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니켈 전구체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베이징무역관
- 2024-05-29
- 출처 : KOTRA
-
한국, 중국의 2위 수입대상국
신에너지차, 에너지저장설비 시장 성장에 따라 시장수요 증가세
안전화∙하이니켈화∙단결정화∙저코발트화로 산업 고도화
상품명 및 HS CODE
리튬이온배터리 양극재 시장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니켈 전구체는 HS 코드 8단위 기준 2853.9030과 2853.9050으로 나뉜다.
제품은 크게 NCM(니켈∙코발트∙망간, 삼원계) 전구체와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삼원계) 전구체로 나뉘는데, 원소별 구성 비율에 따라서는 NCM333, NCM424, NCM442, NCM523, NCM622, NCM811, NCA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니켈 함유량 80% 이상일 경우에는 하이니켈 NCM, 하이니켈 NCA로 구분하며, 최근에는 CMA 전구체에 알루미늄을 더하고 니켈의 함량을 높인 하이니켈 NCMA가 주목받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HS 코드 8단위 기준 니켈 전구체를 다루고자 한다.
<상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HS CODE
NCM 전구체
2853.9030
NCA 전구체
2853.9050
시장동향
세계 하이니켈 전구체 시장에서는 아시아(중국, 일본, 한국)와 북아메리카(미국, 캐나다) 지역이 주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세계 최대 하이니켈 삼원계 재료시장이다. 중국에서는 고성능 배터리 재료를 필요로 하는 신에너지차, 에너지 저장설비 등 산업의 급성장에 힘입어 하이니켈 전구체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즈옌잔산업연구원(智研瞻产业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니켈 전구체 산업의 시장 규모는 2018년 17만5000톤에서 2022년 81만 톤으로 증가했으며, 2028년에는 228만 톤에 도달할 전망이다.
<2018~2028년 중국 니켈 전구체 시장 규모>
(단위: 만 t, %)
[자료: 즈옌잔산업연구원(智研瞻产业研究院)]
중국의 니켈 전구체는 주로 한국과 폴란드 위주로 수출되고 있다. 2023년 중국의 니켈 전구체 수출량은 18만4356톤이다. 이중 HS 2853.9030 기준 니켈 전구체 수출량은 17만8792톤, HS 2853.9050 기준 니켈 전구체 수출량 5564톤으로, HS 2853.9030 기준 수출량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한다. HS 2853.9030 기준 중국의 對한국 수출량 17만7259t(비중 99.1%), 對폴란드 수출량은 696t(비중 0.4%)으로 한국으로 수출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2018년부터 2023년까지 6년간 중국의 對한국 니켈 전구체 수출 비중은 97%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중국 니켈 전구체(HS 2853.9030) 수출량 세계 비중>
(단위: %)
[자료: Global Trade Atlas]
수입 동향
2023년 중국 NCM 니켈 전구체(HS 2853.9030) 수입액은 전년 대비 50.9% 감소한 8213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 대상국은 일본과 한국으로 2023년 전체 중국 니켈 전구체 수입에서 93.6%의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은 2위 수입 대상국으로, 2022년까지 최근 3년간 연속 증가세를 보였으나 2023년 급감했다. 2023년 대한 수입액은 전년 대비 71.4% 감소한 1095만 달러를 기록해 전체 수입액의 13.3%를 차지했다.
<니켈 전구체 (HS 2853.903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수입대상국
수입금액
수입시장점유율
전년비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 세계
97,276
167,427
82,133
100.0
100.0
100.0
△50.9
1
일본
66,599
103,311
65,916
68.5
61.7
80.3
△36.2
2
한국
29,412
38,306
10,948
30.2
22.9
13.3
△71.4
3
중국
1,265
23,337
3,831
1.3
13.9
4.7
△83.6
4
핀란드
-
2,107
903
-
1.3
1.1
△57.1
5
홍콩
-
-
275
-
-
0.3
-
6
말레이시아
-
-
230
-
-
0.3
-
7
미국
-
-
24
-
-
0
-
8
독일
0
1
2
0
0
0
232.4
9
쿠바
-
0
1
-
0
0
1117.1
10
프랑스
-
-
1
-
-
0
-
*주: 중국에서 생산한 후 해외로 출하한 상품이 원산지규정에 따라 변형가공된 건으로, 중국이 재수입할 경우 ‘對중국 수입’으로 집계됨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3년 중국 NCA 니켈 전구체(HS 2853.9050) 수입액은 전년 대비 99.9% 감소한 14만5000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입 대상국은 말레이시아와 일본으로 2023년 전체 중국 니켈 전구체 수입에서 82.8%의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은 2위 수입 대상국으로 2021년과 2022년 연속 급증했으나 2023년에는 수입하지 않았다.
<니켈 전구체(HS 2853.905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수입대상국
수입금액
수입시장점유율
전년비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전 세계
6,548
24,900
145
100.0
100.0
100.0
△99.4
1
말레이시아
305
-
120
4.7
82.5
-
2
중국
88
44
25
1.3
0.2
17.2
△44.0
3
일본
56
-
0
0.9
-
0.3
-
4
한국
6,099
24,856
-
93.1
99.8
-
-
*주: 중국에서 생산한 후 해외로 출하한 상품이 원산지규정에 따라 변형가공된 건으로, 중국이 재수입할 경우 ‘對중국 수입’으로 집계됨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니켈 전구체 산업은 중국 전략적 신흥 산업인 2차 전지 재료 제조(신에너지차용 니켈수소 축전지)에 속하며, 최근 몇 년간 정책적 지원, 기술력 강화 등으로 산업이 빠르게 성장한 바 있다.
