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증정보

품목명,최종업데이트,mticode,hscode,국가,무역관,제도명,인증구분,인증유형,인증마크,도입시기,근거규정,제도내용,품목정의,적용대상품목,확대적용품목,인증절차,시험기관,인증기관,유의사항 항목 순으로 인증정보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표

품목 명 원격조절장치 (8526.92) 최종 업데이트 2024-10-17
MTI CODE HS CODE 852692
국가 베트남 무역관 하노이무역관
제도 명 적합성 관련 국가기술규정(QCVN)
인증 구분 강제 인증 유형 현행
인증마크
도입시기 ㅇ QCVN 96:2015/BTTTT: 2015년11월 15일(9kHz - 3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55:2023/BTTTT: 2023년 11월 27일(9kHz - 4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73:2013/BTTTT: 2013년 7월 10일(25kHz – 1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74:2020/BTTTT: 2020년 11월 6일(1GHz – 40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47:2015/BTTTT: 2015년 5월 29일(그 외 무선 전파 조절기기)
근거 규정 ㅇ 베트남 정보통신부(MIC) 관리 시행규칙 Circular 11/2020/BTTTT
ㅇ 시행령Decree 132/2008/ND-CP(공표일: 2008.12.31.): 상품품질법의 일부 조항 세부 설명 추가
ㅇ 시행령 Decree 74/2018/ND-CP(공표일: 2018.5.15.)
ㅇ 시행령Decree 154/2018/ND-CP(공표일: 2018.11.9.)
ㅇ 시행규칙Circular 30/2011/TT-BTTTT(공표일: 2011.10.31)
ㅇ 시행규칙Circular 15/2018/TT-BTTTT (공표일: 2018.11.15)
ㅇ 시행규칙Circular 02/2024/TT-BTTTT (공표일: 2024.4.5.):
제도 내용 베트남 정보통신부 관리 시행규칙 Circular 02/2024/TT-BTTTT의 부록1에 나열된 무선제어기기는 국가기술규정(QCVN) 강제 적용 대상임. 수입 무선제어기기도 QCVN 통과 후 CR Mark를 발급 받고, CR Mark를 제품에 부착해야 함.

무선제어기기(송수신장치)는 주파수 및 용도별로 다른 QCVN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주파수 및 용도가 겹치는 경우 해당되는 모든 기준을 충족해야함.
품목정의 무선원격제어장비
적용대상품목 ㅇ 무선원격제어장비
- 산업 및 민간 용도의 모델 및 제어를 제어하기 위해 전파를 사용하는 장비
확대적용품목
인증절차 * 베트남 시장에서 자유판매 전, 상기 나열된 부록2의 수입 원격조절기기에 강제 적용되는 인증 절차

ㅇ 수입 및 품질 관리 절차
1, VNTA에 수입품 품질 국가검사 등록
- 통관을 완료하기 위해서는 선적 서류들과 함께 VNTA가 인증한 신청서를 세관에 제출해야 함.
2. 국가기술규정(QCVN) 테스트를 위해 현지 인증기관에 샘플 전달 및 검사 신청
- 서비스 의뢰 에이전시로부터 테스트 결과 보고서 발급 받음.
3. QCVN 적합성을 자체평가하여 서류 준비
4. VNTA에 적합성 통지서 제출
5. ICT CR Mark를 수입 제품에 부착. 이 후, 베트남 시장에서 수입 원격조절기기를 자유판매할 수 있음.

ㅇ 품질 관련 특별 관리
- 담당 기관: 베트남 정보통신부 산하 VNTA
시험기관 1. Technical Center of the Authority of Radio Frequency Management (ARFM)
- 하노이에 본사, 호찌민시에 지점
- 베트남 정보통신부 산하 기관

2. Telecom Quality Measurement Center
- 하노이에 본사, 중부 및 남부 지역에 각각 지점 있음.
- 정보통신부 산하 VNTA 소속 기관

3. QUATEST 3
-베트남과학기술부 표준계량품질 관리국(STAMEQ) 산하 기관
인증기관 1. Technical Center of the Authority of Radio Frequency Management (ARFM)
- 하노이에 본사, 호찌민시에 지점
- 베트남 정보통신부 산하 기관

2. Telecom Quality Measurement Center
- 하노이에 본사, 중부 및 남부 지역에 각각 지점 있음.
- 정보통신부 산하 VNTA 소속 기관

3. QUATEST 3
-베트남과학기술부 표준계량품질 관리국(STAMEQ) 산하 기관
유의사항
인증획득 절차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인증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인증기관 #1
기관 명 Quality Assurance & Testing Center3 (QUATEST3)
홈페이지 www.quatest3.com.vn
담당부서
전화번호 +84-61-3836-212 (in Dong Nai), +84-8-3822-5298(31, Han Thuyen St., D.1 HCMC), +84-918-048-038
팩스번호 +84-283-829 3012
이메일 dh.cs@quatest3.com.vn
기타

기관명,홈페이지,담당부서,전화번호,팩스번호,이메일,기타 항목 순으로 시험기관 인증획득 절차를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기관 #1
기관 명 Quality Assurance & Testing Center3 (QUATEST3)
홈페이지 www.quatest3.com.vn
담당부서
전화번호 +84-61-3836-212 (in Dong Nai), +84-8-3822-5298(31, Han Thuyen St., D.1 HCMC), +84-918-048-038
팩스번호 +84-283-829 3012
이메일 dh.cs@quatest3.com.vn
기타

인증절차도 첨부파일을 알 수 있는 표

인증절차도
출처 : KTR 사이트
비용·소요기간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시험비용, 소요기간 항목 순으로 비용 및 소요기간을 알 수 있는 표

구분 시험
시험규격 혹은 시험항목 ㅇ QCVN 96:2015/BTTTT: (9kHz - 40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55:2023/BTTTT: (9kHz - 25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73:2013/BTTTT: (25kHz – 1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74:2020/BTTTT: (1GHz – 40G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작동)
ㅇ QCVN 47:2015/BTTTT: (기타 무선기기)
시험 비용
소요 기간

초기공장심사비용,인증비용,소요기간,인증유효기간,사후관리비용,자료원 항목 순으로 비용 및 소요기간을 알 수 있는 표

구분 인증
초기공장심사 비용
인증 비용 인증 종류별로 상이
소요 기간 인증 종류별로 상이
인증 유효기간 3년
사후관리 비용
자료원 www.quatest3.com.vn / 및 KTC
유의사항

필요서류,유의사항,기타,첨부파일 항목 순으로 유의사항을 알 수 있는 표

필요 서류 - 인증 종류별 상이
유의 사항
기타
첨부 파일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원격조절장치 (8526.92))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