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UAE 바디케어 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24-11-05
  • 출처 : KOTRA

글로벌 기업의 중저가 제품이 주도의 치열한 경쟁 시장

글로벌 브랜드 제품이나 인기 향수와의 매칭 제품 출시 전략 통한 진출 고려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바디케어 제품

ㅇ HS Code: 330790 (면도용 제품류·인체용 탈취제·목욕용 조제품·탈모제와 그 밖의 조제 향료·따로 분류되지 않은 화장품이나 화장용품·실내용 조제 탈취제(향을 첨가한 것인지 또는 살균성이 있는 것인지에 상관없다.))

 

시장 동향

 

바디케어 제품은 청결이나 미용 등을 목적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일컬으며 고온다습한 사막성 기후인 UAE에서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종교나 문화적으로 좋은 향기를 필수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UAE에서는 바디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다.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3년 UAE 바디케어 제품 시장 규모는 약 2억 달러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대비 5.1% 성장한 수치며 역내 인구 증가와 경기 호조에 따라 개선된 소비심리에 기인한다.

 

현지 소비자들이 세정 목적뿐 아니라 피부건조나 트러블 관리를 위한 제품 활용에도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UAE 바디케어 제품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2억4000만 달러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UAE 바디케어 제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시장 규모

177.1

180.7

188.6

198.2

207.5

215.6

224.3

233.8

243.7

증감률

2.8

2.0

4.4

5.1

4.7

3.9

4.0

4.2

4.2

* 주: 2024년부터 전망치

[자료: 유로모니터]

 

2023년 UAE 전체 바디케어 제품 시장 규모는 1억9820만 달러로 집계됐으며, 이중 고체 비누가 8610만 달러로 전체의 43%를 차지했다. 이어 바디 워시/샤워젤과 액체비누가 각각 4720만 달러(24%), 4080만 달러(21%)로 2위와 3위에 올랐다.

 

<2023년 UAE 바디케어 제품 세부 품목별 시장 규모(좌) 및 비중(우)>

(단위: US$ 백만, %)

세부 품목명

시장 규모

고체 비누

86.1

첨가물

3.3

바디 파우더

8.1

바디 워시/샤워젤

47.2

손 세정제

2.8

여성용 청결제

9.1

액체 비누

40.8

기타

0.9

총 계

198.2


[자료: 유로모니터]

 

산업 관계자에 따르면 전통적으로 단순 세정용 고체 비누를 사용해 온 UAE 소비자들 사이에서 최근 액체형 비누, 바디워시/샤워젤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웰빙에 대한 인식 고조로 사용 과정에서 오염이 덜하고 편리한 사용감이 강점인 액체형 제품을 선호하는 것이다. 아울러 사용법은 간단하지만 기능성이 더해진 제품, 주름·색소·건조함 침착 방지 기능이 추가된 바디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단순 세정 목적의 고체 비누 제품 판매가 아직 안정적인 수준이나 기업들은 변화하는 소비자 니즈를 이해하고 적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소비자의 니즈 변화에 따라 다양한 향이나 기능, 사용감의 바디케어 제품 출시가 이어지고 있으며 유통 업체들 또한 간편하고 위생적이지만 향기나 기능성을 가미한 액체형 제품의 강점을 마케팅 활동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UAE의 바디케어 제품 주요 수입국은 중국, 영국, 이탈리아로 2023년 상위 3개국이 전체 수입 시장의 약 43%에 달한다. 우리나라는 7대 수입국에 이름을 올렸으며 전체의 4.5%의 비중을 차지한다.

 

<UAE 바디케어 제품 주요 수입국(HS Code 33079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2021년

2022년

2023년

2021년

2022년

2023년

전체

34,797

45,526

39,646

-

-

-

1

중국

3,802

15,505

6,363

10.9

34.1

16.0

2

영국

5,796

5,748

5,958

16.7

12.6

15.0

3

이탈리아

1,924

3,026

4,641

5.5

6.6

11.7

4

프랑스

4,588

4,215

3,912

13.2

9.3

9.9

5

스위스

331

209

2,288

1.0

0.5

5.8

6

싱가포르

2,589

2,545

2,273

7.4

5.6

5.7

7

대한민국

1,847

1,901

1,768

5.3

4.2

4.5

8

스페인

1,412

1,388

1,642

4.1

3.0

4.1

9

인도

3,327

2,370

1,517

9.6

5.2

3.8

10

미국

2,120

1,169

1,435

6.1

2.6

3.6

[자료: GTA(2024.10.)]

 

2023년 한국의 대UAE 바디케어 제품 수입액은 177만 달러로 지난해 대비 7% 감소했으며, 2024년(~9월) 들어서도 전년 동기 대비 소폭 감소한 상황이다. 한국의 대UAE는 2020년 295만 달러로 최고조에 이르렀으며, 이후 등락세를 반복하고 있다.