중국 화징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세계 니켈 전구체 생산량 상위 4개 기업은 중웨이주식(中伟股份), 거린메이(格林美), 후난방푸(湖南邦普), 화유코발트(华友钴业)로 모두 중국 기업이다. 이들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23%, 15%, 15%, 12%를 차지했다.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에 따르면, 중국 니켈 전구체 생산량 상위 5개 기업(위 4개 기업 외, 란저우진퉁(兰州金通) 포함)의 생산량 비중은 2018년의 44.5%에서 2023년 상반기의 74%로 증가하는 등 산업의 집중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니켈 전구체 주요 생산 기업>
국가
주요기업
생산제품
비고
1
중국
CNGR
(中伟股份)
삼원계/인산철 전구체, 하이니켈 NCM, 하이니켈 NCA, 사산화삼코발트
- 2023년 매출액: 342억73만 위안
- 한국 포항시에 산업기지 구축 기획 중
2
중국
GEM(格林美)
NCA, NCM-8/5/기타 시리즈, p-NCA, p-NCM-9/8/7/6/5/3 시리즈
- 2023년 매출액: 305억2900만 위안
- 2020년 ECOPRO BM와 초하이니켈 NCM 8/9시리즈 10만 톤급 조달협정 체결
3
중국
Brunp(湖南邦普)
니켈 전구체 등 배터리제품과 코발트∙니켈제품
재생 니켈 전구체, Brunp 인산철
- 2023년 매출액: 187억7189만 위안
- 니켈∙코발트∙망간 회수율 99.6%,
리튬 회수율 91%
- 폐배터리 회수 처리 규모와 자원 순환 생산능력 아시아 상위권
4
중국
Huayou Cobalt (华友钴业)
하이니켈-93DS, 하이니켈-9AL5, 하이니켈 80E, 하이니켈-8DS3, 5시리즈 저니켈-523A
- 2023년 매출액: 663억400만 위안
- 삼성SDI, LGC, 포스코, CATL 등 기업과 공급망 협약 체결
5
중국
KINGTON(兰州金通)
초하이니켈, 하이니켈, 단결정, 고출력 전구체 위주의 Ni3X, Ni9X, CNA 등 제품
- 니켈 전구체 연간 생산능력 10만 톤
- ‘14.5’계획 말 15만 톤 이상으로 예상
6
한국
에코프로(ECOPRO)
고용량 하이니켈 양극재 전구체, CSG(High-end NCM), 하이니켈계 NCA, NCM, NCMX
- 2023년 매출액: 9조 7465억 원
- 한국 최대 전구체 생산능력 보유
7
일본
Tanaka Chemical
(田中化学)
삼원계 양극재 재료(니켈∙코발트∙망간 화합물), 수산화니켈, 니켈계 양극재, 탄산니켈
- 모기업 스미토모화학의 2023년 1분기 매출액 5631억 엔
- 삼원계 양극재 미국 특허 획득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중국 내 니켈 전구체는 바이두 아이차이거우(百度爱采购), 1688(阿里巴巴), 징둥, 타오바오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해 거래되거나, 관련 제조업체 및 회수업체 홈페이지를 통해 직거래되고 있다.
관세율 및 수입 규제
2023년 현재 기준, 한국산 니켈 전구체 HS 2853.9030 기준 對中 수출 시 최혜국관세율(MFN)은 6.5%, 한중 FTA 관세율은 0%, RCEP 관세율은 0%다. HS 2853.9050 기준 對中 수출 시 최혜국관세율(MFN)은 5.5%, 한중 FTA 관세율은 0%, RCEP 관세율은 0%로 한중 FTA 관세율 혹은 RCEP 관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2023년 기준 중국 니켈 전구체 관세율 비교>
(단위: %)
HS CODE
MFN
한중FTA
RCEP
증치세
(부가가치세)
2853.9030
6.5
0
0
13
2853.9050
5.5
0
0
13
[자료: 2023년 중국 수출입세칙]
HS코드 2853.9030, 2853.9050 기준, 니켈 전구체는 중국에서 아직 수입 규제가 없다.
전망 및 시사점
글로벌 에너지 위기와 환경오염 문제가 지속 부각되면서 에너지 절약 친환경 관련 산업에 대한 귀추가 주목되는 가운데, 중국 정부는 신에너지와 신소재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 차원의 지원에 힘입어, 신에너지 및 신소재 산업은 하이엔드화, 스마트화 및 녹색화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신에너지차 투자를 확대하고 기술력을 강화함으로써, 신에너지차 생산량이 증가해 니켈 전구체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베이징 무역관과 인터뷰에서 “향후 니켈 전구체 산업은 안전화, 하이니켈화, 단결정화, 저코발트화로 고도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중국 배터리 기업은 규모화 발전 단계에 진입했으며 시장 경쟁은 나날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따라서 우리 기업은 하이니켈 전구체 기술 혁신과 제조 공정 개선을 통해 생산 비용을 낮추고 제품 경쟁력과 시장 인지도를 높여야 하며, 중국 국내 원료 가격 및 공급망 변화, 정책 등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자료: 화징산업연구원(华经产业研究院), 즈옌컨설팅(智研咨询), 즈옌잔산업연구원(智研瞻产业研究院), 관옌보고망(观研报告网), KOTRA 베이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니켈 전구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2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3
2021년 중국 2차전지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4
2021년 중국 의료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5
2021년 중국 신에너지차 산업 동향
중국 2022-01-17
-
6
중국 스마트 커넥티드카(ICV) 산업 동향
중국 2022-01-1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