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중국
  • 광저우무역관
  • 2024-12-17
  • 출처 : KOTRA

환경친화적 풍력발전 산업으로 에너지 시장을 선도하는 중국

산업 개요


풍력발전은 바람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로, 풍력 발전기와 같은 장치를 통해 풍력을 기계 에너지로 전환한 후, 이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풍력발전은 환경에 부담이 적은 재생 에너지 활용 방식 중 하나로, 설비 구축에 긴 시간이 소요되지 않고, 운영 및 유지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장점이 있다.


<풍력발전의 특징>

특징

설명

청정·환경보호

오염물질 및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로 환경친화적

재생 가능

바람은 고갈되지 않는 자원으로,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공급 가능

신속한 설비 구축

설비 구축 기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에너지 수요에 신속한 대응 가능

낮은 유지 비용

장비 및 기술의 발전으로 운영 및 유지 비용 감소

가변성

바람의 세기와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전력 생산량이 일정하지 않음

지역적 제한 및 소음 문제

바람이 강한 특정 지역에만 구축이 가능하며, 발전 설비 가동 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음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정책 및 규제


최근 중국 정부는 《’천향만촌 풍력 추진 행동(千乡万村驭风行动)’에 관한 통지》,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축 관련 중앙 예산 투자 관리 방법》, 《전력 공급망 조정, 에너지 저장 및 스마트 조정 능력 강화를 위한 지침》, 《풍력발전 및 태양광 설비 재활용에 관한 지침》 등의 정책을 발표했다. 해당 정책들은 다양한 정부 지원을 통해 풍력발전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중국의 에너지 전환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풍력발전 관련 주요 정책>

시기

정책명

주요 내용

2024.03

《’천향만촌 풍력 추진 행동(千乡万村驭风行动)’에 관한 통지》

ㅇ 중소도시에서도 자체 개발 및 활용이 가능한 풍력 발전 프로젝트 중점 추진

2024.03

《에너지 절약 및 탄소 감축 관련

중앙 예산 투자 관리 방법》

ㅇ 국가 “도시 광산(城市矿产)” 시범기지 및 자원 순환 이용 기지 등 인프라 개선

ㅇ 대규모 재활용·친환경 분류센터 건설 지원을 통해, 폐철강, 폐비철금속,폐자동차, 폐배터리, 폐가전·전자제품, 폐풍력·태양광 설비 등 폐기물 순환 이용 촉진

2024.01

《전력 공급망 조정, 에너지 저장 및 스마트 조정 능력 강화를 위한 지침》

ㅇ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건설을 추진

ㅇ 스마트 통합제어 기술 적용을 통해, 풍력발전-태양광발전-에너지저장 상호 연결 강화

2023.08

《풍력발전 및 태양광 설비 재활용에 관한 지침》

2025년까지 노후화된 풍력·태양광 설비 개선 프로젝트 실시

ㅇ 2030년까지 전력발전 순환 이용 기술 개선, 자원 순환 모델 고도화 등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최신 동향 및 주요 이슈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이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면서 풍력발전 설비 규모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중국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 통계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풍력발전 신규 설비 규모는 7937만kW이며, 누적 설비 규모는 4억4134만kW에 달했다. 2024년 1월부터 6월까지 중국의 풍력발전 신규 설비 규모는 2584만kW로, 전체 설비 규모는 4억6671만kW까지 증가했다.


<중국 풍력발전 신규 설비 규모(2019~2024년 상반기)>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 풍력발전 누적 설비 규모(2019~2024년 상반기)>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의 풍력발전 설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육상 풍력 설비이다. 육상 풍력 설비의 전체 규모는 4억3690만kW로 전체 전력 발전 규모의 92.1%를 차지하고 있다. 해상 풍력 설비 규모는 3770만kW로, 전체의 7.9%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23년 중국 풍력발전 설비 비중>

[자료 :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2023년 중국에 신규 구축된 풍력발전 설비 중 화북 지역이 34.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다음으로 서북이 27.5%, 화남과 동북이 각각 15.8%, 9.9%를 차지했다.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풍력발전은 주로 삼북지역에 설치됐으며, 전체 신규 설비 중 72%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중국 지역별 신규 풍력발전 설비 비중>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2024년 초 중국 구이저우성, 간쑤성, 산둥성, 하이난성 등 14개 성·시 정부에서 풍력발전을 주요 건설 프로젝트로 발표했다. 발표에 포함된 풍력발전 프로젝트는 총 614건이며 전체 건설 규모는 9만6192.03MW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4년 중국 성시별 풍력발전 설비 구축 현황(단위: MW)>

[자료: 국제풍력발전망(风电头条)]


2024년 10월 베이징에서 개최된 2024 CHINA WIND POWER(CWP2024) 전시에서 11곳의 중국 풍력발전 제조 기업이 홍보 부스를 통해 해상 및 육상 풍력발전 최신 기술 및 주요 신제품을 발표했다.