 

<한국의 대UAE 바디케어 제품* 수출동향>

(단위: US$ 천, %)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9월*

수출액

2,959

1,847

1,901

1,768

1,453

증감률

46.8

-37.6

2.9

-7.0

-3.5

* 주1: HS Code 330790 기준, 2024년 9월 증감률은 전년 동기 대비

* 주2: 하위 10단위(3307904000) - 마스크팩을 포함한 통계로 순수 바디케어 제품 수출 현황과 차이가 발생

[자료: KITA]

 

경쟁 동향

 

UAE 바디케어 제품 시장은 글로벌 기업과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다. 기업별 점유율을 살펴보면 유니레버(Unilever)가 1/3 이상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어 레킷(Reckitt), 바이어스도르프(Beiersdorf), 콜게이트-팜올리브(Colgate-Palmolive) 3대 글로벌 기업이 또 다른 1/3을  차지할 만큼 압도적이다. 이들 기업의 뒤를 잇는 헨켈(Henkel),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코티(Coty) 등 글로벌 대표 소비재 기업들도 선전하고 있다.   

 

주요 제품 브랜드 기준으로는 럭스(Lux)와 데톨(Dettol), 도브(Dove), 팜올리브(Palmolive), 니베아(Nivea Bath Care) 5대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글로벌 기업과 브랜드들은 인근 이집트나 사우디아라비아에 제조 시설을 운영, 브랜드 명성과 동시에 가격경쟁력을 보유해 폭넓은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UAE 인기 바디케어 제품 브랜드 및 제품>

브랜드명

제품 이미지

설명

Lux

- 제품명: Lux Perfumed Body Wash Tempting Musk 500ml

- 가격: AED 33.4

Dettol

- 제품명: Dettol Activ-Botany Antibacterial Bodywash Lavender And Chamomile 500ml - 가격: AED 40.3

Dove

- 제품명: DOVE Deeply Nourishing Body Wash Original 500ml

- 가격: AED 55.1

Palmolive

- 제품명: Palmolive Natural Shower Gel Cream Gourmet Spa Coconut Milk 500ml

- 가격: AED 21.7

Nivea Bath Care

- 제품명: NIVEA Shower Gel Body Wash Lemongrass and Oil Caring Oil Pearls Lemongrass Scent 500ml

- 가격: AED 29.5

* 주: 1 AED = 376.36원(10.23일 기준)

[자료: Carrefour UAE]

 

한국 제품의 경우 아마존(Amazon.ae) 등 일부 온라인 유통망 위주로 메디큐브, 일리윤, 플루 등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나 대규모 오프라인 유통망에 진출한 브랜드는 파악된 바 없다.

 

유통구조

 

UAE는 디스트리뷰터를 중심으로 유통망이 형성돼 있어 중소규모의 해외 기업의 제품은 주로 이들을 통해 하이퍼마켓, 슈퍼마켓과 및 온라인, 홈쇼핑 등에 진출한다. 디스트리뷰터가 수입 계약을 통해 현지 인증 취득을 시작으로 수입, 보관, 사후관리의 전 과정을 대행하며, 마케팅 전략 수립과 운용까지 현지 진출의 전반을 담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글로벌 브랜드들은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보다 적극적인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UAE 바디케어 제품 유통구조>


[자료: KOTRA 두바이 무역관]

 

바디케어 제품의 주요 유통채널은 하이퍼마켓∙슈퍼마켓(Carrefour, Lulu, Union Coop, Waitrose, Spinneys 등)으로 이를 통한 판매 비중이 90%에 육박한다.

 

인증

 

바디케어 제품의 경우 화장품 및 퍼스널 케어 제품으로 분류돼 UAE 산업과 첨단기술부(MOIAT, Ministry of Industry and Advanced Technology)가 규정하는 적합성 인증 ECAS(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 취득 의무 대상이다.

 

UAE에서 생산되거나 역내로 수입, 유통되는 바디케어 제품은 ECAS를 획득, 해당 제품이 UAE 규격 기준에 부합함을 증명해야 한다.

 

<UAE 진출을 위한 강제 인증 요약>

인증명

Emirates Conformity Assessment Scheme

마크/로고

요약

화장품과 퍼스널케어 제품의 생산·수입업자가 해당 품목을 UAE 내 유통하기 위해 요구되는 필수인증

적용대상품목

바디케어 제품 외 크림, 로션, 오일, 마스크팩, 메이크업 제품 등의 기초 및 색조화장품(단, 향수의 경우 별도 규제)

유의사항

품목별 구비서류를 충실히 구비해야 인증심사와 수여과정에 지연 예방 가능

관할기관 및 웹사이트

산업첨단기술부/ https://moiat.gov.ae/en/

 [자료: KOTRA 두바이 무역관]

 

인증의 최종 수여는 MOIAT가 하나 실질적 인증 심사와 발급 과정은 MOIAT가 지정한 인증기관(Notified Body)에서 대행하는데 이때 UAE 사업자등록증이 필수 제출 서류인바 해외 제조기업은 현지 디스트리뷰터에게 인증의 과정을 위임한다.

 

바디케어 제품 인증 심사와 발급이 가능한 현지 인증기관은 아래와 같다.

 

ㅇGulfTIC Certification L.L.C.

