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산업의 질적, 양적 발전을 도모하는 푸젠성
- 트렌드
- 중국
- 샤먼무역관
- 2024-10-10
- 출처 : KOTRA
-
푸젠성, 수산물 총생산량 중국 내 3위, 1인당 소비량 2위에 해당
중국 수산업의 성장과 소비 수요 대응 유망분야 협력 검토
수산물은 해양과 담수 어업으로 생산된 동식물 제품이자 그 가공된 제품의 총칭이다. 수산물의 종류는 보존법에 따라 신선활어수산물, 냉동수산물, 건조제품으로, 종류에 따라 어류, 새우류, 게류, 조개류, 해조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수산물 주요 분류>
기준
내용
보존법
신선활어(鲜活)수산물, 냉동(冷冻)수산물, 건조제품(干制品)
서식환경
해수(海水) 생산품, 담수(淡水) 생산품
종류
어류(鱼类), 새우류(虾类), 게류(蟹类), 조개류(贝类), 해조류(藻类)
[자료: 중국수산유통가공협회]
산업체인망
수산업 관련 산업체인망에서 업스트림은 수산양식과 어로, 미들스트림은 수산물 제품생산 및 가공, 다운스트림은 식품 요식업 의약 등 응용 분야와 기업향 소비자향 유통채널이 해당된다.
<수산업 산업체인망>
업스트림
미들스트림
다운스트림
(양식) 수산사료, 종묘, 약품
양식시설장비 등
(어로) 장비, 선박 등
수산물(어패류, 새우류, 해조류 등)
생산 및 가공:
건강식품, 레저간식, 밀키트
캔 식품, 조리조미식품 등
식품,요식,의약 등 분야 응용
B단(기업향)/ C단(소비자향) 유통채널:
수산도소매시장, 신선마트, 편의점 전자상거래 플랫폼, 연쇄점 등
[자료: 중국수산유통가공협회]
중국 수산업 현황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상계자문(商启咨询) 등 자료에 따르면, 연도별 중국 수산물 생산량은 2019년 6480만3600톤에서 2023년 7116만2400톤으로 연평균 약 2.3%의 성장률을 나타냈다. 특히 2020년에서 2023년까지 팬데믹의 영향 하에서도 매년 2% 이상의 지속 성장세를 보여왔고, 향후 2024년에는 전년 대비 3.6%가 증가된 7375만2000톤에 달하고 2028년 생산량은 1억1943만3000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도별 중국 수산물 총생산량>
(단위: 만 t)
[자료: 중상정보망, iiMedia Research]
2023년 중국 수산물 종류별 생산 관련, 양식 총생산량 5809만6100톤 중에서 어류가 2977만3000톤으로 51.2%를 점유하고 있고, 그 외 부분은 조개류(1665만9000톤), 갑각류(738만3500톤), 해조류(288만3100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국 국내 어업생산량은 1074만3300톤으로, 어류(736만8400톤), 갑각류(202만5400톤) 조개류(48만 톤) 등으로 구성돼 있다.
수산물 관련 B2B 시장은 수요량이 거대하고, 원가와 품질에 따른 제품경쟁력, 신선도와 유통서비스에 따른 고객충성도가 비교적 높다. 품질 대비 가격이 합리적인지나 맞춤형 주문을 얼마나 소화할 수 있는지 등의 기업 역량이 시장점유율에 영향을 끼친다.
iiMedia Research 에 따르면, 수산물 관련 B2C 시장에서는 여성 소비자가 58.8%의 비중을 점유하고, 지역별로는 주요 소비자들이 1선도시(29.5%) 신1선도시(26.4%), 2선도시(22.2%)에 분포돼 있다. 소득수준에 따라 월수입 5001~10000위안 구간 소비자가 41.5%, 10001~15000위안 구간 소비자가 27.9%를 점유하고 있다. 연령에 따라 31~40세 연령그룹이 47.2%, 18~30세 연령그룹이 31.6%를 점유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들이 식사의 질을 점점 더 중시하면서 수산물은 식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됐다. 신선제품과 냉동제품은 꾸준히 수요가 있으며, 즉석 간식제품은 간편하고 맛있어 구매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아울러 수산 가공 밀키트도 최근 주목받는 분야다. 밀키트 산업은 콜드체인 물류를 이용하므로 지역이나 계절과 같은 시공간적 제약에서 자유롭다. 이외에도 편리성과 효율성 등 장점이 있어 전망이 밝은 시장으로 꼽힌다. iiMedia Research에 따르면, 수산물 생산가공업은 식품산업 체인망과 연계해 산업을 확장하며 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2023년 중국 밀키트 시장 3616억 원 규모 중 수산 밀키트 시장은 1237억 위안에 달하며, 향후 2026년 2576억 위안까지 대폭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푸젠성 수산업 생산과 소비
푸젠성은 해양경제 확대 강화를 중점업무로 삼아 2024년 해양생물의약, 해양설비, 심해양식 등 산업의 발전을 적극 추진 중이다. 푸젠성은 연해지역으로 해안선이 광동성에 이어 2번째로 길다. 수산업 발전을 위한 좋은 여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산물 생산 가공, 소비 규모가 중국 내 상위권이다.
