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최세령
- 2024-11-05
- 출처 : KOTRA
-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 중남미 두 번째 규모
공공 입찰 시장에서는 혁신 제품 공급이 유리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에 기반한 시장 진입 필요
상품명 및 HS코드
HS 코드 9018은 의료, 외과, 치과, 수의용 기기 및 장비 전반을 포함하는 상위 분류로, 다양한 의료 및 진단 장비, 기구, 도구를 포괄한다. 하위 분류인 HS 코드 9018.90은 특정한 기기나 장비가 아닌 기타 의료 장비 및 기기 또는 부속품을 포함하는 항목에 해당한다.
시장 동향
멕시코는 브라질에 이어 중남미에서 두 번째로 큰 의료기기 소비 시장을 보유하고 있으며, 북미에 의료 기기를 공급하는 제조업도 발달해 있다. 시장조사기관 피치 솔루션은 2023년 멕시코의 의료기기 시장 규모를 약 85억 달러로 평가했다. 의료기기 제조는 국가 유망산업 중 하나로 평가되며, 국내외 경제기관들이 자주 언급하는 분야이기도 하다. 아울러, 2023년에는 멕시코가 의료기기 6위 수출국이자 10위 수입국으로서 두각을 나타냈다. 멕시코는 국내총생산 대비 공공 보건 지출이 낮은 국가로, 국내총생산 대비 3.1% 공공 보건 지출을 보인다. 인구 규모와 성장 잠재력을 고려했을 때 한국 기업들에게 유망한 시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의 의료 부문은 공공, 민간 부문 양쪽 모두 수요가 높으며, 공공 부문의 낮은 의료 서비스,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자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민간 의료 부문이 성장하면서 새로운 시장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 2023년 기준, 멕시코에는 총 3587개의 병원이 있으며, 그중 36%는 공공 병원, 64%는 민간 병원이다.
<2024년 멕시코 병원들이 보유 중인 주요 의료기기(HSCODE: 9018)>
(단위: 개)
기기 이름
기기 대수
마취기
8,775
초음파 기기
5,342
엑스레이 기기
4,286
전자 의료기록 장치
1,874
복강경 수술 장비
1,236
C-암 장치
1,210
유방 촬영 시스템
1,057
단층 촬영기
1,042
PACS** 시스템
579
자기공명영상(MRI) 기기
381
혈관 조영기
294
선형 가속기
112
감마 카메라
104
PET** 시스템
41
*디지털 의료영상이미지를 저장, 가공, 전송하는 시스템
**신체의 대사 활동을 측정하고 이미지를 생성하는 의료 장비
[자료: 글로벌 헬스 인텔리전스, 2024.06.]
영상 진단 장비는 멕시코 의료 부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 병원들은 영상 및 모니터링 기술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으며. 관련 의료기기로는 초음파 기기(5342대), 엑스레이 기기(4286대)가 있다. 반면, MRI 기기(381대), PET 시스템(41대), 감마 카메라(104대)와 같은 방사선 및 자기장 영상 장비는 상대적으로 적게 보급돼 있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기기에 대한 접근성도 제한돼 있는 것으로 평가 받는다. 또한, 의료 분야의 디지털화 과정도 진행 단계로, PACS 시스템(579대)과 전자 의료 기록시스템(1874대)도 수요 대비 보급률이 저조한 편이다. 향후 의료 관리, 데이터 통합, 환자 결과 개선을 위해 디지털 헬스 기술에 대한 추가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멕시코는 북미 내 지리적 이점, 경쟁력 있는 인건비와 제조 기반 덕분에 의료기기 생산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주로 북부 국경 지역에 마킬라도라를 이용한 투자가 집중됐으며, 국립지리통계청(INEGI)의 조사에 따르면 북부지역 바하칼리포르니아, 치와와, 코아우일라, 누에보 레온, 타마울리파스와 서부지역 할리스코 그리고 중부지역인 멕시코와 모렐로스 주에 의료기기 제조 시설이 집중됐다. 마킬라도라는 제품을 해외에 수출할 경우 해당 제품을 제조할 때 사용한 원재료·부품, 기계 등을 무관세로 수입할 수 있는 보세 가공 제도다.
