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독일
  • 프랑크푸르트무역관 이주영
  • 2024-06-25
  • 출처 : KOTRA

한국, 독일의 치과용 방사선기기 주요 수입국 1위

독일, 격년마다 세계 최대 치과 기자재 전시회(IDS) 개최

디지털화, 저선량 기술, 소형화 등 트렌드를 읽고 수출 기회 확대해야

상품명 및 HS Code


치과용 방사선기기의 HS Code는 9022.13이며, 엑스선이나 알파선·베타선·감마선·그 밖의 전리선을 사용하는 기기(치과용으로 한정한다)가 이에 해당한다.


시장동향


독일 치과 산업은 지난 3년간 총매출 증가와 함께 내수 시장에서 꾸준한 성장을 보였다. 독일 치과산업협회(VDDI)에 따르면 2022년 회원사의 총매출 규모는 62억68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국내 매출액은 전년 대비 7.2% 증가한 22억7400만 유로를 기록했다. 비록 수출액은 39억9400만 유로로 전년 대비 2% 감소한 모습을 보였으나, 전체적인 매출액 및 꾸준한 성장세를 고려했을 때, 독일 치과 산업이 여전히 경쟁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고령 인구의 증가로 임플란트와 같은 복잡한 치과 시술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정확한 진단을 위한 진단기기 또는 그 외의 치과 기자재 수요도 증가할 전망이다. 이를 통해 향후 독일 치과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독일 치과 산업 매출 규모(2020~2022)>

(단위: € 십억, %)

분류

2020

2021

2022

증감률

총매출액

4.818

6.197

6.268

1.1

배송 포함 수출액

2.921

4.076

3.994

-2.0

국내 매출액

1.897

2.121

2.274

7.2

[자료: 독일 치과산업협회(VDDI)]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 시장 트렌드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 시장에서 주목할 만한 주요 트렌드는 디지털화, 저선량 기술, 소형화이다.


최근 독일에서는 2D 방사선 기기에서 3D 디지털 방사선 기기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기기가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빠른 이미지 처리로 진단 시간도 단축시키는 등 진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3-in-1이나 4-in-1 등 한 기계에 여러 기능이 탑재돼 있는 기기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일례로 2023년 독일 쾰른 국제 치과 전시회에 참여한 한국 기업 중 이 같은 기기를 보유한 기업들이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이외에도, 환자와 의료진의 방사선 노출을 크게 줄이는 저선량 기술이 선호되고 있으며, 다양한 진료 환경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된 치과 방사선기기가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3년 수입 규모


2023년 기준, 독일의 치과용 방사선기기 총수입액은 2247만5000달러 규모로 확인됐다. 한국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3년 동안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 시장에서 5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이며, 독일의 주요 수입국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일본은 25.1%의 점유율을 보이며 2위를 차지했고, 핀란드(17%), 미국(3.3%), 이탈리아(2.3%)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 시장에서 지난 3년간 한국은 점유율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코로나 및 러-우 사태의 여파로 경기가 악화돼 방사선기기와 같은 고가의 의료 장비에 대한 수요가 줄어든 데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2021~2023년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HS Code 9022.13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1

2022

2023

점유율

증감률

 -

전체

37,173

26,943

22,475

100.0

-16.6

1

한국

21,955

14,989

11,622

51.7

-22.5

2

일본

11,944

11,117

5,645

25.1

-49.2

3

핀란드

1,338

659

3,821

17

479.8

4

미국

67

25

740

3.3

2,866.8

5

이탈리아

327

115

511

2.3

344.1

6

프랑스

1,248

2

42

0.2

1,974.5

7

네덜란드

56

17

19

0.1

14.6

8

헝가리

-

6

19

0.1

218.6

9

인도

7

3

15

0.1

366

10

브라질

-

-

12

0.1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6.]


경쟁동향


독일은 유럽 내 의료 선진국으로 꼽히며 유럽 의료 산업의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 또한, 독일은 치과 산업으로도 높은 명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에 걸맞게 세계적인 치과 기자재 전시회인 쾰른 국제 치과 전시회(IDS) 개최국으로도 유명하다.

