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4-06-11
- 출처 : KOTRA
-
2023년 중국 대 한국 수입 전년 대비 84.8% 감소
인공지능 기술과 삶의 질 향상으로 시장수요 지속 상승세
수출 위해서는 CCC인증 받고, 제품에 ‘CCC’ 마크 부착 필요
상품명 및 HS CODE
진공청소기는 HS 코드 6단위 기준 8508.11, 10단위 기준 8508.1100.00으로 표기하며, 세부 품목으로는 가정용 청소기, 핸드청소기, 진공청소기, 휴대용 청소기, 지능형 청소기, 휴대용 충전식 청소기 및 침대 청소기 등을 포함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지능형 청소기인 로봇청소기를 다루고자 한다.
상품명
HS CODE
진공청소기
8508.11
로봇청소기
8508.1100.00
시장 규모 및 동향
중국 시장조사기관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는 2018년의 64억 위안에서 2022년 142억 위안으로 증가했으며, 복합성장률은 22%를 기록했다. 시각 인식을 포함한 인공지능 및 SLAM을 비롯한 기술들의 발전으로 인해, 로봇청소기 시장은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23년에는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가 178억 위안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8~2023년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 규모 및 전년 대비 증감률>
(단위: 억 위안)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 시장조사기관 AVC(오비클라우드, 奥维云网)에 따르면, 로봇 청소기 인기가 지속되면서 중국 내 판매량은 2018년~2020년 613만 대에서 664만 대로 증가해 산업 고도 발전단계에 진입했다. 그러나 2021년부터 코로나19 위기에 본격적으로 직면해 판매량이 급감했으며, 2022년 로봇청소기 판매량은 전년 대비 24% 감소했다. 다만 2023년 들어 로봇 청소기 산업은 차차 회복세를 보였으며, 1~11월 로봇청소기 판매량은 423만 대를 기록했다. 이러한 회복 속도에 힘입어 2024년에는 518만 대의 판매량을 달성할 전망이다.
<2016~2024년 중국 로봇청소기 판매량 및 전년 대비 증감률>
(단위: 만 대)
[자료: AVC]
수입 동향
2023년 중국 로봇청소기 수입액은 전년 대비 27.5% 감소한 2억1959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대상국은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으로 2023년 전체 중국 로봇청소기 수입에서 91.6%의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은 12위 수입대상국으로 2022년까지 5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다가 2023년에 급감했다. 2023년 대 한국 수입액은 전년 대비 84.8% 감소한 16만3000달러를 기록해 전체 수입액의 0.1%를 차지했다.
<로봇청소기 (HS 8508.11) 수입 동향 Top10>
(단위: US$ 천, %)
순위
수입대상국
수입금액
수입 시장 점유율
전년비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 세계
566,671
302,731
219,586
100.0
100.0
100.0
△27.5
1
말레이시아
524,621
265,935
190,176
92.6
87.9
86.6
△28.5
2
중국*
8,354
14,846
11,419
1.5
4.9
5.2
△23.1
3
베트남
16,243
14,399
11,048
2.9
4.8
5.0
△23.3
4
루마니아
1,316
1,693
1,978
0.2
0.6
0.9
16.8
5
독일
7,074
1,112
1,179
1.3
0.4
0.5
6.1
6
필리핀
1,367
614
1,163
0.2
0.2
0.5
89.5
7
미국
3,526
933
829
0.6
0.3
0.4
△11.2
8
이탈리아
737
623
521
0.1
0.2
0.2
△16.3
9
파나마
-
-
311
-
-
0.1
-
10
헝가리
424
264
280
0.1
0.1
0.1
5.9
*주: 중국에서 생산한 후 해외로 출하한 상품이 원산지 규정에 따라 변형 가공해 중국으로 수입하면 ‘대 중국 수입’으로 집계됨
[자료: GTA]
경쟁 동향, 주요 경쟁기업
로봇청소기 산업은 중국 전략적 신흥 산업인 지능형 로봇 및 관련 하드웨어에 속하며, 최근 몇 년 동안 정책 지원, 기술력 강화 등 영향으로 빠르게 발전했다. 그러나 로봇청소기는 기술 장벽이 높아 브랜드 판매는 에코백스(Ecovacs), 로보락(Roborock), 드리미(Dreame), 미지아(샤오미, MiJia) 등 몇몇 기업에 집중돼 있다. 시장 집중도도 높아지고 경쟁도 심화되고 있다. 2019~2023년 중국 로봇 청소기 산업의 CR5(TOP 5 브랜드 집중도 합계)는 70%에서 93%로 높아져 과점 구도를 보이고 있다.