<의료기기(HSCODE: 9018) 품목별 시장 점유율(2019~2023)>
(단위: US$ 백만)
품목
2021년
2022년
2023년
점유율
(2023)
성장률
(2022~2023)
의료 소모품
(9018.90 일부 품목 포함)
1,788.8
1,913.90
2,437.6
28.8%
27.4%
영상 진단기기
718.9
904
1,100.2
13.0%
21.7%
치과 제품
144.1
181.2
234.5
2.8%
29.4%
정형외과 및 보철물
413.5
458.7
605.8
7.2%
32.1%
환자 보조 장치
503.9
594.6
657.5
7.8%
10.6%
기타 의료 기기
2,444.4
2,789.0
3,431.4
40.5%
23.0%
총합
6,013.5
6,841.4
8,467.2
100.0%
23.8%
[자료: 피치 솔루션, 2024.09.]
2023년 기준, 의료 소모품이 전체 시장의 28.8%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기록했고, 영상진단 기기가 13.0%, 환자 보조 장치가 7.8%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보건 측면에서 멕시코의 고령 인구는 향후 수십 년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체 노화로 인한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및 중추 신경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아져 관련의료 서비스와 신규 기기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 유망 품목으로는 주요 질병(뎅기열, 결핵, 당뇨병, 고혈압, 암등)을 조기에 진단하는 의료기기, 심혈관, 소화계통 및 중추 신경계 솔루션을 제공하는 의료기기 등이 있다.
수출입 동향 및 한국 수입 규모
2023년 멕시코 의료기기 수입액은 26억3600만 달러에 달하며, 연간 18.9%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멕시코의 의료기기 수입액은 2021년 기준 3년 연속 증가세이며, 주요 수입국으로는 미국이 전체 시장의 70.2%를 차지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중국이 6.7%, 독일이 4.8%를 차지했다. 2023년 기준 한국은 멕시코 시장 내 총 790만 달러의 수출로 전체 순위 20위를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27.3%의 성장률을 보였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액은 전체 시장에서 점유율이 아직 높지 않지만, 코로나 팬데믹을 기점으로 연 20%대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기타 의료 장비 및 기기 또는 부속품(HSCODE: 9018.90) 국가별 수입액(2021~2023)>
(단위: US$ 백만)
순위
국가
2021년
성장률
(2021~2022)
2022년
성장률
(2022~2023)
2023년
점유율 (2023)
1
미국
1,452.9
7.6%
1,563.8
18.4%
1,850.9
70.2%
2
중국
129.4
28.7%
166.5
5.5%
175.7
6.7%
3
독일
57.9
37.8%
79.8
59.1%
126.9
4.8%
4
대만
39.5
26.7%
50.1
12.6%
56.4
2.1%
5
파키스탄
42.5
29.6%
55.1
-1.5%
54.3
2.1%
20
한국
5.0
23.5%
6.2
27.3%
7.9
0.3%
기타
-
27.2
14.7%
31.2
1.7%
31.8
1.2%
[자료: 트레이드맵, 2024.09.]
2023년 멕시코 의료기기 수출은 69억4300만 달러에 달해 연간 4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지난 5년 동안 연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미국 상무부의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멕시코의 대미 수출액은 68억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2.4% 증가했다. 멕시코의 대미 의료기기 수출은 3년 연속 두 자릿수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했다. 멕시코에서 한국으로의 수출은 약 13만 달러로 기록됐으며 전체 국가 중 15위에 머물렀다.
<기타 의료 장비 및 기기 또는 부속품(HSCODE: 9018.90) 국가별 수출액(2021~2023년)>
(단위: US$ 백만)
순위
국가
2021년
성장률(2021~2022)
2022년
성장률(2022~2023)
2023년
점유율 (2023)
1
미국
4,273.6
13.0%
4,839.2
42.4%
6,890.2
99.23%
2
네덜란드
19.9
21.0%
24.1
-11.6%
21.3
0.31%
3
아일랜드
0.6
557.0%
3.7
225.6%
12.1
0.17%
4
일본
3.0
100.0%
6.0
19.9%
7.2
0.10%
5
브라질
-
-
-
-
2.7
0.04%
15
한국
0.15
-100.00%
-
-
0.13
0.00%
[자료: 트레이드맵, 2024. 09.]
수출 품목으로는 의학, 외과, 치과, 수의학용 기기와 전자 의료기기, 시력 검사 기기가 포함 되며, 그 중 의과용 메스, 체온계, 심전도기, MRI 기기 등이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경쟁 동향
<멕시코 진출 주요 의료기기 제조 기업>
모기업 국가
이름
제품
멕시코내 현황
멕시코
Biossmann
마취 장비, 환자 모니터링, 수술실 및 영상 진단 장비 및 소모품
멕시코시티에 제조 시설, 콜롬비아에 지사운영
Corporativo DL
주사기, 카테터, 바늘, 주입 펌프, 라텍스 장갑, 멸균백등 소모품 전문.