<푸젠성 수산업 관련 개황>
구분
주요 내용
해양경제 발전 정책
2023년 해양경제 총생산액 1조2000억 위안
해양경제 확대 및 강화를 2024년 중점추진업무로 언급
해양설비, 해양생물의약, 심해양식, 해양정보 등 산업 발전 적극 추진
수산물 생산가공
2023년 총생산량 890만2000톤 (전년 대비 3.3% 성장) (중국 내 3위)
2023녀 해수양식 579만8000톤 (전년 대비 5.9% 성장)
2023년 수산물가공생산 1040억 위안 (중국 내 2위)
수산물 소비
2022년 주민 수산물 식용소비(신선제품) 총량 265만3200톤 (중국 내 5위)
2022년 주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 63.35kg (중국 내 3위)
주요 수산물
조기, 전복, 굴, 미역 등
[자료: 푸젠성정부업무보고, 중국수산과학연구원 어업발전전략연구센터, 2023 푸젠성 통계공보, 농민일보 등]
중국어업통계연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중국 내 지역별 수산물 총생산량(해수+담수 생산 합계)에서 상위 5개 지역은 1위 광동성 (924만 톤), 2위 산동성 (913만9000톤), 3위 푸젠성 (890만2000톤), 4위 저장성 (647만9000톤), 5위 후베이성(522만8000톤)이다.
<중국수산물생산량 상위 5위권 지역>
(단위: 만 t)
[자료: 2024년 중국어업통계연감, KOTRA 샤먼 무역관 편집]
중국 내 수산물 생산량이 100만 톤 이상이며, 양식생산, 어로생산, 해수생산, 담수생산을 모두 하는 중국 연해지역 8개성을 비교하면 총생산량 기준으로 광동, 산동, 푸젠, 저장, 장쑤, 랴오닝, 광시, 허베이 순이다.
<2023년 중국 및 주요 지역별 수산물 생산량>
(단위: t)
구분
총생산량
(1)생산방식별
(2)생산지별
(1-1)양식생산
(1-2)어로생산
(2-1)해수생산
(2-2)담수생산
중국전체
(비중)
71,161,716
(100%)
58,096,109
(81.64%)
13,065,607
(18.36%)
35,853,172
(50.38%)
35,308,544
(49.62%)
광동
9,240,225
7,957,083
1,238,142
4,781,539
4,458,686
산동
9,139,462
6,939,404
2,200,058
7,905,131
1,234,331
푸젠
8,901,956
6,749,291
2,152,665
7,878,325
1,023,631
저장
6,479,255
2,998,955
3,489,300
4,934,412
1,544,843
장쑤
5,220,527
4,571,692
648,835
1,419,860
3,800,667
랴오닝
5,081,185
4,379,783
701,402
4,235,127
846,058
광시
3,785,901
3,214,282
571,619
2,223,934
1,561,967
허베이
1,147,389
876,753
270,636
837,438
309,951
주: *(1-1)양식생산은 각각 해수양식+담수양식, (1-2)어로생산은 각각 해양어로+원양어로+담수어로 소계임
** (2-1)해수생산은 해수양식+해양어로+원양어로의 소계, (2-2)담수생산은 담수양식+담수어로의 소계임
[자료: 2024년 중국어업통계연감, KOTRA 샤먼 무역관 재구성]
푸젠성은 수산물 총생산량에서 광동성(924만 톤), 산동성(913.9만 톤)에 이어 3위에 해당하는 890만2000톤으로, 약 12.5%의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푸젠성의 수산물 생산량 중에서 생산방식에 따라 (1-1)양식생산은 674만9000톤(75.82%) (1-2)어로생산은 215만3000톤(24.81%)이며, 생산지에 따라 (2-1)해수생산이 787만8000톤(88.5%) (2-2) 담수생산이 102만4000톤(11.5%)이다.
