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자흐스탄 산업 AI의 미래, 2025 디지털 알마티 전시회에서 엿보다
- 현장·인터뷰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김민정
- 2025-02-12
- 출처 : KOTRA
-
중앙아시아 최대 디지털 기술 관련 박람회를 통해 보는 중앙아시아 산업 AI 시장 현황
Alem.AI 국제 인공지능 센터 설립을 통한 카자흐스탄의 AI 생태계 육성 노력 가속화
전시회 개요
'Digital Almaty' 전시회는 2018년에 시작되어 올해로 7회를 맞이한 중앙아시아 최대의 디지털 기술 관련 행사이자 디지털 솔루션 및 정부 IT 전략 논의를 위한 플랫폼이다. 이번 전시회는 1월 31일부터 2월 1일까지 총 2일간 알마티 아타켄트 전시장에서 개최되었다.
<Digital Almaty 2025 전시회 정보>
행사명
2025 Digital Almaty
기간
2025.1.31.(금)~2.1.(토)
장소
카자흐스탄 알마티 Atakent International Exhibition Hall
주최기관
카자흐스탄 디지털 개발·혁신·항공우주 산업부. 카자흐스탄 외교부,
알마티 시정부(Akimat of Almaty), 아스타나 허브(Astana Hub)
참가규모
참가자 약 2만 명, 연사 약 300명, 전시 기업 약 230개사
홈페이지
https://en.almatydigital.kz/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Digital Almaty 2025’ 에서는 "산업 AI: 새로운 시대를 위한 기술(Industrial AI: Technologies for a New Era)"이라는 주제로 산업 생태계 내 AI 통합, 경제 및 금융 분야에서의 AI 활용, ESG 이니셔티브, AI 기반 의료 및 교육 혁신, 사이버 보안 등에 대해 주요하게 논의하였다. 전 세계에서 300여 명의 연사들이 40개 이상의 세미나를 주관하였고, 국제 IT 기업, 벤처캐피털, 정부 기관, 산업 전문가 등 2만여 명의 참관객들이 방문하였으며, AI, 로보틱스, 핀테크, 매드테크 등 스타트업 기업 80개사를 포함하여 총 220개 기업이 부스를 운영하였다. 옥스퍼드 인사이트의 CEO 리처드 스털링, 딥러닝.AI의 창립자 앤드류 응, 튜링상 수상자 얀 르쿤과 VEON의 CEO 칸 테르지오글루도 참석해 산업 AI에 관한 의견을 개진했다. 카자흐스탄, 아제르바이잔, 벨라루스, 키르기스스탄, 러시아,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아르메니아, 이란 등 정부 지도자 및 유라시아경제위원회(EEC) 대표인 미하일 먀스니코비치 위원장이 참가하였으며, 러시아의 미하일 미슈스틴 총리도 참석했다.
<전시회 현장 사진>
[자료: KOTRA 알마티무역관, Digital Almaty 2025]
전시회 주요 내용
카자흐스탄 디지털 개발·혁신·항공우주 산업부, 카자흐스탄 외교부, 알마티 시정부(Akimat of Almaty), 아스타나 허브(Astana Hub)가 주관한 동 행사에서는 카자흐스탄 AI 생태계 전환을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포럼에서는 벤처캐피털, 정부 보조금, 기술 단지 내 AI 발전 등의 주제로 다양한 전문가들이 의견을 교환했다. 전문가들은 산업 AI의 역할이 디지털 전환 가속화, 비용 절감, 생산성 향상,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에 기여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앤드류 벡레미셰프 카자흐스탄 디지털 개발부 공공위원회 의장은 AI는 단순한 데이터 분석을 넘어 산업 효율성 증대, 위험 예측, 프로세스 최적화를 통해 산업을 변화시키고 있다고 발언했다. 최근 카자흐스탄은 특히 AI 기반 디지털 작업 시스템을 통한 프로세스 자동화, 작업 효율 제고 등의 솔루션 도입에 적극적이며, 관련 인력 양성 및 교육에도 적극적인 정부 투자가 진행되고 있음 또한 강조했다.