 

독일 내에서는 다양한 브랜드의 치과용 방사선기기가 유통되고 있으며, 주요 인기 브랜드로는 덴츠플라이시로나(Dentsply Sirona), 플란메카(Planmeca OY), 카보덴탈(KaVo Dental), 바텍(Vatec), 케어스트림덴탈(Carestream Dental) 등이 있다.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 제품>

제조사

제품명

제품 사진

홈페이지

 덴츠플라이시로나

(Dentsply Sirona/

미국)

Orthophos SL 3D

https://www.dentsplysirona.com/de-de

플란메카

(Planmeca OY/

핀란드)

Planmeca

ProMax

3D

https://www.planmeca.com/de/

카보덴탈

(KaVo Dental/

독일)

KaVo

ProXam

3D

https://www.kavo.com/sites/default/files/styles/mq_media_16_9_1400_xl_2_full/public/mq_acquia_dam/Extraoral-ProXam-Ceph-3DQ_16-9-2000px.jpg?itok=OtgPKWGa

https://www.kavo.com/de-de

바텍

(Vatech/

한국)

Green X

 

https://www.vatech.com/

 케어스트림 덴탈

(Carestream Dental/

독일)

CS 8200

3D

https://www.carestreamdental.com/de-de/

[자료: 제조사 홈페이지 및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종합]


유통구조

 

해외 제조사가 독일에 치과용 방사선기기를 수출해 현지에서 판매할 때, 현지 대리점 또는 전문 유통사를 통해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치과용 방사선기기 같은 경우, 큰 장비이기 때문에 대리점을 통해서 판매 후, 기계 유지보수 서비스 지원과 같은 고객서비스 제공에 한계가 있어 독일 내에 자회사를 설립해 직접 고객에게 판매 및 고객 서비스 지원을 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일례로 한국 R사는 유럽 내 물류창고로 물류를 이동시킨 후, 대리점을 통해 판매를 하던 중, 고객 서비스 제공의 한계 및 대리점 관리의 한계를 느끼고 독일 내 법인 설립 후 직접 유통도 병행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한-FTA 체결로 독일 내 치과용 방사선기기 수입 관세율은 0%이다.


독일에 치과용 방사선기기를 수출하려는 경우, 유럽연합의 의료기기 규정 2017/745(MDR)를 준수해야한다. 또한, CE 인증을 받아야 하는데, 이는 인증을 받은 제품이 EU의 안전, 건강, 환경 보호 및 소비자 보호 요구 사항을 충족함을 나타낸다. 의료기기의 등급은 해당 의료기기의 잠재적 위험도에 따라 총 4개 등급(Class I, IIa, IIb, III)으로 분류되는데, 치과용 방사선기기는 그 특성에 따라 Class IIa 또는 IIb에 해당한다.


전시회 정보

 

다음 독일 쾰른 국제 치과 전시회(International Dental Show)는 2025년 3월 25~29일에 개최될 예정이다.


<2025 독일 쾰른 국제 치과 전시회 개요>

전시회 로고

https://dream.kotra.or.kr/attach/namo/images/000632/20230922212927790_0GC35F5K.jpg

전시회명

2025 독일 쾰른 국제 치과 전시회(IDS 2025)

개최 기간

2025년 3월 25~29일

개최 장소

독일 쾰른 전시장

주최기관

Koelnmesse GmbH

전시 품목

방사선기기를 포함한 치과용 장비 및 기계류, 관련 소모품 및 기구, 약품 등

홈페이지

https://www.english.ids-cologne.de/

[자료: IDS 전시회 홈페이지]


시사점


다른 유럽 국가를 비롯해 독일에서는 여전히 2D 방사선 진단장비의 사용률이 높은 편이나, 현재는 높은 정확도와 효율성을 위한 3D 방사선 진단장비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환자 및 의료진의 건강 보호 증진을 위해 방사선 노출을 최소화하는 저선량 기술이 선호되고 있으며, 휴대가 가능한 소형 방사선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외에도 독일의 고령화로 임플란트와 같은 복잡한 치과 시술이 증가하면서 정확한 진단을 위해 방사선 진단 장비의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며, 독일의 치과용 방사선기기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독일 내 치과용 방사선기기의 트렌드 및 시장 성장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았을 때, 위의 니즈를 충족하는 혁신 기술을 가진 우리 기업에 좋은 기회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쾰른 국제 치과 전시회와 같은 세계적인 전시회에 참가해 기술력을 선보이는 것도 수출 기회를 높이는 좋은 방법이다.



자료: GTA, 독일 치과산업협회(VDDI), EU 집행위, IDS 전시회 홈페이지, 덴츠플라이 시로나(Dentsply Sirona) 홈페이지, 플란메카(Planmeca OY) 홈페이지, 카보 덴탈(KaVo Dental) 홈페이지, 바텍(Vatec) 홈페이지, 케어스트림 덴탈(Carestream Dental) 홈페이지, 관계자 인터뷰 및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치과용 방사선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