총생산량 대비 *해수 생산 비중을 기준으로는 푸젠성(88.5%)이 1위이며, 산둥성 86.39% 랴오닝성 83.35% 저장성 76.16% 순으로 이어진다.
* 해수생산: 해수양식생산+해수어로(해양어로+원양어로)생산의 합계치
총생산량 중 해수양식 비중에서 랴오닝성(70.2%) 다음으로 푸젠성이 65.1%로 2위를 기록해, 푸젠성은 중국 내에서 해수양식업 비중이 아주 높은 편이다. 총생산량 중 해수어로(해양어로+원양어로)비중에서는 어로생산 비중이 큰 저장성이 51.2%로 1위이고 그다음으로 푸젠성 23.4%, 산동성 22.9%의 순이다. 푸젠성은 양식이나 어로를 불문하고 담수 생산보다는 해수 생산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푸젠성 수산물 생산방식별 현황>
(단위: t)
총생산량
양식생산
어로생산
8,901,956
소계
해수양식
담수양식
소계
해양어로
원양어로
담수어로
6,749,291
(75.82%)
5,798,416
950,875
2,152,665
(24.18%)
1,529,038
550,871
72,756
(65.14%)
(10.68%)
(17.17%)
(6.19%)
(0.82%)
주: *각 항목별 비중은 총생산량 대비임
[자료: 2024년 중국어업통계연감, KOTRA 샤먼 무역관 편집]
푸젠성의 어업생산액은 1868억 위안이며 그중 해수양식이 1125억 위안으로 가장 비중이 높다. 담수양식은 228억 위안, 해양어로는 420억 위안, 담수어로는 16억 위안이다. 푸젠성 해수양식 생산액은 중국 전체 4885억 위안 중 23%의 비중을 점하고 있다.
<2023년 푸젠성 어업생산액 구성>
(단위: 억 위안)
계
해수양식
담수양식
해양어로
담수어로
수산종묘
1868
1125
228
420
16
79
[자료: 2024년 중국어업통계연감, KOTRA 샤먼 무역관 편집]
2023년 중국 수산물 가공생산액 5021억 위안 중 지역별 1위인 산둥성이 1161억 위안(23%), 푸젠성이 1040억 위안(21%)으로 1, 2위를 기록했고 두 지역이 합계 44%의 비중을 점유하고 있다. 그다음으로 후베이성 659억 위안(13%), 저장성 473억 위안(10%), 장쑤성 369억 위안(7%)의 순이다.
푸젠성의 수산물 가공생산액 중 수산 밀키트 생산액은 약 200억 위안으로 약 20%의 비중을 점하고 있다.
<중국 수산물 가공생산액 주요 지역(상위 5위권)>
(단위: 억 위안, %)
[자료: 2024년 중국어업통계연감, KOTRA 샤먼 무역관 편집]
중국수산과학연구원 어업발전전략센터의 중국주민 수산물소비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중국 주민 수산물 식용소비(신선제품) 총량은 광동성(761만3000톤), 저장성(494만4900톤), 장쑤성(482만7800톤), 산둥성(315만6600톤), 푸젠성(265만3200톤), 후베이성(257만8700톤) 순으로 많았다. 이상 상위 6개성의 합계는 2577만4200톤으로, 전체의 53.3%를 점유했다. 이는 산시(산서), 신장, 칭하이, 간쑤 등 하위 6개성 합계가 72만4800톤으로 점유율이 1.5%의인 것과 대조적이다.
<2022년 중국 주민 수산물 식용소비(신선제품) 총량 상위 6위권 지역>
(단위: 만 t)
[자료: 중국수산과학연구원 어업발전전략센터, KOTRA샤먼무역관 편집]
또한, 2022년 기준 중국 주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 상위, 5개성은 저장성(75.19 kg), 하이난성(73.95 kg), 푸젠성(63.35 kg), 상하이(60.64 kg), 광동성(60.15 kg)이었다. 구이저우, 산시(섬서), 산시(산서), 신장, 간쑤 등은 각각 10kg 미만으로 상위권과 차이를 보였다. 인당 소비량 3위라는 사실에서 알 수 있듯, 푸젠성은 수산물 소비 수요가 큰 편이다.