<CWP2024를 통해 공개된 신제품 리스트>

기업

제품명

단일기기 용량(MW)

로터직경

(m)

전력발전 종류

Goldwind

(金风科技)

Deep-Sea Flagship Product WH300-20(25)(新一代深远海旗舰产品)

20-25

300

해상

Onshore High-Performance Flagship Model GWH204 Ultra Series

(新一代路上高性能旗舰机型)

4~10

204

육상

Envision

(远景能源)

Model Z Pro Offshore Intelligent Wind Turbine Platform, First Unit EN-272/16.7MW(海上智能风机平台)

16.7

272

해상

Model T Pro Onshore Intelligent Wind Turbine Platform, First Unit EN-202/8.35MW(陆上智能风机平台)

8.35

202

육상

WINDEY

(运达股份)

16-18MW Floating "Sea Eagle" Wind Turbine Unit(16-18MW漂浮式“海鹰”机组)

16~18

-

해상

Medium-Voltage Doubly-Fed 10.X Series Platform Unit (10.5kV/1800V Electrical System)(新一代中压双馈10.X系列平台)

10.X

-

육상

Power to X Green Energy Transition Practice(Power to X绿色能源转型实践)

-

-

(관련기술)

S-Cloud Intelligent Energy Management System(S-Cloud智慧能源管理系统)

-

-

(관련기술)

ETS Electricity Trading Platform

(ETS电力交易平台)

-

-

(관련기술)

Mingyang

(明阳智能)

Flagship Floating Wind Power Platform "Mingyang Tiancheng" (明阳天成号)

16.6

-

해상

Mingyang Intelligent Innovative Scenario Solutions(明阳智能创新场景解决方案)

-

-

(관련기술)

DEC

(东方风电)

25MW Offshore Wind Powert(海上风电新品)

26

-

해상

In-Situ Direct Electrolysis Hydrogen Production Technology from Seawater

(海水无淡化原位直接电解制氢技术)

-

-

(관련기술)

"Eagle Eye" Intelligent Inspection System

(“鹰眼”智能巡检系统)

-

-

(관련기술)

SHANGHAI ELEETRIC

(电气风电)

Poseidon Platform 25MW Offshore Wind Turbine Unit(海上风电机组)

25

310

해상

Excellence Platform EW6.X-220 Ultra-Low Wind Speed Product(超低风俗产品)

6.X

220

육상

Excellence Platform 8MW-Class Large Wind Wheel(EW8.X-230)(大风轮产品)

8.X

230

육상

Overseas Customization: 5.X/6.X-172 Onshore Platform(陆上平台机组)

5.X/6.X

172

육상

Overseas Customization Onshore Platform(海外定制陆上平台)

5.X-9.X

-

육상

Overseas Customization Onshore Platform(海外定制陆上平台)

8~16

-

해상

[자료: CHINA WIND POWER(CWP) 위챗 공식 계정]


주요 기업 현황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중국의 전체 육상 풍력발전 규모 중 상위 5개 제조사의 시장 점유율은 약 60%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상위 5개 제조사는 Goldwind(金风科技), Envision(远景能源), Mingyang(明阳智能), WINDEY(运达股份), DEC (东方电气)였다.


한편,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중국의 해상 풍력발전 설비 시장 상위 5개 기업의 시장 점유율은 약 80%에 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상위 5개 기업은 SHANGHAI ELECTRIC(电气风电), Mingyang (明阳智能), Envision(远景能源), Goldwind (金风科技), CZ Wind (中国海装)였다. 


<중국 풍력발전 산업 밸류체인 주요 기업>

분류

업체명

블레이드

(叶片)

Sinoma Science&Technology(中材科技)

TMT(时代新材), Zhongfu Lianzhong(中复连众)

Mingyang(明阳智能), China Jushi(中国巨石)

타워

(塔筒)

Titan Wind(天顺风能), TSP(泰胜风能)

DAJIN HEAVY INDUSTRY(大金重工)

TNP(天能重工), HAILI WIND POWER (海力风电)

풍전주물

(风电件)

Tongyu Heavy Industry(通裕重工),SINOJIT(吉鑫科技)

Hongde Special Parts(宏德股份), Himile(豪迈科技)

Yeongguan Group(永冠集团), RIYUE(日月股份)

Guangda Special Caterial(广大特材)

발전기

(发电机)

Goldwind(金风科技),Mingyang(明阳智能)