<로봇청소기 생산 기업>
순번
국가
주요기업
생산제품
비고
1
중국
Ecovacs(科沃斯)
디봇 T30 시리즈, X40 시리즈, S30 시리즈, T20s pro, x2,x2 pro
- 2023년 매출액: 19억 위안
- 시장점유율: 36%
2
중국
Roborock(石头科技)
G20S(S8 MaxV 울트라), V20, P10, P10S Pro
- 2023년 매출액: 13억 위안
- 시장점유율: 25%
3
중국
Dreame(追觅科技)
S10 시리즈, L20 Ultra, L10s Ultra, X40, X30, S30
- 2023년 매출액: 7억2000만 위안
- 시장점유율: 14%
4
중국
MiJia(米家)
M30 PRO C107, C101, C102CN, B101CN
- 2022년 매출액:5억4000만 위안
- 시장점유율 10%
5
한국
LG전자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 코드제로 R5, 오브제컬렉션 MO972WA
- 종합 매출액 4584억9000만 위안
6
영국
다이슨(Dyson)
360 Heurist, 360 비즈 나브, 360 HEURIST, 360 vis nav 헤파 등
- 2006년 중국진출, 난징에 생산기지 구축
- 2008년 베이징지사 설립
7
미국
아이로봇(iRobot)
i7+&M6, Roomba i4/500/600/700 시리즈
- 중국 본토 독점 대리권 획득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중국 내 로봇 청소기의 유통구조는 온·오프라인으로 나뉜다. 온라인의 경우 제조사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 그리고 웨이핀후이(唯品会), 쑤닝이거우(苏宁易购), 아마존, 이하오뎬(1号店) 및 은행 온라인쇼핑몰, 징둥, 타오바오, 핀둬둬 등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오프라인의 경우, 가전 매장, 슈퍼마켓 및 가구 전시회 등을 통해 직거래되거나 커뮤니티, 요양원 및 어린이집 등 세부 시장을 타겟팅한 판매 행사를 펼쳐 거래되기도 한다.
관세율 및 수입 규제
2023년 현재 기준, 한국산 로봇청소기 對中 수출 시 최혜국관세율(MFN)은 8%, 한중 FTA 관세율은 0%, RCEP 관세율은 7%로 한중 FTA 관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2023년 기준 중국 로봇청소기 관세율 비교>
HS CODE
MFN
한중FTA
RCEP
증치세
(부가가치세)
8508.11
8%
0%
7%
13%
[자료: 2023년 중국 수출입세칙]
로봇청소기는 '중고 전기기기제품 수입성명(旧机电产品进口声明)', '선적 전 검사증서(装运前检验证书)' 및 '3C증서(3C证书)' 등 검사검역증서가 있어야 중국시장 진출이 가능하다. 이 중 '3C증서'는 '강제성 제품인증 실시 제품목록'에 포함된 제품으로, '강제성 제품인증 관리규정', '강제성 제품인증마크 관리방법' 등 행정법규를 따라야 하며, CCC 인증을 받아야 한다. CCC 인증 발급기관은 중국품질인증센터(CQC·China Quality Certification Center)다.
로봇청소기 3C 인증처리절차는 제품 사진과 설명서 발송→3C 인증 필요 서류 제공→3C 인증 테스트 시제품 제공→3C 인증 테스트→CQC에서 공장점검통지 하달→공장심사 완료→CQC에서 3C증서 발급 등의 과정을 거친다.
전망 및 시사점
서비스 로봇의 일종으로서, 로봇청소기는 인구 고령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삶의 질 향상에 힘입어 소비자 수요가 늘고 있다. 또한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통해, 로봇 청소기는 자기조절과 청소 최적화를 진행하는 등 스마트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콘센트, 스마트TV 등 홈 IoT장치와 연동해 사용자가 음성 또는 스마트폰으로 청소 명령 등을 간단하게 내릴 수 있게 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향후에도 지능화 수준, IoT통합 등의 방면에서 지속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정부가 최근에 소비 확대, 대규모 설비갱신 및 소비재 교체(이구환신) 등 정책을 펼치면서 자국 기업들에게 기술, 조세, 금융 등 방면에서 혜택을 주고 있으며, 기업의 R&D 투자가 해마다 증가하면서 제품 구매 주기가 빨라져 시장 경쟁이 점점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수입 로봇청소기는 CCC 인증을 받고, ‘CCC’ 마크를 제품에 부착해야 중국에서 판매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기업은 중국의 관련 지원 정책이나 산업 동향, 기회 요인 및 리스크 요인을 분석하고, 현지의 실정에 적합한 인증 등을 받아야 한다. 또한 적절한 기술 개발, 홍보, 마케팅 전략을 펼쳐 경쟁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자료: 중앙인민정부,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AVC(奥维云网), 바이두(百度),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순치왕(顺企网),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로봇청소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2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3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4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5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6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동향
중국 2022-01-1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