<2022년 중국 주민 1인당 수산물 소비량 상위 5위권 지역>
(단위: kg)
[자료: 중국수산과학연구원 어업발전전략센터, KOTRA샤먼무역관 편집]
푸젠성 주요 수산물 수출입 동향
2023년 푸젠성 HS코드 03061790(기타 얼린 새우제품) 품목의 수입 금액은 총 2억9363만 달러이며, 주요 수입대상 지역은 에콰도르, 인도,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등이다.
<2023년 푸젠성 수산물(HS: 03061790) 품목 수입액 및 대상 지역>
(단위: US$ 천, %)
대상지역
2022년
2023년
금액(증가율)
총액
307,942
293,638
(-4.6)
에콰도르
80,843
126,462
(56.4)
인도
54,544
55,780
(2.3)
인도네시아
45,268
55,696
(23.0)
아르헨티나
20,470
26,142
(27.7)
사우디아라비아
79,429
22,922
(-71.1)
[자료: KITA]
HS코드16055400(제조 혹은 저장된 오징어제품) 품목의 수출 금액은 12억4935만 달러이며 수출 대상국은 태국, 말레이시아, 한국, 필리핀 등이다.
<2023년 푸젠성 수산물(HS: 16055400) 품목 수출액 및 대상국>
(단위: US$ 천, %)
대상지역
2022년
금액(증가율)
2023년
금액(증가율)
총액
1,561,818
(25.2)
1,249,351
(-20)
태국
608,581
(10.3)
558,616
(-8.2)
말레이시아
448,754
(80.7)
316,147
(-29.6)
한국
71,425
(20.2)
83,120
(16.4)
필리핀
81,060
(8.1)
48,583
(-40.1)
[자료: KITA]
수산업 정부 정책
푸젠성 정부는 해양경제 확대 정책의 일부로 해양환경을 보호, 수산업 및 종묘업의 산업체인망 완비, 해수양식업의 시설인프라를 개선 및 공장화, 표준화, 친환경화를 지속 도모해 왔다.
<정부 정책 내용>
정책명(시기 발표부서)
주요 내용
“五大行动”实施方案》
2024년 수산 녹색건강 양식기술 5대행동
실시방안 추진 : 2024년 3월
(농업농촌부 어업어정관리국)
(1) 생태건강양식 모델 확대 실시
(2) 양식용 해수와 담수 순환 이용
(3) 수산양식용 약품 감축
(4) 배합사료 대신 기타 잡어 활용
(5) 수산종묘업 품질 제고 실시
《福建省设施渔业项目资金管理方法》
푸젠성의 시설어업프로젝트자금관리방법
: 2024년 4월
(푸젠성 해양어업국 발개위 재정청)
지원범위 대상 프로젝트:
(1) 수산양식 저수지 표준화
(2) 공장화 양식기지 (폐쇄순환식 공장화 양식 등)
(3) 플라스틱제 양식장 배치
(4) 심해수 풍랑 방어 가두리망
(5) 뗏목식 부유양식시설
(6) 생태 양식 플랫폼
(7) 수산종묘기지
《福建省海洋与渔业局关于发展现代设施农业的实施意见》
푸젠성해양어업국 현대시설농업발전에 관한
실시의견 : 2023년 12월
(푸젠성 발개위 자연자원청 등)
적극적으로 심해·원양 양식 공간 개척
심해수 풍랑 방어 가두리망, 심해·원양 양식 플랫폼과 굴, 전복과 조개류 양식 골조 혹은 가두리망 시설 건설을 중점 지원
《福建省海洋经济促进条例》
푸젠성 해양경제 촉진조례 : 2023년 11월
(푸젠성 인대 상임위)
푸젠성 해양어업발전 심화를 위한 규정 도출
수산물 안전 유효한 공급 보장, 근해어로 강화 합리적 통제, 중요 양식수역해안보호제도 수립
해양목장건설 적극 추진, 심해원양 설비양식 발전
《福建省水产种业振兴补助资金实施方案》
푸젠성 수산종묘업 진흥보조금 실시방안
(푸젠성 해양어업국 재정청)
보조금을 현급 어업주관 부서에 하달 기업주체 실시 프로젝트 추진; (1) 성급 수산물 원종목장 개조업그레이드, 수산품종 자원보호종목장 건설 (2) 성급 규모화 수산품종업 기지 건설, 수산신품종 창작 독려
《福建省“十四五”渔业发展专项规划》
푸젠성 14.5기간 어업발전 특화계획:
2022년 8월
(푸젠성 해양어업국)
수산양식 어로 가공 유통 관광 레저 어업 신흥어업산업 융합발전의 현대어업 산업체인망 구축, 양식과 어로의 점유 구조의 최적화
어업산업 클러스터 조성, 주요한 해상양식창고 건설
