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증정보

품목명,최종업데이트,mticode,hscode,국가,무역관,제도명,인증구분,인증유형,인증마크,도입시기,근거규정,제도내용,품목정의,적용대상품목,확대적용품목,인증절차,시험기관,인증기관,유의사항 항목 순으로 인증정보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표

품목 명 유무선 통신기기 부품 최종 업데이트 2025-04-09
MTI CODE HS CODE 851779
국가 미국 무역관 워싱턴DC무역관
제도 명 FCC 인증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Certification)
인증 구분 강제 인증 유형 현행
인증마크 FCC logo
도입시기 ▪ FCC는 1934년 설립된 미국 연방 통신위원회로, 통신과 관련된 모든 장비의 전파 방출 기준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요구하는 인증 절차
▪ 1970년대부터 전자파 간섭(EMI) 및 전파 방출 기준을 강화하여 모든 무선 및 유선 통신 장비에 대해 인증 의무화
근거 규정 ▪ FCC 규정은 미국 Code of Federal Regulations(CFR) Title 47, Part 15 및 Part 68에 기반
- Part 15: 전자파 방출 및 간섭 규제
- Part 18: 산업, 과학 및 의료 장비(ISM)의 전자파 방출 규제
제도 내용 ▪ FCC 인증은 제품이 전자파 방출 기준을 준수하도록 요구하며, 미국 내 판매되는 모든 유무선 통신기기에 필수적으로 적용
▪ FCC 인증은 제품의 유형에 따라 세 가지 방식*으로 구분
* Verification(검증), Declaration of Conformity(적합성 선언), Certification(인증)
품목정의 유무선 통신기기 부품(Wireless and Wired Communication Device Components)은 송수신 장치, 모뎀, 라우터, 안테나 등 통신 네트워크에 필요한 하드웨어 부품을 포함
적용대상품목 ▪무선 통신 장비: 스마트폰, Wi-Fi 장치, 블루투스 장치, 무선 라우터, 기타 무선 전자기기 등
▪TV, 라디오 송신기 및 수신기: 방송용 장비, 수신 기기 등
▪전파를 사용하는 기타 장비: 레이더, 드론, GPS 장치 등
확대적용품목
인증절차 ▪(1) FCC 인증 신청
(Certification)
- 제조자는 FCC Grantee Code*를 신청하여 발급
* Grantee Code는 FCC ID의 첫 3자리로, 제조업체 고유 번호
- FCC에 등록된 시험소에서 제품의 전자파 적합성 시험을 수행한 후 시험 성적서 발급
- 신청자는 FCC Form 731(신청서)을 작성하고 시험 성적서, 기술 자료, 제품 사진(내부 및 외부), 사용자 설명서, 라벨 도안 등을 포함하여 TCB에 제출
(SDoC)
- 미국 소재 제조업체 또는 수입업체가 제품이 FCC 규정에 적합하다는 적합성 선언서를 작성
- 별도의 FCC ID 발급이 필요하지 않으며, 시험 성적서는 자체적으로 유지

▪(2) 시험 및 평가
- 승인된 시험소에서 제품의 전자파 방출 수준과 간섭 여부 평가
- FCC 규정에 따라 제품이 Part 15(전파 방출 규제) 또는 Part 18(산업용, 과학용, 의료용 장비 규제)에 맞는지 적합성 평가
* 시험은 ANSI C63.4 표준에 따라 수행

▪(3) 최종 승인 및 마크 부착
(Certification)
- TCB는 제출된 서류를 검토하고 제품이 규정을 충족하면 FCC ID를 발급
- 승인된 제품은 반드시 FCC ID를 제품과 사용자 설명서에 표시
(SDoC)
- 적합성 선언서와 함께 제품 출하 시 SDoC 관련 마크를 부착하며, 사용자 설명서에 해당 문구 포함

▪(4) 사후 관리 프로그램
- 인증 이후에도 제품이 규정을 지속적으로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인 사후 검사 실시
- Certification의 경우 FCC 또는 TCB가 공장 방문 및 제품 변경 사항 검사를 수행
시험기관 ▪Compliance Testing LLC: https://compliancetesting.com/fcc-certification-process/
▪Intertek: https://www.intertek.com/communications-equipment/fcc-certification/
▪TÜV SÜD: https://www.tuvsud.com/en-us/services/product-certification/fcc-tcb
인증기관 ▪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유의사항
인증획득 절차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인증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인증기관 #1
기관 명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홈페이지 www.fcc.gov
담당부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기타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시험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기관 #1
기관 명 Intertek
홈페이지 https://www.intertek.com/communications-equipment/fcc-certification/
담당부서
전화번호
팩스번호
이메일
기타

인증절차도 첨부파일을 알 수 있는 표

인증절차도
비용·소요기간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시험비용, 소요기간 항목 순으로 비용 및 소요기간을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시험 비용
소요 기간

초기공장심사비용,인증비용,소요기간,인증유효기간,사후관리비용,자료원 항목 순으로 비용 및 소요기간을 알 수 있는 표

구분 인증
초기공장심사 비용
인증 비용 ▪ 제품 유형과 인증 방식에 따라 상이
소요 기간 ▪ 제품 유형에 따라 상이하나 약 4주~12주 소요(제품 시험 완료 후 신청 및 서류 검토 포함)
인증 유효기간 ▪ 공식적인 유효기간은 없으며, 제품 사양 변경 시 재인증 필요
▪ 인증 유지 비용(연회비) 및 정기적인 사후 관리 심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 가능
사후관리 비용
자료원 ▪ FCC 공식 홈페이지: https://www.fcc.gov/
▪ 한국기술인증원: http://www.ktcerti.com/
유의사항

필요서류,유의사항,기타,첨부파일 항목 순으로 유의사항을 알 수 있는 표

필요 서류 ▪ FCC Form 731: 신청자의 FCC 등록번호(FRN)와 FCC ID를 포함한 문서
▪ 기술자료: 회로도, 계통도, PCB Layout 등
▪ 사진: 제품 외관 및 내부 사진
▪ 사용자 설명서 및 라벨 도안
▪ 기타: 기밀보완요청서(Confidential Letter), 시험 성적서 등
유의 사항
기타
첨부 파일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유무선 통신기기 부품)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