AI 윤리 및 보안 문제에 관한 심도 깊은 토론 또한 진행되었다. 카자흐스탄 내무부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카자흐스탄 국민들은 약 8,600만 달러를 인터넷 사기에 의해 잃었으며, 피해자의 98%가 자발적으로 인터넷을 통해 개인정보를 제공한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사켄 사르세노프 내무부 차관은 사기범들이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해 가짜 영상 및 오디오를 제작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정보 보안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참여한 한 연사는 AI는 오히려 위기 대응, 헬스 케어, 장애인을 위한 지원 등에서 강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나 동시에 사회적 불평등, 프라이버시 침해, 알고리즘 편향, 국가 안보 위협 등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고 따라서 AI 개발 과정에서의 투명성과 윤리적 준수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AI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발전을 위한 정부의 규제 원칙 수립(데이터 처리 감시, 조작 방지, 환경 영향 최소화 등)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포럼과 세미나 외에도 전시회는 AI 및 디지털 전환 스타트업 경진대회(Industry AI Battle), 디지털 혁신 기업 및 프로젝트 시상식(Digital Awards 2025), 그리고 스타트업 기업들을 위한 투자자들과의 네트워킹 세션(Startup Alley)으로 구성되었다. 사람들의 동작을 따라하는 로봇이 대형스크린을 통해 송출되는 등 인터랙티브 전시 또한 관람객의 눈길을 끌었다. 나자르바예프 인텔리전스 스쿨(Nazarbayev Intellectual Schools, NIS)의 고등학생들이 카자흐스탄의 전통 문화 요소를 담은 3D 애니메이션 게임을 공개해 열렬한 호응을 받기도 했다. 어린이들이 참가한 로봇 챔피언십에서는 상위 4개 팀이 국제 대회 출전권을 획득했으며, 국제 드론 축구 연맹(FIDA) 주관 하에 Digital Almaty Multi-Drone Championship (MDC)이 개최되었다.
<스타트업 경진대회 및 드론 축구대회 전경>
[자료: KOTRA 알마티무역관, Digital Almaty 2025]
카자흐스탄의 새로운 AI 이니셔티브
이번 포럼에서 가장 주목받은 내용 중 하나는 올자스 벡테노프 카자흐스탄 총리가 발표한 Alem.AI 프로젝트였다. 올자스 백테노프 총리는 동 전시회에서 글로벌 IT 기업들이 AI 혁신을 위해 협력하는 만큼 EAEU 국가들도 Alem.AI 국제 AI 센터를 중심으로 AI 공동 개발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카자흐스탄 카심-조마르트 대통령은 AI 산업 육성 및 벤처 투자 확대를 위해 2024년 12월 Alem.AI 국제 인공지능 센터(Alem.AI Inter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Center)를 아스타나 엑스포 내에 설립하는 계획을 승인했다. 7년 간 전시 센터 역할을 해온 Nur Alem(총 면적 20,000㎡)이 AI 허브로 새롭게 개관하였다.
Alem.AI 국제 인공지능 센터(Alem.AI Inter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Center)의 목표는 카자흐스탄을 AI 중심 국가로 변모시키고, 국가의 사회·경제 전반에서 혁신과 기술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Alem.AI는 과학, 산업, 창의 산업, 공공 서비스 등 핵심 분야에서 AI 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투자를 유치하고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AI 생태계를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동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 디지털 개발·혁신·항공우주 산업부가 주관하며 정부는 AI 생태계 육성을 위해 국가 AI 전략(National AI Strategy)을 수립하고, AI 전담 위원회(Committee for 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립하며, 아스타나 허브(Astana Hub)에서 10억 달러 규모 벤처 투자 펀드를 조성했다.