《福建省人民政府关于印发加快建设“海上福建”推进海洋经济高质量发展三年行动方案(2021-2023年)的通知》푸젠성 해상복건건설 강화 해양경제 고품질발전 3년행동방안(2021-2023) 통지 : 2021년 5월
(푸젠성 정부)
양식 설비 제조, 연구·개발, 운영, 유지·보수 및 콜드체인 물류 확대, 수산물 판매와 가공을 위한 전산 체인망 구축
조기, 농어, 김, 미역, 굴, 전복 등 수산양식업 핵심품종 종자자원 창고 건설, 특색 우세 품종업의 시장 주도적 지위 공고화 발전 지원
《海上养殖转型升级行动方案》
해상양식업그레이드전환행동방안2021년4월
(푸젠성 정부)
연해 각지 수역해안 양식 계획 제도와 그린발전 요건을 엄격하게 수행하고 전면적으로 양식공간 배치를 최적화
[자료: 정부 홈페이지]
푸젠성 주요 기업
<푸젠성 주요 수산업 분야 기업>
회사명
개요
FUJIAN TIANMA SCIENCE AND TECHNOLOGY GROUP CO.. LTD
福建天马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특종 수산업, 목축업, 해양식품과 해양종묘업에 종사하는 대형 현대 어업목축업 기업으로 100여 개 자회사 계열사를 보유
Fuzhou Rixing aquatic food Co., LTD
https://www.fzrixing.com/
수산물 양식 가공 연구개발 영업판매 서비스가 일체화된 하이테크 기술기업으로, 전복제품 연구개발 가공에 있어 선두권에 있는 기업. 전복 해삼 어류알 불도장 해양생품제품 시리즈 분야에 종사
Fujian Lianjiang County Hongyu aquatic products Co., LTD
http://fjsljxhy.haichaninfo.com/
수산물 양식 해수생산품가공 판매 어업어로 수산물냉동냉장서비스가 일체화된 국가 고신기술기업
Fuzhou Yuanfeng Marine Technology Co., LTD
福州源丰海洋科技有限公司
www.yfhykj.com
전복(냉동, 건조) 및 전복 밀키트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와 서비스에 종사하며 전복 관련 종묘 양식 가공 판매 등 전 산업체인망 플랫폼형 기업
宏东渔业股份有限公司
http://www.fzhongdong.com/
원양어로 어업기지운영 콜드체인물류 수산가공 해양생물 시장 관리 수출입무역 등에 종사. 각 업종별 작업 선박 170척을 보유하고 있으며 각종 어로방식 완비. 제품 종류가 풍부하며 산업체인망이 완비된 원양어업기업
MINWELL INDUSTRIAL
福建闽威实业股份有限公司
https://minwei.cn/
육묘, 양식, 가공 및 연관 산업에 종사. 2010년 해수어 정밀가공산업 연구개발을 시작하며 주요 분야는 농어, 조기 및 그 정밀 가공 밀키트와 레저즉석제품
[자료: 기업별 홈페이지]
요약 및 시사점
중국의 수산물 총생산량은 2023년 7116만2400톤으로, 2019년 이후 연평균 약 2.3%의 성장률을 기록해 왔고, 2024년에는 전년 대비 3.6%가 증가된 7375만2000톤, 2028년에는 1억1943만3000톤에 달할 것으로 예측돼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된다.
중국의 수산물 소비자들은 양보다는 품질을 중시하는 추세고, 신선, 냉동, 즉석 간식제품의 구매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유망분야로 중국 수산물 밀키트산업이 2023년 1237억 위안에서 향후 2026년 2576억 위안으로의 성장이 기대된다.
푸젠성은 연해지역 여건을 바탕으로 해수생산이 88.5%라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역이다. 2023년 수산물 총생산량은 890만2000톤으로 전년 대비 3.3% 성장해 중국 내 3위를 기록했다. 해수양식이 전년 대비 5.9% 성장했고, 수산물 가공생산액 2위, 1인당 수산물 소비량에서 3위를 기록하는 등 중국 내 수산업 관련 전반적인 생산, 가공, 소비에 걸쳐 상위권에 있다.
