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전시, 중국 최초로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 안전규범 발표
- 통상·규제
- 중국
- 선전무역관
- 2024-10-30
- 출처 : KOTRA
-
신에너지차가 주차되는 지하주차장에 대해 소방안전, 화재위험, 응급 처지 등 기술적 요구 제시
선전시, 중국 최대 신에너지차 생산 도시로서 관련 규범 수립 주도
11월 1일부터 중국 최초로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 안전관리규범 실시
9월 17일, 선전시시장감독관리국(深圳市市场监督管理局)은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 소방안전관리규범(新能源汽车地下停放场所消防安全管理规范)>을 발표했다. 이번 규범은 오는 11월 1일부터 정식 시행될 예정이다. 이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발표된 신에너지차의 지하주차장 소방관리 규범이다. 해당 규범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강제성 조치는 아니지만 지하 및 반지하 주차장에 신에너지차의 주차장소를 신설, 리모델링, 확장 등을 할 때 참고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 소방안전관리규범>
[자료: 선전시시장감독관리국]
이번 규범은 △소방 및 충전시설에 대한 기술 요구 △소방안전 책임에 대한 요구 △제도 및 관리에 대한 요구 △화재위험 관리에 대한 요구 △화재 진압 및 응급 대피 예방 및 훈련 △ 응급 처치에 대한 요구 등이 포함돼 있다. 규범에 따르면, 신에너지차가 주차되는 지하시설에는 국가 및 지방정부가 금지한 기술 및 제품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이번 규범에서 눈에 띄는 것은 충전시설에 대한 기준이다. 중국정부는 신에너지차에 대한 소방안전관리 규정을 발표한 적은 있으나 지하주차장의 충전시설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선전시는 이러한 빈틈을 메우기 위해 이번 규범을 통해 지하주차장 충전시설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제시했다.
선전시시장감독관리국에 따르면, 11월 1일부터 신축, 리모델링, 확장되는 지하주차장의 경우 신에너지차 충전시설을 지하 1층과 2층에 배치해야 하며 지하 4층 이하로 배치할 수 없다. 신에너지차가 주차되는 지하주차장은 충전구역과 주차구역으로 나뉘는데 두 구역은 반드시 동일한 방화구역에 있어야 한다. 국가, 성, 시별 관련 기준과 기술요구에 따라 충전규역을 그룹별로 구분해야 하는데, 충전구역 간에는 구분이 가능한 벽을 배치하거나 구역 간 간격이 6m 이상이어야 한다.
<규범 제5장: 소방 및 충전시설에 대한 기술 요구>
5.1
건물의 방화 및 소방시설
5.1.1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의 총 평면 배치 및 평면 배치, 방화 분리 및 건축 구조, 방화 단위는 국가 기준에 부합해야 한다.
5.1.2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은 관련 국가, 성, 시 표준 및 기술 요구 사항에 따라 소방 시설 및 장비를 설치해야 하며, 현장의 실제 상황에 따라 자동 소화 또는 미세 분무 소화 시스템의 설치를 강화할 수 있다.
5.1.3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은 충전구역과 주차구역으로 구분돼야 하며, 충전구역과 주차구역은 동일한 화재예방구역에 배치돼야 한다.
5.1.4
충전 구역은 지하 1층과 2층에 배치돼야 하며 지하 4층 이하에 배치돼서는 안 된다. 관련 국가, 성, 시 표준 및 기술 요구 사항에 따라 그룹별로 설정해야 하며 그룹 간 벽을 설치하거나 인접한 두 그룹 간의 간격은 6m 이상이어야 한다.
5.1.5
신에너지차 지하 주차장에는 관련 국가, 성, 시 표준 및 기술 요구 사항에 따라 소화기를 배치하고 위험 수준에 따라 A형, B형 및 E형 소화기를 배치해야 한다.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이 위치한 각 화재예방구역에는 45L 수기형소화기 또는 물형 분무 소화기가 2개 이상 있어야 한다. 소화기의 최대 분사가능거리는 30m다.
5.1.6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에는 전 구역에 영상 감시시스템을 설치해야 하며 영상 감시시스템은 소방관제실 또는 24시간 전담인력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해야 한다.
