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유압 실린더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톈진무역관
- 2024-12-16
- 출처 : KOTRA
-
Keyword #유압 실린더
'24년 중국의 對韓 유압 실린더 수입금액 증가세
기술력이 요구되는 선박 및 항공 등 분야 수출 기회에 주목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및 HS Code>
품목명
HS Code
이미지 예시
유압 실린더
841221
[자료: 알리바바(1688.com)]
유압 실린더는 유체의 압력으로 실린더 내 피스톤을 왕복 직선 운동시켜 유체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구동장치이다. 이 실린더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여러 대를 조합해 복합형 동력 장치로 활용되기도 한다.
시장 동향
2024년 들어 건설 기계 산업의 성장으로 그 주요 부품인 유압 실린더 시장 규모도 확대되고 있다. 주요 사용 분야는 건설 기계(36%), 항공(9.5%), 야금 기계(9%) 등이다. 관련 매체인 관즈하이네이정보망(观知海内信息网)에 따르면, 중국 건설 기계 분야 시장 규모는 2023년 1841억 위안에서 2024년 2082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건설 기계의 핵심 부품인 유압 실린더 시장도 2023년 304억 위안에서 2024년 331억 위안으로 9%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유압 실린더 시장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자료: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특히 항공 및 선박 등 첨단 산업의 유압 실린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2023년 중국의 항공기와 선박 신규 수주량은 각각 1200대(C919 민용 항공기)와 7120DWT(재화중량톤수)를 기록했으며, 해당 분야 유압 실린더 수요는 전년 대비 20% 이상 증가했다. 선박 및 항공용 유압 실린더는 고품질 실링(sealing)재를 사용해 누수나 누유를 최소화하고 에너지 절약과 작동 불량을 감소시킨다. 또한, 모듈화 개선을 통해 부위별로 부품 교체가 가능하도록 개발되면 유지보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은 이러한 첨단 제품에 대해 항공, 선박 등 분야에서 수요가 커지면서 관련 시장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선박용 유압 실린더>
[자료: 동강공정기술(rotarytec.com)]
경쟁 동향
중국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 실린더는 대부분 중국산이지만, 항공 및 중장비 등 특수 산업용 제품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의 연간 유압 실린더 생산량은 7000만 대 이상으로, 수입량보다 10배 이상 많다. 그러나 첨단 산업에 사용되는 제품은 중국 HENGLI(江苏恒立)사 외 소수만 생산할 수 있으며, 미국의 PARKER와 일본의 YUKEN 등 글로벌 기업 제품이 시장의 3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현지에 공장을 설립해 생산 및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다. 즉, 중국 기업의 기술력 한계로 유압 실린더 생산이 어려운 항공 및 중장비 등 첨단 분야의 특수 제품은 약 60% 이상이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중국 시장 주요 유압 실린더 브랜드 소개>
기업/브랜드
본사
개요
주요 제품
REXROTH
力士乐
독일
1795년 독일에 설립하여 1978년 중국 시장 진입한 중장비, 기계 부품, 자동화 설비 전문기업이며 스마트 부품, 설루션 개발. 베이징, 창저우(常州), 시안 등 현지 생산법인 설립
건설 기계, 굴착기, 농기계, 운반기계 및 부품 등
PARKER
派克
미국
1978년 설립된 유압 구동장치, 유체 제어 시스템 생산기업으로 1995년 중국 시장에 진입하였으며 현재 중국 우시, 상하이 등에 생산법인과 유통법인 운영 중
유압 실린더 등 구동장치, 유체 제어 장치 및 시스템
YUKEN
油研
일본
1956년 일본에서 설립된 유압 부품 전문 생산기업. 사출기, 유압기, 공작기계 등 각종 기계 및 중장비용 유압 부품 생산, 공급
유압펌프, 유압밸브, 유압모터, 유압실린더 등
HENGLI
江苏恒立
중국 장쑤성
2005년 설립된 제조설비 생산기업으로 약 20년간 유압 부품 개발 및 생산 중. 정밀주조물, 산업용 기계, 중장비 등 사업 운영 중. 중국, 독일, 미국, 일본, 멕시코에 각각 7개의 유압 R&D센터와 11개의 생산 및 제조 기지 설립
유압 부품,
정밀 주조물
[자료: 기업별 홈페이지,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중국 유압 실린더는 직접 거래와 대리상 판매 두 가지 방식으로 유통되며, 이 중 70% 이상이 대리상을 통해 판매된다.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유압 실린더 제품은 일반 산업용과 맞춤형으로 구분되는데, 항공우주 등 특수 산업을 제외한 80% 이상이 유통상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유압 실린더의 생산 법인 및 유통 기업은 주로 장쑤성, 저장성, 산둥성 등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수입 동향
2024년 1~10월, 중국 유압 실린더(HS Code: 320890.90)의 전체 수입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한 3억78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수입 중 對한국 수입금액은 같은 기간 1% 증가한 2500만 달러로 미미한 증가세지만, 2022년과 2023년의 對한국 유압 실린더 수입액 증가 추세는 2024년에도 유지되고 있다. 한국은 2024년 중국 유압 실린더 수입국 중 5위를 기록했으며, 한국산 제품은 중국 전체 수입액의 6.6%를 차지했다.