현지 중국수산과학연구원 어업발전전략연구센터에서는 수산업 발전을 위해 아래의 정책 방향을 건의한 바 있다.
센터는 소비자의 증대되는 질적 양적 수요에 대응해 효과적인 생산공급 방안 마련, 생산모델 및 시설 업그레이드, 기술 기반 강화, 소규모 분산된 생산의 조직화 규모화 발전, 우량 품질 제품의 비중을 더 높이고 양식 품종의 구조조정 및 경쟁력 강화, 수산물 콜드체인 물류 건설 인프라 확대 강화, 수산품 소비가 낮은 중국 서부 내륙 시장 개척 등을 강조했다.
현지 시장조사업체 iiMedia Research가 발표한 중국 수산업이 나가야 할 발전 방향에 따르면, 현재 중국 수산물 양식기업은 중소기업이 많고 대형기업이 비교적 적은 편으로, 규모화와 집중화가 필요하다. 중국의 글로벌화 전략 추진에 따라 중국 수산업은 점차 해외시장 개척을 강화해 가야 하고, 향후 수산물 생산의 업그레이드 전환과 스마트화 양식을 추진하고, 우량 품질 친환경생태 수산물을 발전시켜야 하고, 표준화 규모화 녹색화 스마트화를 실현해 나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중국 정부는 수산업의 개선 발전을 위한 정책을 수립 지원해 오고 있으며, 농업농촌부는 수산양식업 관련 친환경화 정책방향에서 (1) 생태건강양식 모델 확대 (2) 양식이용수 순환활용 (3) 수산양식용 약품 감량 (4) 배합사료의 대체자원 활용 (5) 수산종묘업 품질 제고의 5가지 실행방안을 강조한 바 있다.
푸젠성 정부는 해양경제 해상복건(海上福建) 확대 추진 강화 기조를 바탕으로 <푸젠성 14.5기간 어업발전 특화계획> <푸젠성 수산종묘업 진흥보조금 실시방안> <푸젠성의 시설어업프로젝트 자금관리방법> 등 일련의 정책을 수립해 해양환경 보호, 수산업 및 종묘업의 산업체인망을 구축완비, 양식업의 시설인프라 개선 업그레이드 공장화 표준화 친환경화를 지원해 오고 있다.
푸저우시 수산업 분야 A 기업 총경리는 KOTRA 샤먼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아래와 같이 수산업 분야 발전방향을 언급했다. 올해 당사는 어려운 여건에서 기술 혁신, 유통망 확대, 제품 라인업 개선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1) 미래 수산품은 과학기술화, 정밀화, 친환경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공정에서 자동화와 스마트화 수준 개선으로 양식생산 효율 제고를 도모하고 있다.
2) 유통채널 개척을 적극 진행 중이다. 중국 내 각지 유통상 및 고객과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온오프라인 자원을 모두 활용해 물류를 적시에 배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고부가가치 수산제품을 제작해 초보가공품에서 심화가공제품으로 전환하고, 자사의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고, 온오프라인 홍보를 강화하고자 한다.
그는 향후 수산물 심화가공(밀키트) 영역이 유망하다고 덧붙였다. 업계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해당 영역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중국 밀키트 B2B 시장이 이미 성숙기로 가고 있고 B2C 시장은 여전히 탐색기이다. 제품의 다양화, 구매채널 편리화, 콜드체인 물류 발달, 소비자의 인지도 제고 등으로 인해 B2C 시장의 발전 전망이 기대된다.
중국의 수산업 시장은 지속 성장 중이고, 푸젠성은 관련 산업의 생산 가공 소비에서 상위권에 있는 지역이다. 우리 기업은 현지 산업의 발전방향 및 유망 분야를 고려하고 소비자의 선호 추세에 대응해 현지 기업과의 생산 가공분야 협력 등을 검토해 볼 수 있다.
자료: 2024 중국어업통계연감, 중국수산유통가공협회, 중국어업협회,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상기자문(商启咨询), iiMedia Research, , 2024 푸젠성정부업무보고, 2023년 푸젠성통계공보, 중국수산과학연구원 어업발전전략센터, KITA, 푸젠일보 (福建日报), 농민일보, 바이두, 중국 정부 홈페이지, 기업별 홈페이지 KOTRA 샤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수산업의 질적, 양적 발전을 도모하는 푸젠성)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