0.3
0.8
1.0
0.7
14.8
17
대한민국
0.2
0.4
0.2
0.2
-43.8
[자료: IHS Markit 2024.6.]
경쟁동향
인도네시아에서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다. 캐논, HP, EPSON 등 여러 기업이 인도네시아 시장에 진출해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인도네시아의 해당 품목 수입의 절반이 중국에서 이루어지지만, 인도네시아에서 경쟁하는 주요 기업들은 미국 브랜드라는 사실이다. 이는 이들 브랜드의 제조 공장이 주로 중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프린터 기업>
기업
Canon
- 소재지: 자카르타
- 판매 제품: 프린터, 프린터 잉크, 카메라, 비디오카메라, 스캐너
HP
- 소재지: 자카르타
- 판매 제품: 프린터, 복사기, 프린터 잉크, PC, 노트북, 모니터, 컴퓨터 부품
Epson
- 소재지: 자카르타
- 판매 제품: 프린터, 프로젝터, 스캐너, 산업용 로봇
Brother
- 소재지: 자카르타
- 판매 제품: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재봉틀
Casio
- 소재지: 자카르타
- 판매 제품: 프린터, 시계, 전자 악기, 계산기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유통구조
Statista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프린터 및 복사기 유통 채널에서 오프라인 판매는 여전히 71.5%의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전자 상점과 사무용품 상점에서 대부분의 프린터가 판매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3년 기준 온라인 판매 비중은 28.5%로, 2018년 온라인 유통 비중이 9.6%에 불과했던 것을 고려하면 지난 6년간 그 비중이 크게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몇 년 동안 온라인 판매는 계속 성장하여 2025년 이후에는 전체 판매의 3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인도네시아 프린터 공급은 간단하다. 생산된 제품은 유통업체(전자 상점, 사무용품 상점 등)를 통해 소비자(개인, 상업, 비즈니스 등)에게 전달된다.
<온라인·오프라인 프린터 판매 비중>
[자료: Statista 2024.3.]
관세율 및 인증
서두에 언급한 HS 코드 8443.32 및 그 하위 코드에 해당하는 품목들은 한-아세안 FTA, RCEP, 한-인니 자유무역협정(CEPA)을 활용하면 관세율이 0%로 적용된다. 또한, 해당 품목들은 인도네시아 국가 표준 규격 인증(Standar Nasional Indonesia, 이하 SNI) 강제 인증 의무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시사점
위의 데이터와 설명을 바탕으로 프린터 시장은 예상되는 수익 증가와 판매량 증가를 고려할 때 상당히 매력적이다. 브랜드 비교를 통해 글로벌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레이저 프린터 시장에서 한국의 삼성전자가 4위를 차지하고 있어, 한국 기업이 이 시장에서 점차 입지를 넓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도네시아의 프린터 수입 금액은 전체적으로 느리게 성장하고 있지만, 같은 기간 다른 국가들과 매출액 성장률을 비교하면 결코 부진하지 않다. 더욱이 인도네시아 시장의 규모가 세계 4위권에 속하며, 중위 연령이 29.9세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인도네시아 프린터 시장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자료: Statista, IHS Markit,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프린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2
2024년 인도네시아 기초금속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24
-
3
2024년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10
-
4
2021년 인도네시아 소비재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5
2021년 인도네시아 기계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6
2021 인도네시아 건설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07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