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독일 녹차 시장동향
  • 상품DB
  • 독일
  • 프랑크푸르트무역관 조현구
  • 2024-07-14
  • 출처 : KOTRA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면역력 강조 측면에서 녹차 언급, 건강을 중시하는 젊은 층에서 수요 증가

독일 내 녹차 수요는 증가하는 추세이나, 아직은 한국산 녹차의 인지도는 낮은 편

상품명 및 HS코드


녹차의 HS코드는 0902이며 발효하지 않은 것으로서 내용물의 무게가 3킬로그램 이하로 내용물에 직접 접해 포장된 것으로 한정 (0902.10)과 그 밖의 녹차(발효하지 않은 것으로 한정, 0902.20)로 구분된다. 본 글에서는 내용물의 무게가 3킬로그램 이하로 내용물에 직접 접해 포장된 녹차(0902.10)만 다루기로 한다.


독일 시장 규모 및 동향

 

최근 몇 년 동안 독일의 차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독일 통계 기업 슈타티스타(Statista)의 조사에 따르면 2024년 독일 내수용 차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0% 감소한 4억 달러로 추정되며 향후 4년간 연평균 2.3%로 성장 2028년에는 5억 달러가 될 전망이다.


<독일 내수용 차 산업 매출 규모(2018~2028)>

(단위: US$ 십억)

주: 도표상의 (,)는 (.)을 의미함

[자료: Statista(2024.6.)]


2022년 통계에 따르면 허브 및 과일차 혼합이 독일 차 시장의 42%를 차지해 가장 큰 비중을 보인다. 녹차의 점유율은 7%로, 다른 차 종류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점차 인기를 얻고 있다.


<2022년 독일 차 종류별 판매 비율>

(단위: %)

주: 현재 집계 기준 최신 수치이다.

[자료: Statista(2024.6.)]


최근 3년 수입규모 및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2024년 4월 기준 독일의 녹차 수입 규모는 62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7.8%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일본, 스리랑카, 네덜란드, 폴란드 등이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만6000달러로 전 년대비 65% 증가했으며, 전체 수입의 0.3%를 점유했다. 독일의 주요 녹차 수입국 10위 내 유럽 내 국가는 네덜란드, 폴란드, 프랑스, 영국이며, 전년(2023년) 대비 증감률에서 대부분의 국가의 수입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의 녹차 수입 현황 (HS코드 0902.10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2022

2023

2024.4.

점유율

증감률

-

전체

16,485

17,092

6,203

100.9

37.8

1

일본

5,717

6,373

2,674

43.1

86.2

2

스리랑카

1,568

1,463

657

10.6

87.9

3

네덜란드

877

1,088

430

6.9

33.4

4

폴란드

753

1,066

408

6.6

21.1

5

중국

1,942

1,601

371

6.0

75.8

6

모로코

678

595

216

3.5

-19.2

7

대만

888

1,078

213

3.4

-19.6

8

프랑스

390

549

153

2.5

-5.7

9

베트남

464

231

145

2.3

20.2

10

영국

461

491

139

2.2

21.0

21

한국

70

44

16

0.3

65.0

[자료: Global Trade Atlas(2024.6.)]


경쟁동향

 

메쓰머(Messmer)는 주로 루이보스 바닐라와 같은 다양한 차를 생산하고 있는 브랜드로 고품질의 차를 제공하는 게 특색이며, 커피를 제외한 허브 차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인기가 있는 브랜드이다. 테칸네(Teekanne)는 1882년 설립된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브랜드로 티백 제품을 발명해 독일에서 차 시장 내 인지도가 가장 높으며, 새콤한 히비스커스와 사과 향이 나는 차가 주력상품으로 출시됐다.


