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중국 선박용 펌프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다롄무역관
- 2024-09-10
- 출처 : KOTRA
-
2024년 1분기 중국의 조선 관련 3대 지표, 작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
선박용 펌프 시장 규모 확대 예상... 2030년 5942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전망
품목명 및 HS CODE
HS CODE (6자리)
품목명
8413.30
선박용 펌프는 선박 규정 및 해양 기술 조건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펌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에 사용되는 펌프와 선박용 항만 펌프를 통틀어 선박용 펌프라고 일컫는데, 기내에서 해수, 담수, 하수, 윤활유 및 연료유와 같은 다양한 액체를 운반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이런 펌프들은 선박의 동력 장치, 화물 하역, 생활 서비스, 안전 보장 및 기타 전용 시스템뿐만 아니라 선박의 일부 보조 장비에도 설치 및 활용된다. 선박용 펌프가 소비하는 총 전력은 전체 선박 총에너지 소비의 약 5~15%를 차지한다*. 또한, 선박용 펌프는 전체 선박 설비 비용의 약 4~8%를 차지한다.
* 선박의 성능, 기능 및 설비 배치 상황에 따라 다름
중국 시장 규모 및 동향
중국 조선 관련 3대 지표
2024년 1분기 중국의 조선 관련 3대 지표는 작년 동기 대비 다음과 같았다. 조선 건조량은 34.7% 증가한 1235만 DWT(Deadweight Tonnage, 재화중량톤수)이었고, 조선 신규 수주량은 59.0% 증가한 2414만 DWT, 수주 잔량은 34.5% 증가한 1억5404만 DWT를 기록했다. 선박 건조의 증가에 따라 선박 펌프 및 부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1분기 중국 선박 시장 점유율>
[자료: 중국선박공업협회]
한·중·일 조선 관련 3대 지표 비교
2023년 주요국(한국, 중국, 일본)의 조선 관련 3대 지표를 살펴보면 세 지표 모두에서 중국이 1위를 차지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지표에서 3개국의 합이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전 세계의 95% 이상이다.
<2023년 한중일 조선 3대 지표>
(단위: %)
구분
(CGT* 기준)
조선건조량
신규 수주량
수주잔량
한국
27.2
18.5
26.3
일본
18.4
11.9
13.9
중국
50.2
66.6
55.0
합계
95.8
97
95.2
* 표준화물선환산톤수 (CGT, Compensated Gross Tonnage)
[자료: 중국선박공업협회]
중국 선박용 펌프 시장은 최근 글로벌 해운 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계속 확대되고 있다. 선박 에너지 효율 지수(EEDI)와 선박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국제해사기구(IMO)의 엄격한 규제로 인해 선박용 펌프 제조업체는 고효율, 저탄소 제품으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고효율, 에너지 절약 및 환경 보호는 중국 선박용 펌프 시장의 주요 발전 추세가 됐다.
중국 조선산업 주요 특징
첫째, 친환경 동력 선박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선박용 펌프 시장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023년 12월 26일 산업정보기술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재정부, 생태환경부, 교통부가 공동으로 발표한 '선박 제조업의 친환경 발전을 위한 행동 계획(2024~2030년)'(《船舶制造业绿色发展行动纲要(2024-2030年)》)에선 2025년까지 중국의 친환경 동력 선박의 국제 시장 점유율을 50% 이상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특히, 액화천연가스(LNG) 및 메탄올과 같은 친환경 동력 선박에 대한 수요 증가는 관련 선박 펌프 기술의 발전과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이 중 연료 펌프, 전기 펌프 등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선박용 펌프는 고효율 및 저탄소 특성으로 인해 시장에서 환영받고 있다.
둘째, 세계 해운 산업의 안전, 환경 보호 및 에너지 절약 요구 사항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중국 선박용 펌프 제조업체도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품 안전성, 신뢰성 및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즉, 중국 선박용 펌프 산업은 ‘친환경’을 핵심으로 더 엄격한 환경 보호 및 안전 표준을 추구하고 있다. 중국 조선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국제 시장 점유율이 증가함에 따라 중국 선박용 펌프 시장도 그에 맞춰 계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펌프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4351억 위안으로 추정되며, 2030년에는 5942억 위안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 펌프 시장에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이 약 5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고, 유럽과 북미가 그 뒤를 이어 약 35%를 차지했다.
중국 펌프 수출입 규모
<최근 5년 중국 펌프 수출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출입동향 (HS CODE 8413.30기준)>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수출금액
2020
2021
2022
2023
2024.5
1
미국
247,596
274,388
269,026
275,771
105,335
2
멕시코
56,071
105,934
116,545
127,737
52,461
3
일본
50,963
75,966
83,139
94,436
36,423
4
브라질
36,080
62,301
55,454
68,967
33,963
5
한국
33,024
46,732
72,270
74,185
33,760
6
러시아
28,446
43,639
70,974
81,167
30,390
7
독일
42,683
77,084
75,481
40,289
25,724
8
인도(인디아)
52,351
54,773
40,992
39,143
17,826
9
이탈리아
29,343
37,419
37,403
36,953
16,611
10
체코
535
459
7,202
36,302
15,364
[자료: KITA]
중국의 주요 수출국은 미국, 멕시코, 일본, 브라질, 한국, 러시아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상 수출액은 2022년부터 2024년 5월까지 꾸준히 상승추세를 기록했으며, 한국은 5년 연속으로 중국의 수출 대상국 5위를 기록했다.