<2022~2024년 중국 유압 실린더(HS Code: 841221) 수입 동향>
(단위 : US$ 백만, %)
순위
지역명
2022년
2023년
2024년 1~10월
수입금액
전년 대비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전년 대비
수입증감률
수입금액
전년 동기 대비
수입증감률
총계
443
△5.4
464
4.9
378
△2.8
1
미국
78
25.8
89
14.1
86
22.7
2
독일
88
△5.8
108
22.2
62
△29.5
3
일본
64
△1.2
61
△4.6
49
△5.6
4
체코
24
△34.8
25
2.9
31
40.8
5
한국
34
△22.2
30
△13.7
25
1.0
6
대만
23
△19.0
20
△11.4
16
△10.7
7
이탈리아
14
△16.5
12
△16.1
11
4.9
8
영국
17
22.2
10
△39.8
10
6.5
9
프랑스
14
△15.5
15
9.3
10
△26.4
10
오스트리아
14
21.5
9
△36.7
8
1.1
* 주: 순위는 2024년 1~10월 기준
[자료: 한국무역협회]
관세율 및 인증
한국산 유압 실린더를 중국에 수출하는 경우 MFN(최혜국) 세율과 한-중 FTA 협정 세율 혜택을 모두 적용받을 수 있다. 수출에 따른 기본 관세율은 35%이지만, 한국 관세청에서 발급한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하면 한-중 FTA 협정 세율인 6%가 적용된다. 한국산 유압 실린더의 중국 수출 혹은 판매 시 현지에서 취득해야 하는 추가 인증은 필요하지 않으나, 항공 및 선박 등 일부 특수 산업에서는 발주처 요구에 따라 특정 인증을 준비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중국의 유압 실린더(HS Code: 841221) 수입 관세율(2024년 기준)>
상품명
HS Code
기본세율
MFN(최혜국)
세율
한-중 FTA
협정 세율
유압 실린더
841221
35%
12%
6%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시사점
중국 유압 실린더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다. 특히 선박, 항공, 중장비 등 높은 기술력이 요구되는 분야의 시장 확대에 따라 유압 실린더의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보이므로, 해당 산업의 동향 변화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에 따르면 특히 중국 고객들은 가격보다는 기능을 중시하기 때문에 기술 우위는 중국 진출 시 큰 장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는데, 이는 기술력을 보유한 우리 기업에 중국 시장 진출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중국 톈진시에 위치한 유압 실린더 유통업체 TIANJIN LONGLAN의 매니저 Z 씨는 “한국산 유압 실린더는 특히 철강 자재와 실링(sealing)재에서 기술적 우위를 가지고 있다. 동일 품질의 제품을 비교했을 때, 한국산 제품이 가격 경쟁력이 높다”라고 강조하며, 중국 본토 기업과 글로벌 기업의 시장 경쟁 상황도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자료: 첸잔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화경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중국브랜드망(中国品牌网), 한국무역협회, 관세법령정보포털,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유압 실린더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2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3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4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5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6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