Alem.AI 센터는 정기적인 채용 박람회와 AI 해커톤 및 스타트업 경진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9~12학년 학생들을 위한 AI 및 로봇 교육을 제공하고, 카자흐스탄 최초의 P2P AI 교육센터(TUMO School)를 설립하여 무료 AI 교육 프로그램 또한 제공할 계획이다. AI 스타트업 캠퍼스를 통해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하고 혁신 기술 개발 및 지속가능한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며, AI 연구소를 통해 정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솔루션 연구, 정부 데이터 분석, 공공 서비스 AI 최적화 등 프로젝트 수행 및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기존의 혁신기술 분야를 전담하던 Astana Hub와의 협력을 통해 창업 자금을 확보하고 AI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아스타나 허브에는 Playrix, TikTok, inDrive, EPAM, Glovo, DAMUMED, Presight.ai 등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입주를 완료했으며, Alem.AI 센터에는 Telegram, TON, Tether, inDrive, Google 등의 기업들이 연구소를 설립하고 새로운 AI 제품 개발을 위한 협약을 논의 중이다.
<Alem.AI와 Digital Almaty 2025>
[자료: Prime minister.kz]
시사점
7회 차를 맞이하는 Digital Almaty는 중앙아시아 및 EAEU 시장에서 부상한 카자흐스탄의 위상을 보여주며 예년보다 더욱 확대된 규모로 진행되었다. 디지털 알마티 포럼에서는 ‘AI-Driven: 정부, 비즈니스, 사회’라는 주제로 정부와 기업 간 AI 도입 협력에 관한 내용이 주요하게 논의되었다. 특히 디지털 전환 성공을 위한 인프라 투자 및 인력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또한 유라시아경제연합(EAEU)의 디지털 통합 및 경제협력도 주요한 의제로서 논의되었다. 바키트잔 사긴타예프(Bakytzhan Sagintayev), 유라시아경제위원회(EEC) 위원장은 EAEU 내 디지털 솔루션 통합을 위한 "디지털 연합(Digital Union)" 개념을 발표하고, 디지털 주권 보호를 유지하면서 경제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국경 간 디지털 신원 시스템 도입을 통해 연금 계산 등 행정 절차 간소화 하며, 디지털화를 통해 무역, 노동 이동성을 개선하고 정부 서비스를 개선할 수 있다고도 언급했다.
전시회에 참가한 카자흐스탄 B통신사의 대외협력부 이사 예브게니 바비체프는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전국적인 AI 기술의 도입 및 디지털 전환을 위해서는 위성 통신 사업자와 국가의 협력을 통한 위성 네트워크망의 확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광섬유 인터넷은 설치비용이 높아 Fixed Wireless(고정형 무선 인터넷) 솔루션이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통신 관련 장비 수입을 위한 복잡한 행정 처리를 애로사항으로 언급하며, 정부 제출 문서 처리가 12-18개월이나 걸리는 현황을 비판하고, 규제 완화가 선행되어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카자흐스탄은 AI 기반 디지털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정부는 민관과 협력하여 주도적으로 AI 기술의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Alem.AI 국제 인공지능 센터 개설, AI 관련 벤처 투자 확대, 5G 및 위성 통신 인프라 확장, 산업 AI 도입 등 AI 혁신 생태계 구축이 활발하다. 한국의 AI 솔루션 기업들은 우선 AI 시장 기회를 분석하고 AI 특화 산업을 타겟으로 한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통해 시장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에서는 광산, 석유, 가스 등 주요 산업의 생산 공정 최적화 및 자동화 솔루션 제공, AI 기반 장비 유지보수 기술 도입이 유망하며, 그 외에도 핀테크 및 금융 AI 솔루션, 헬스케어 AI 솔루션, 네트워크 최적화 및 통신 AI 솔루션, 스마트 시티 및 교통 AI 솔루션 분야가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보다 안정적인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현지 IT 기업과의 파트너십 체결 또는 아스타나 허브의 AI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자료: Digital Almaty 2025, Astana times, Astan-Hub, Prime minister.kz, KOTRA 알마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카자흐스탄 산업 AI의 미래, 2025 디지털 알마티 전시회에서 엿보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카자흐스탄 원전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4-10-21
-
2
2024년 카자흐스탄 스마트팜 시장
카자흐스탄 2024-07-09
-
3
2023년 카자흐스탄 소비재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3-12-20
-
4
2023년 카자흐스탄 제조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3-12-20
-
5
2022년 카자흐스탄 보건산업
카자흐스탄 2022-08-09
-
6
2021년 카자흐스탄 농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