<최근 5년 중국 펌프 수입 규모 (HS CODE 8413.30기준)>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수입금액
2020
2021
2022
2023
2024.5
1
독일
248,103
253,994
194,669
184,708
63,111
2
일본
241,661
264,124
161,836
126,854
41,325
3
체코
135,510
122,582
79,851
56,529
31,257
4
한국
39,753
35,216
33,656
39,767
18,455
5
이탈리아
93,788
60,230
41,600
35,553
18,225
6
오스트리아
11,256
13,606
30,615
26,635
14,562
7
미국
23,818
25,154
28,869
39,645
14,525
8
태국
43,202
63,633
65,723
40,212
12,661
9
멕시코
22,299
21,704
18,450
17,218
9,411
10
스위스
5,212
6,895
6,712
6,983
6,943
[자료: KITA]
중국의 펌프 수입 주요 대상국은 2024년 5월 기준으로 독일, 일본, 체코, 한국, 이탈리아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2021년에 다소 감소했다가 2023년에 이전 수준으로 회복돼 2024년 5월 기준 4위를 유지했다.
HSCODE 10자리(841330.3000, 선박용 액체 펌프) 기준으로 한국의 대중 수출 내역을 살펴보면, 2020년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 규모는 238만 달러 수준이었으나, 2023년 기준은 661만 달러로 증가했으며, 2024년 6월까지의 수출액은 이미 2023년의 수출액을 뛰어넘었다. 한편, 대중국 수입 비중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비교적 일정하여 6백만 달러 중반을 유지하며 일정하다가 최근 2024년 상반기에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한국의 대중 수출입 규모(HSCODE 841330.3000, 선박용 액체펌프)>
(단위: US$)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6
수출규모
2,384,378
5,609,122
7,653,746
6,613,052
7,473,774
수입규모
799,297
6,851,535
6,563,995
6,875,582
2,216,688
무역수지
+1,585,081
-1,242,413
+1,089,751
-262,530
+5,257,086
[자료: KITA]
경쟁 동향
국제 시장에서 중국 선박용 펌프 제조업체의 경쟁력은 비용 관리, 제조 효율성 및 현지 시장 서비스의 대응력에 있다. 하지만 기술, 브랜드, 영향력 및 글로벌 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측면에서 국제 경쟁자는 더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중국 내 주요 펌프 제조사는 아래 표와 같다.
<중국 주요 펌프 제조사>
홈페이지
그랜푸펌프(상하이)유한회사
(格兰富水泵(上海)有限公司)
https://www.iepcn.com/com/1351722atnu/
웨이러(중국)펌프시스템유한공사
(威乐(中国)水泵系通有限公司)
https://wilo.com/cn/zh/
상하이 캐스비 펌프유한공사
(上海凯士比泵有限公司)
https://www.ksb.com/en-global
상하이개천펌프업(그룹)유한공사
(凯泉泵业集团有限公司)
https://www.kaiquan.com.cn/?bd_vid=7768033841037238894
상하이동방펌프업(그룹)유한공사
(上海东方泵业(集团)有限公司)
http://ww.eastpump.net/?bd_vid=7565028028203388725
[자료: 바이두망, KOTRA 다롄무역관 취합]
관세율 및 수입규제
<기타 연료 펌프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관세율>
(단위: %)
HS CODE
기본세율
한-중 FTA
RCEP 세율
VAT
84133029*
30.0
0
0
13.0
* 주: 중국 관세율 정보는 6자리 HS Code로 조회 불가하여 중국 기준 8자리 HS Code 적용
[자료: 중국해관수출입세무규정]
유통구조
선박용 펌프의 일반적 유통경로는 에이전트를 통한 간접 유통과 직접 조선소 또는 선박 수리 업체에 납품하는 직접 유통 등 두 가지 경로로 나뉜다.
인증정보
수입 통관 시 중국선급사(CCS, 中国船机社)의 인증이 필요하다*. CCS인증은 선박용 제품에 관한 지정 인증으로, 각 선박용 열전도 오일펌프는 모든 펌프별 CCS 선급사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 인증은 제품이 선급 협회의 규정 및 표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제품 품질 및 안전 성능을 점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인증 절차는 ①신청 ②검토 ③현장검증 ④품질 성능 검증 및 샘플테스트 ⑤인증 여부 결정 ⑥사후 감독 및 점검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제품 도면 및 기술 문서 검토, 관련 공정 검증, 인증 테스트 수행, 현장 검증 등이 필요한데, 이 중 현장검증엔 공정 검증, 생산설비 점검, 생산 과정 시스템 검증 등이 포함된다.
* 중국선급사(CCS, 中国船机社) (홈페이지 : https://www.ccs.org.cn/ccswz/)
시사점
중국의 선박용 펌프 시장은 최근 전 세계적 조선산업 호황과 더불어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 발전 및 선박 산업의 기술 전환으로 노후 선박들이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되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다. 또한, 선박 산업의 핵심 장비인 선박용 펌프는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시장 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향후 시장 전망은 밝지만, 중국 내 펌프 생산 및 운영 기술이 점차 발달함에 따라 우리 기업이 중국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선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유지보수, 원가 절감 및 친환경 전환 등 다양한 요소에서 경쟁력을 갖춰 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중국선박공업협회, KITA, 바이두망, 중국해관수출입세무규정, 중국선급사, KOTRA 다롄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중국 선박용 펌프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