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오만 홈페이지 위장 사기업체 주의보
  • 무역사기사례
  • 오만
  • 고민정
  • 2024-07-08
  • 출처 : KOTRA

 □ 사례


 국내 화장품 업체인 B사는 오만의 N사로부터 제품을 사고 싶다는 이메일을 받았다. N사는 자기회사가 오만에 있는 허가된 무역 및 유통 회사이며, 이미 자신들과 거래하고 있는 바이어와 파트너가 여러개 있는 잘 알려진 회사라고 소개해 왔다. 

 또한 N사는 보통 주문 시 대량으로 구매하나, B사의 최대 수출량을 고려하여 주문하고자 월간 최대 주문량을 문의하였고, 구매방식으로 100% T/T와 선적 전 배송비 입금 등 B사에 최대한 맞춰주고자 하는 거래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국내 B사는 교신을 주고받은 담당자의 이메일 주소와 N사 홈페이지에 기재된 메일 주소가 같지 않아 의심이 되어 KOTRA에 회사 정보 조회 요청을 하였다.

 무역관 확인 결과, ⓵ 홈페이지 내 전화번호가 연결되지 않는 번호인 점, ⓶ 기업등록 사실 검색이 불가한 점, ⓷ 사기업체로 판단되는 카타르 내 다른 업체의 홈페이지와 매우 유사한 점을 보아, N사 또한 사기업체로 판단되어 국내 B사에 교신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였다.



□ 무역 사기 기업 의심 포인트


1. 웹사이트 내 불명확한 회사 정보

 오만의 유선전화번호는 일부 공공기관의 특수한 경우(8)를 제외하고는 2로 시작하며, 휴대전화 번호는 7 또는 9로 시작한다. 해당 홈페이지에 있는 번호는 3으로 시작하며 연결이 되지 않는 번호였다.

 또한, 홈페이지 내 방문주소 및 사진은 오만이 아닌 바레인으로 확인되었다.


2. 기업등록 사실 검색 불가

 무역관에서 해당 기업의 영문기업명 조회를 시도하였으나, 확인할 수 없었다.

사기기업은 우리기업이 국내에서 현지 주소 및 신용정보 확인이 어려운 점을 악용한다.


3. 다른 국가 업체의 비슷한 포맷의 웹사이트 발견

 위 사례에서 오만 N사의 기업 조회 중, 카타르에 있는 회사의 홈페이지(T사)와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카타르 관할무역관에서는 T사의 기업 존재 여부가 불투명하며 최근 해당 기업에 대한 기업 신용도 확인 문의가 지속해서 들어오고 있어 사기 기업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일부 사기 기업의 경우 비슷한 포맷의 웹사이트를 회사명만 바꾸어 무역 사기를 시도하므로 우리기업은 주의할 필요가 있다.



□ 무역 사기 예방법


1. 오만 기업정보 조회

 오만의 기업정보 조회는 오만 상공투자진흥부 홈페이지(http://www.business.gov.om) 에서 사업자 등록 번호인 CR(Commercial Registration) 또는 기업명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단, 기업이 아랍어로만 등록한 경우, 검색이 되지 않을 수 있음. 또한, 기업등록 유무가 기업의 신용도를 반영하지는 않음.)

https://www.business.gov.om/portal/searchEstablishments?execution=e2s1




2. 홈페이지 내 기업정보 확인

 잘 구축된 홈페이지를 보유하고 있더라도 세부 항목들을 자세히 살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연결할 수 있는 유무선 전화번호 기재 여부 (왓츠앱 같은 메신저로만 교신이 가능한 경우 주의), 일반적인 형태의 전화번호 (오만은 국가번호 968 뒤 2, 휴대폰 번호는 7 또는 9로 시작), 실주소의 실존 여부 확인 등과 같은 기업정보들을 조작하여 기재해 두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사기업체 중 일부는 우리 기업이 실제 현장 실사가 어렵다는 점을 악용해 오만 내 사업자 등록이 정상적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 운영 중인 사업장이 없는 예도 있으므로, 송금 또는 거래 전 무역관에 문의하여 기업의 실재 여부 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사례 출처 : KOTRA 무스카트 무역관의 실제 지원 내용 및 무역관에서 작성한 글을 종합함 

※ 참고 사이트 : Kotra 해외시장뉴스 _ 무역 사기 예방을 위한 오만 기업정보 조회 방법( https://me2.do/5ISMw044 )


     







* 무역사기 상담문의


- 전화상담 : 김상겸 무역사기 담당 수출전문위원 (02-3460-7340) 또는 

                최철식 무역사기 담당 수출전문위원 (1600-7119 연결번호 2번 누른 후 6번) 

  

- 온라인상담 : ① kotra무역투자24(www.kotra.or.kr) -> 문의.상담 -> 온라인상담 -> 상담신청

                   ② 분야선택 : 무역-무역분쟁-무역사기/분쟁 문의 

                   국가/무역관 선택 후 문의내용 작성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