한국산 녹차 역시 이미 오래전부터 독일로 수출이 되고 있는데, 독일 최대 차 판매 체인인 테게슈벤더(TeeGeschwender)에서는 2012년 1월 독일의 소비자 매거진 ‘에코테스트(Ökotest)’의 평가에서 1위(매우 우수, sehr gut)를 차지한 바 있는 우수한 품질의 제주산 유기농 녹차를 포함해, 현재 2가지 제품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독일 녹차 기업 주요 제품 및 특징>

브랜드

제품사진

특징

가격(€)

메쓰머

(Messmer)

- 독일 차 시장 점유율 1위의 제품

- 녹차에 다양한 향(닐라, 생강 등) 입힌 제품군 출시

1.99

(티백 25개)

테칸네

(Teekanne)

- 메쓰머에 이은 독일 차 시장 점유율 2위의 제품

1.99

(티백 20개)

비오티바

(Biotiva)

- 아마존 녹차부문 판매량 1위 제품

24.89

(1㎏)

테게슈벤더 (TeeGeschwender)

- 중국 안후이(Anhui)지역의 황산(Huang Shan) 지역에서 생산되는 최고급 잎 차만 사용

10.90

(100g)

테게슈벤더 (TeeGeschwender)

- 제주산 최고급 잎 차만 사용

- 차 잎을 증기로만 처리해 로스팅된 다른 차와 구별됨

1.99

(티백 25개)

[자료: 제조사 홈페이지 및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종합]

 

유통구조


유로모니터 자료에 따르면 독일 녹차 시장 유통망은 주로 리들(Lidl), 에데카(Edeka) 등과 같은 종합슈퍼마켓(점유율 58.8%) 과 알나투라(Alnatura), 덴스바이오마켓(Denns Biomarkt)과 같은 개인 및 기타 식료품점(점유율 17.8%), 테게슈벤드너(Tee Geschwender), 티하우스(Tee House) 같은 음료 전문점(점유율 11.8%)으로 분류되고 있다.

 

<독일 녹차 유통채널 현황>

(단위: %)

주: 독일에서 편의점은 레베투고(Rewe To Go)같은 익스프레스 매장을 뜻한다

[자료: 유로모니터(2024.6.)]


관세율, 인증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녹차(HS코드 0902.10)의 관세율은 한-EU FTA협정에 의해 0%의 협정 세율을 적용하고 있다. 


식품 수출을 위한 일반가공식품 인증 획득은 불필요하지만 국제유기인증 심사 및 알러지 유발 성분 강조표시 인증이 필요하다. 또한 독일로 유기농 식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유기농 인증을 획득해야 하지만, 한국에서 EU가 승인한 한국 인증기관(EU 등재 한국 인증기관)에서 유기농 인증을 획득했다면, 상호동등성협정(Equivalence Arrangement)에 따라 독일에서도 동일하게 인정받을 수 있다.


시사점

 

업계 관계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건강과 면역력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강조됐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식품으로 녹차가 주목 받으며, 독일 녹차 시장의 확장 가능성이 제기됐다. 독일에서 차 소비량은 여전히 높으나, 녹차에 대한 선호도는 커피나 홍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과 일본에 비해 한국 녹차의 인지도가 높지 않다. 그러나 한국의 주요 녹차 수출품이 EU등재 한국 인증기관에서 유기농 인증을 획득해 동등성 인정협정의 조건에 부합할 경우 독일에서도 동등하게 인증되며, 기후변화에 따른 지속가능성 상품이 주목받는 현시점에서 이는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잎 녹차는 중국 및 일본 잎 녹차와 건조 방식이 달라 차별화 전략을 원하는 바이어들의 관심을 충분히 끌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독일 각지에서 열리는 주요 전시회 및 중소형 전시회에 관심을 두고 참가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독일 주요 음료 전시회>

전시회명

개최 기간

개최지

Vendtra München

2024.9.25.~26.

뮌헨

Berlin Tea Festival

2024.11.22.~24.

베를린

Köln Anuga

2025.10.4.~8.

쾰른

[자료: 각 전시회 홈페이지]



자료: GTA, Statista, Handelsblatt, Spiegel, Euromonitor, Ökotest, 각 사 홈페이지,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녹차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