ㅇ Intertek International Limited Dubai Branch

ㅇ TUV Rheinland Middle East FZE

ㅇ SGS Gulf Limited 등

 

글로벌 브랜드 VS 현지 업체, 점점 더 치열해지는 중저가 시장 경쟁

 

UAE에서 유통되는 바디케어 제품의 90% 이상이 하이퍼마켓과 슈퍼마켓을 통해 유통된다는 점은 현지 소비자들이 주로 중저가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대변한다. 아울러 까르푸(Carrefour), 루루(Lulu), 유니온쿱(Union Coop), 웨이트로즈(Waitrose) 등 현지 하이퍼마켓들이 판매하는 제품의 대부분은 글로벌 브랜드인바, 이는 현지 소비자들이 주로 글로벌 중저가 브랜드에 노출돼 있고, 이들을 선호한다는 것을 방증한다.

 

서남아 출신 인구*가 많은 관계로 다부르(Dabur) 사의 브랜드나 마리코(Marico), 히말라야(Himalaya Drug Co.) 등 인도 브랜드 또한 꾸준한 인기를 얻고 있으며 아울러 역내 운영되고 있는 두 곳의 대표 제조 기업 또한 바디케어 제품 생산에 뛰어들면서 경쟁은 한층 높아진 상황이다.

* 인도계 거주민(38%), 파키스탄(16.7%), 방글라데시(7.4%)

 

<UAE 내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제조 기업 현황>

제조 기업명

기업 요약

제조 품목 예시


샤르자(2005년)

- UAE 대표 뷰티 제품 유통사인 나지그룹(Nazih Group)이 설립 및 운영

- 기초화장품, 바디케어 제품 및 헤어케어 제품, 향수, 색조화장품, 어린이용품 자체 브랜드 및 ODM, OEM 생산



 샤르자(2013년)

- 바디케어 제품, 헤어케어 제품,  기초화장품, 유아용 제품, 남성용 제품, 네일 용품 등 생산 후 GCC 및 MENA 지역 위주로 판매 중

- 자체브랜드 리본 뷰티(Reborn Beauty) 생산 및 OEM 진행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시사점

 

최근 바디케어 제품 시장의 상당한 확대 추세에도 불구하고 다른 뷰티·퍼스널 케어 품목의 시장 규모와 비교했을 때 아직 매우 작은 편이다. UAE에서 가장 많은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는 뷰티·퍼스널 케어 품목은 ①향수, ②헤어케어 제품, ③기초화장품, ④색조화장품, ⑤바디케어 제품 순으로 바디케어 제품의 비중은 전체 7.2%에 불과하다.

 

<2023년 UAE 뷰티·퍼스널 케어 품목별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

순번

품목

판매액

비중

1

향수

796

29.0

2

헤어케어 제품

407

14.8

3

기초화장품

371

13.5

4

색조화장품

352

12.8

5

바디케어 제품

198

7.2

6

구강케어 제품

173

6.3

7

선케어 제품

147

5.4

8

데오도런트

134

4.9


총계

2,740

100.0

* 주: 시장규모 소수점 이하 반올림

[자료: 유로모니터, KOTRA 두바이 무역관 가공]

 

UAE 바디케어 시장은 약 2억 달러로 아직 시장 자체가 소규모고, 글로벌 기업 및 인도계 기업, 현지 기업 등이 각축을 벌이고 있어, 우리 신생 브랜드가 현지 진출 및 직접적인 마케팅을 수행하기는 매우 어렵고 큰 비용이 요구된다. 그 때문에 제품 차별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이다.

 

UAE 소비자들 사이에서 미용이나 웰빙의 과정에서 제품의 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식이 확대되고 있다. 좋은 향과 위생을 동일시 해서 생각하는 경향이 짙고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한 방안으로 고품질의 향기를 사용하는 것을 필수라 여기는 것이다. 이에 우리 신규 브랜드들은 글로벌 브랜드 제품과 함께 사용하거나, 향수 사용 전에 활용함으로써 향수의 향을 강조할 수 있는 매칭 제품을 출시하는 것도 좋은 진출 전략이 될 수 있다.

 

<동일한 향의 바디워시, 바디크림, 향수, 캔들을 보유한 브랜드 예시>


[자료: 조말론]

 

현지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의 적극적인 시장조사와 네트워킹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내년 초 개최될 두바이 Derma 전시회 참가 혹은 참관 준비를 시작할 것을 추천한다.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두바이 더마

(Dubai World Dermatology and Laser Conference & Exhibition)

개최일시·장소

2025.4.14.∼4.16., 두바이 DWTC

전시품목

더마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전반 (필러, 레이저기기, 더마 코스메틱 외)

주관기관

Index Conferences & Exhibitions

웹사이트

https://dubaiderma.com/

특징

- MENA 지역 최대 피부미용 전시

- 1500개 브랜드 참가, 110여 개국 25000명 이상 참관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Euromonitor, Kita, GTA, Carrefour, MoIAT, 현지 언론 및 KOTRA 두바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바디케어 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