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 Beauty+Health Wellness Manila 참관기
- 현장·인터뷰
- 필리핀
- 마닐라무역관 이세영
- 2024-10-10
- 출처 : KOTRA
-
Keyword #K-뷰티 #필리핀 시장 #스킨케어 #화장품 수입 #박람회 #SMX 컨벤션 센터 #글로벌 제조업체 #소비자 트렌드 #공급망 차질 #온라인 플랫폼 (Lazada/ Shopee)
K-뷰티의 성장과 필리핀 시장의 변화
2024 Beauty+Health Wellness Manila 박람회에서 한국 기업들의 성과
전시회명
Beauty + Health & Wellness Manila 2024
전시회 포스터
개최 일자
2024년 9월 19~21일
개최 장소
SMX 컨벤션 센터(SMX Convention Center Manila)
홈페이지
https://beautyandwellnessmanila.com/
주최
Global-Link MP Events International, Inc.
규모
참가기업 약 750여 개사, 관람객 약 20만 명
전시 분야
뷰티산업
[자료: Beauty + Health & Wellness Manila 2024 홈페이지]
개최 전 많은 기대를 모았던 뷰티+헬스&웰니스 마닐라 2024(Beauty + Health & Wellness Manila 2024) 박람회는 지난 2024년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마닐라 SMX 컨벤션 센터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Globallink MP가 주최한 이번 박람회는 '호텔 및 식품 서비스 전시회(Hotel & Foodservice Suppliers Show 2024)', '운송 및 물류 박람회(Transport and Logistics Philippines 2024)'와 동시 개최돼 더욱 다양한 분야의 관람객과 참가사들의 주목을 받았다.
<행사장 전경>
[자료: 박람회 홈페이지(좌),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체 촬영(우)]
해당 박람회는 작년과 동일하게 미용, 건강 및 개인 관리 제품을 비롯한 원자재 및 서비스 산업을 한자리에 모아 현지 및 글로벌 제조업체, 소매업체 및 유통업체가 참여했다.
필리핀에 불어든 K-뷰티 열풍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길어진 실내생활로 자기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스킨케어에 대한 인식이 확대됐다. 필리핀 내 스킨케어 품목에 관심 증가와 동반해 수분 공급, 피부 보호, 건강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또한 급증하고 있다. 이번 박람회에 참가한 한국 업체들은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한 스킨케어 브랜드부터 생활용품 브랜드까지 다양한 품복을 선보이며 필리핀 소비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었다.
<전시회 참가 한국 기업 개요>
기업명
설명 및 제품군
웹사이트
INDICELLBIO INC
화장품
https://rehacos.com/
BTYLAB KOREA
생활용품
http://www.btylab.net/
COSRX
화장품
https://www.cosrx.com/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DB]
<박람회 스폰서 기업(좌), 참가기업 부스전경(우)>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 촬영]
올해로 필리핀 진출한 지 7번째 해를 맞이한 국내 화장품 브랜드 COSRX는 현지 오프라인 화장품 및 의약품 소매 플랫폼 Watsons와 더불어 온라인 플랫폼인 Lazada, Shopee를 통해 점차 인지도를 높여나가고 있으며, 이번 박람회의 공식 스폰서로서 자리매김한 성과를 보였다.
<박람회 참가기업 부스 전경>
[자료: KOTRA 마닐라무역관 자체 촬영]
올해 최초로 필리필 뷰티박람회에 참가한 국내 화장품 브랜드, Indicellbio Inc 담당자는 KOTRA 마닐라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작년 현지 온라인 플랫폼인 Shopee를 통해 필리핀 시장에 진출했다”라고 밝히며 “이번 박람회를 통해 네트워킹 확장 및 잠재바이어를 만날 수 있는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해당 국내업체는 KOTRA 마닐라 무역관의 지사화 지원을 통해 이번 박람회에 참가하게 됐으며 앞으로도 마닐라무역관은 해당 업체를 비롯한 타 동종 업계의 성공적인 해외진출을 위해 지속적인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시사점
<필리핀 연간 화장품 수입 통계. (HS Code 3304.99 기준>
(단위: US$, %)
순위
구분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전체
2021
2022
2023
2021
2022
2023
‘23/’22
117,308,039
137,976,962
126,105,877
100.00
100.00
100.00
-8.60
1
중국
26,647,456
28,187,730
29,383,705
22.72
20.43
23.30
4.24
2
인도
8,406,708
13,188,666
11,514,140
7.17
9.56
9.13
-12.70
3
일본
11,068,267
12,347,090
10,260,665
9.44
8.95
8.14
-16.90
4
한국
9,323,026
12,316,405
8,477,160
7.95
8.93
6.72
-31.17
5
미국
7,695,718
8,914,624
8,415,393
6.56
6.46
6.67
-5.60
6
태국
6,915,931
7,332,597
7,879,146
5.90
5.31
6.25
7.45
7
싱가포르
6,929,632
8,116,882
7,094,609
5.91
5.88
5.63
-12.59
8
말레이시아
5,286,286
6,378,321
5,921,836
4.51
4.62
4.70
-7.16
9
베트남
4,164,454
4,459,192
4,708,902
3.55
3.23
3.73
5.60
10
대만
5,747,289
6,798,632
4,686,058
4.90
4.93
3.72
-31.07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4.10.1.]
국제 무역 통계 기구인 Global Trade Atlas의 최근 통계에 따르면, 코로나 이후 필리핀의 화장품 수입이 회복됐으나 2023년 필리핀의 한국 화장품 수입은 감소한 모습을 보였다. 주요 요인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제 상황의 불안정성이 소비자들의 지출 감소에 영향을 미치면서 소비를 더욱 신중을 기했다. 이러한 가처분 소득의 감소는 화장품과 같은 비필수품에 대한 수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배송비 상승과 배송 지연 등 공급망 차질로 인해 제품 가격 상승으로 지출에 민감한 소비자들에게 매력도가 낮아서 소비 감소에 더욱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작년 대비 올해 6월 통계에 따르면 필리핀의 한국 화장품 수입률은 6.30%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지속적인 K-뷰티의 소비자 니즈에 대한 변화와 대응력을 바탕으로 입지를 공고히 다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공급망 문제, 규제 변화와 같은 도전과제가 여전히 남아있지만, 디지털 및 제품 혁신 지속가능성에 대한 한국 화장품 업계의 선제적인 전략은 앞으로의 성장과 회복력을 위해 긍정적인 기반을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 Global Trade Atlas, Beautyandwellnessmanila 홈페이지, KOTRA 마닐라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 Beauty+Health Wellness Manila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4년 필리핀 프랜차이즈 산업 정보
필리핀 2024-12-23
-
2
2021년 필리핀 BPO 산업 정보
필리핀 2021-11-05
-
3
2021년 필리핀 산업 개관
필리핀 2021-07-02
-
4
필리핀 부동산 산업
필리핀 2020-07-06
-
5
필리핀 통신산업 정보
필리핀 2020-06-11
-
6
필리핀 관광산업
필리핀 2019-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