CRRC Zhuzhou Electric(中车株洲)

메인 제어 시스템

(主控系统)

DEC(东方电气),XJ Group(许继电气),

NARI(国电南瑞),Inovance(汇川技术)

케이블

(电缆)

NBO(东方电缆),ZTT(中天科技)

Hengtong Group(亨通光电),TBEA(特变电工)

기어 박스(齿轮箱)

NGC(南高齿),WINERGY(威能极),DLJ(德力佳)

주축(主轴)

Tongyu Heavy Industry(通裕重工)

Guangda Special Caterial(广大特材, JINLEI(金雷股份)

풍력발전 설비 제조

(风力发电整机制造)

Goldwind(金风科技),Mingyang(明阳智能)

DEC(东方电气),Sany Renewable Energy(三一重能)

United Power(联合动力),SinoAzure(兴蓝风电)

Envision(远景能源),Shanghai Electric(电气风电)

CSSC(中船海装),CRRC(中国中车)

HeWind(华仪风能),WINDEY(远达股份)

발전 개발·건설

(风电开发建设)

China Huaneng(华能集团)

CGN(中广核), SPIC(国家电投)

유지·보수

(运营维护)

Goldwind(金风科技),Mingyang(明阳智能)

Envision(远景能源)

전력판매

(电力销售)

CHN Energy(国家能源集团)

CR Power(华润电力),China Datang(大唐集团)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풍력발전 산업 수출입 현황 


중국은 세계 최대 풍력발전 설비 수출국 중 하나이며, 우수한 기술력과 제품 퀄리티 대비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해 수출량이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중국은 다른 국가의 우수한 풍력발전 기술과 장비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중국 국내 풍력발전 기술 수준과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중국 풍력발전 산업 관련 주요 품목별 수입 동향> (단위: US$ 천)

품목

(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상반기)

발전기

(8502.31-00)

11,535

3,122

4,357

3,070

3,471

3,889

타워

(8503.00-30)

47,191

61,302

40,854

26,701

13,183

9,897

블레이드

(8412.90-90)

324,914

411,671

477,451

445,673

431,877

201,592

기어박스

(8483.40-90)

1,246,228

1,255,198

1,537,131

1,454,547

1,296,072

631,796

케이블

(8544.49-11)

237,126

221,908

265,498

247,478

232,711

115,115

[자료: 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


<중국 풍력발전 산업 관련 주요 품목별 수출 동향> (단위: US$ 천)

품목

(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상반기)

발전기

(8502.31-00)

949,451

1,109,388

1,436,677

997,361

700,280

617,796

타워

(8503.00-30)

2,332,762

1,869,026

3,306,260

2,733,208

2,678,445

1,377,192

블레이드

(8412.90-90)

1,794,771

1,925,553

2,246,935

2,096,994

1,829,862

948,086

기어박스

(8483.40-90)

2,307,868

2,357,946

2,960,789

3,084,885

2,938,750

1,459,163

케이블

(8544.49-11)

1,012,558

1,029,819

1,420,874

1,549,748

1,498,845

846,058

[자료: 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


한편, 풍력발전 관련 주요 품목들의 자세한 국가/지역별 교역 동향은 다음과 같다.

* 주: 순위는 2024년 상반기 기준


<2021~2024년 상반기 기어박스(8483.40-90) 교역 동향>

(단위: US$ 천)

연번

국가/지역

2021

2022

2023

2024 상반기

1

미국

740,692

644,467

554,473

238,056

2

독일

378,576

384,759

411,003

216,237

3

인도

188,416

278,451

401,870

182,351

4

일본

443,277

436,539

333,834

146,070

5

브라질

313,712

323,722

310,436

123,060

6

대만

404,542

320,978

206,073

108,718

7

러시아

71,080

82,671

167,916

103,340

8

이탈리아

185,204

193,395

153,540

94,351

9

스페인

92,511

105,599

67,350

51,579

10

프랑스

82,603

103,435

73,991

50,925

 

한국

85,653(12위)

106,212(9위)

136,055(9위)

43,259(13위)

[자료: 중국 해관총서(海关总)]


<2021~2024년 상반기 블레이드(8412.90-90) 교역 동향>

(단위: US$ 천)

국가/지역

2021

2022

2023

2024 상반기

1

독일

209,027

252,198

252,325

150,343

2

미국

262,338

244,666

244,601

111,371

3

일본

261,482

263,714

251,456

102,690

4

호주

129,999

167,986

169,826

86,148

5

핀란드

57,779

100,146

39,953

69,655

6

한국

124,513(7위)

143,647(5위)

115,461(7위)