5.2
충전시설
5.2.1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에서는 급속 충전 시설을 사용해서는 안되며 충전시설의 최대 출력은 30kW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저출력 비차량용 충전기도 사용 가능하다.
5.2.2
충전 시설의 충전 시스템, 전력 공급 시스템 및 지원 시설은 관련 국가, 성 및 시 표준 및 기술 요구 사항에 따라 설계, 건설 및 승인돼야 한다.
5.3
로고 표시
소유자, 부동산 서비스업자 또는 충전소 운영 기업은 지하 또는 반지하 차고 입구의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신에너지차 충전 구역 및 주차 구역 안내 표지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신에너지차 전용 표지를 설치해야 하며 표지는 명확하고 선명해야 하며 관련 국가, 성 및 시 표준 및 기술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자료: 선전시시장감독관리국]
선전시, 2023년 중국 신에너지차 생산량 1위
선전시는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기업 BYD 본사가 소재한 중국의 대표적인 혁신도시다. 선전시인민정부에 따르면, 2024년 6월까지 선전시의 자동차 보유량은 426만 3천 대이며 이 중 25.3%가 넘는 108만 대가 신에너지차다. 2024년 상반기 선전시에서 판매된 신에너지차는 10만 9천대에 달한다. 상반기 기준 선전시의 신에너지차 침투율은 72.6%다. 즉 판매된 차량 100대 중 약 73대가 신에너지차다.
2023년 선전시의 신에너지차 생산량은 173만 대로 2022년과 2021년 각각 1위를 했던 상하이시(上海市)와 시안시(西安市)를 뛰어 넘었다. 2023년 상하이시는 신에너지차 128만 6,800대를, 시안시는 신에너지차 98만 3,800대를 생산했다. 3개 도시의 생산량을 합치면 중국 전체 신에너지차 생산량의 40%가 넘는다.
선전시는 신에너지차 보급을 위해 충전 인프라 확충에 집중했다. 2024년 9월 4일 기준 선전시에는 550개 초고속 충전소와 37만개 충전기기가 설치돼 있다. 선전시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신에너지차 충전소 수가 주유소 수를 넘어선 지역이다. 선전시는 충전소 개수만 늘리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의 이용편의를 위해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신에너지차 이용자는 선전시 정보제공 어플리케이션 ‘i선전’을 통해 주변에 있는 충전소 위치부터 충전소 개수, 충전소 이용현황, 비용 등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i선전 어플리케이션 내 신에너지차 주차장 검색 화면>
[화면: i선전]
중국(선전)종합개발연구원(中国(深圳)综合开发研究院)에 따르면 현재 전세계에 등록된 신에너지차 브랜드는 400여 개에 달하지만 흑자를 내는 곳은 많지 않다. 특히 신에너지차 시장은 여전히 초기 발전 단계에 불과해 향후 3~5년 간 생산능력이 부족한 기업이 합병과 파산을 거쳐 시장이 전체적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중에서도 선전은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기업인 BYD를 선두로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돼 있어 원가통제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선전시에는 신에너지차 완성차, 충전설비, 핵심부품 등 신에너지차 관련 기업이 2만 4천여 개 있다.
신에너지차 관련 안전규범 확립에 따라 기술 수준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선전시가 중국에서 처음으로 신에너지차의 지하주차장 안전규범을 내놓으면서 이번 규범이 향후 다른 도시가 발표할 안전관리 규범의 기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선전시는 올해 4월 <전기자동차 슈퍼차저(Super Charger) 충전설비 등급평가 규범(电动汽车超级充电设备分级评价规范)>을 중국에서 최초로 발표한 바 있다. 선전시는 규범을 통해 슈퍼차저 충전설비에 대해 서비스, 효율, 안정성, 정보안전, 정비 가능성 등 5개 지표를 A, B, C 3개 등급으로 나눠 평가하는 체계를 제시했다.
앞으로 중국의 다른 지역에서도 전기차 주차장 안전규범 제정이 이어지면, 지하주차장 안전관리 강화, 충전시설 안전성과 관련된 제품과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소방설비 기업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자료: 선전시시장감독관리국, 선전시인민정부, 중국(선전)종합개발연구원, i선전, KOTRA 선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선전시, 중국 최초로 신에너지차 지하주차장 안전규범 발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