58,256

7

프랑스

90,797

128,557

160,817

57,390

8

캐나다

49,830

104,468

60,076

44,063

9

인도

63,635

69,869

64,906

38,187

10

영국

30,048

42,367

120,277

33,487

[자료: 중국 해관총서(海关总)]


<2021~2024년 상반기 케이블(8544.49-11) 교역 동향>

(단위: US$ 천)

국가/지역

2021

2022

2023

2024 상반기

1

베트남

196,744

223,833

265,363

153,634

2

미국

89,121

194,595

168,968

101,459

3

필리핀

72,037

81,065

72,011

45,289

4

영국

88,600

84,191

84,905

44,668

5

독일

89,121

77,320

75,697

42,531

6

인도

29,672

34,653

43,805

35,465

7

멕시코

54,687

76,291

56,708

33,042

8

UAE

38,532

48,547

53,296

32,490

9

일본

79,639

77,316

62,452

27,447

10

호주

51,540

53,580

50,499

24,431

 

한국

32,016(14위)

36,989(12위)

27,281(16위)

15,357(16위)

[자료: 중국 해관총서(海关总)]


진출 전략


SWOT 분석

강점 (Strengths)

약점 (Weaknesses)

ㅇ 정책 지원: 정부 보조금, 세금 혜택 등 강력한 정책 지원

ㅇ 기술 발전: 대형 풍력터빈 및 해상풍력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경제성 향상

ㅇ 지속적 수요 증가: 글로벌 재생에너지 수요 증가로 풍력 시장 지속 성장

ㅇ 성숙한 산업 밸류체인: 원자재 공급부터 풍력 발전소 운영까지 완비된 산업 밸류체인

ㅇ 보조금 축소: 기술 성숙에 따라 정부 보조금 감소로 비용 상승

ㅇ 기술·운영 리스크: 해상 풍력 설비 유지보수를 위한 복잡한 기술
ㅇ 경쟁 심화: 육상 풍력 설비와의 가격 경쟁으로 수익성 저하
ㅇ 정책 의존성: 정책 변화에 대한 높은 의존도

기회 (Opportunities)

위협 (Threats)

ㅇ 신흥 시장 개척: 글로벌 청정에너지 수요 증가로 해외 시장 확장 기회

ㅇ 산업 체인 최적화: 산업 체인 통합 및 최적화로 효율성 향상, 비용 절감

ㅇ 기술 혁신: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대규모 생산으로 경쟁력 강화

ㅇ 녹색 에너지 전환: 세계적인 친환경 에너지 전환으로 장기적 성장 기대

ㅇ 정책 불확실성: 보조금 축소 등 정책 변화로 비용 상승 우려

ㅇ 경쟁 심화: 신규 진입자와 해외 대기업 증가로 시장 경쟁 심화
ㅇ 금융 조달 어려움: 높은 초기 투자 비용에 따른 금융 조달 리스크
ㅇ 환경·사회적 리스크: 풍력 발전소 건설로 인한 환경 훼손 및 사회적 반발


유망 분야


현재 중국 정부는 풍력발전 산업 중에서 해상 풍력을 주요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해상 풍력 자원이 풍부하며 연안 지역의 평균 풍속이 연간 7~8.5m/s 정도를 유지하고 있어, 대규모 해상 풍력발전 설비 건설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와 함께 심해 해상 풍력 기술이 발전하면서 해상 풍력발전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초고도 해발 지대 풍력 등 새로운 풍력발전 모델도 등장하고 있어 중국의 해상 풍력 산업은 발전 잠재력이 매우 크다.

 


시사점 및 전망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신재생에너지 기술이 발전하면서 중국 풍력발전 시장도 활발히 성장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정책 지원과 시장 수요의 결합으로 기술 혁신이 지속되면서, 단일 발전기당 생산 가능 전력 용량 역시 초기 수백 kW에서 현재 수 MW급으로 증대됐다. 이러한 발전을 통해 중국의 전체 전력 생산 규모가 대폭 증가했으며, 동시에 전력 생산 단가가 대폭 하락해 중국 풍력발전 산업은 경제성 측면에서도 큰 시장 경쟁력을 갖게 됐다.


그 외에도, 블레이드 설계 시 소재 경량화 기술을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풍력 설비의 성능도 크게 향상돼 다양한 풍속 환경에서도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졌다. 기술의 발전과 규모의 경제로 중국 풍력발전 생산비용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어 향후 글로벌 에너지 시장에서 주요 공급처로서 더욱 그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BosiData(博思数据), SWOT세계(SWOT)视界, 국제풍력발전망(风电头条), CHINA WIND POWER(CWP) 위챗 공식 계정, 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 중국국가에너지국(国家能源局), KOTRA 광저우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