멕시코 찰코(Chalco)에 생산 공장 위치.
Degasa
소독제, 라텍스 장갑, 의료 및 수술 제품, 붕대, 정형외과 및 호흡기 제품, 주사기 등
멕시코시티에 2개 제조 공장, 모렐로스주의 쿠에르나바카에 10개 외과용 재료 생산 공장. 미주 및 중동 15개 시장에 수출.
Gripo Pisa
의료 17개 분야 1,500여 제품.
멕시코에 14개 공장 운영, Xiloxoxtla와 과달라하라에 의료기기 전용 공장.
IPM
혈액백, 의료백, 카테터, 장루 제품 및 봉합장비.
모렐로스주에 공장 위치, 15개국 이상에 수출.
LeRoy
병원용, 상처치료, 정형외과 및 출산용 제품.
멕시코시티에 2개 제조 공장, 30개국 이상에 수출.
Mextrauma
정형외과 및 인공 보철, 외과용 기구.
푸에블라주 Cholula 에 제조 공장 위치.
Vizcarra
말초, 중심, 경막외 카테터, 재사용 가능한 바늘 및 의료 장갑.
모렐로스주에 제조 공장 위치, 유럽, 아프리카, 미주에 수출.
독일
Braun
주사기 펌프, 수술 기구, 봉합사, 인공관절, 투석 장비 및 외상치료 제품.
멕시코주 산타 크루즈 아티사판에 공장. 연간 70만 개 생산, 85% 독일 수출.
미국
Becton Dickinson
생명과학, 진단 시스템, 사전분석 시스템.
멕시코에 10개 제조 공장, Bard 인수 후 4개 공장 추가.
미국
GE Healthcare
의료 시스템(영상, 생명 유지 장치), 생명과학(신약 개발, 세포 및 유전자 치료).
누에보 레온주 몬테레이에 글로벌 운영 센터.
미국
Baxter
의약품 제조
모렐로스주, 멕시코주, 티후아나에 3개 제조 공장.
미국
Johnson & Johnson
의료 소비재, 제약, 의료기기.
누에보 레온주 아포다카에 제조 공장 보유.
아일랜드
Medtronic
심혈관, 당뇨, 회복 치료, 침습 치료 솔루션.
멕시코에 5개 제조 공장 (티후아나 2개, 시우다드 후아레스 2개, 소노라 1개).
[자료: 피치 솔루션, 2024. 09.]
유통구조
멕시코 의료기기 유통시장은 민간 부문과 공공 부문으로 나뉜다. 민간 부문에서는 병원이 직접 수입하거나, 대리점이나 현지 지사를 통해 직접 구매하는 방식으로 유통되고 있다. 공공 부문은 멕시코 정부 내 조달청이 입찰, 직접 계약 등을 통해 의료기기를 도입하는 방식이다. 공공 입찰의 경우 자국 혹은 FTA 체결국 기업 제품에 한정하는 경우가 많다. 제품을 유통하는 에이전트는 대부분 중소기업(Pymes)에 해당되며, 시장의 73%를 차지하고 있다. 그 외 대기업들은 시장 내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7개 기업이 나머지 27%를 차지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기타 의료 장비 및 기기 또는 부속품(HSCODE: 9018.90) 관세율>
HS 코드
설명
Kg 당 수입 관세율 (%)
규제
9018.90.01
의료용 거울
5
PS4, SAL
9018.90.02
의료용 가위
10
FR_II, CHT, PS4, SAL
9018.90.03
혈압계
10
PS4, SAL
9018.90.04
마취장치
10
PS4, SAL
9018.90.05
뇌척수액 저장소가 있는 뇌실 우회 장치
10
PS4, SAL
9018.90.06
수술 또는 해부 세트
10
PS4,SAL
9018.90.07
메스
10
PS5, PS4, SAL
9018.90.08
외과용 밸브, 바늘 고정기 및 끌
5
PS4, SAL
9018.90.09
수술용 리트랙터
10
PS4, SAL
9018.90.10
외과용 핀셋
10
PS4, SAL
9018.90.11
제각용 핀셋
5
PS4
9018.90.12
HS 9018.90.10 및 9018.90.11 관세 번호에 포함되지 않는 의료용 핀셋
10
FR_I, CHT, PS4, SAL
9018.90.13
가축 거세용 집게
5
PS4
9018.90.14
흉강 흡인 펌프
5
PS4, SAL
9018.90.15
HS 9018.90.14에 포함되지 않는 흡입 장치
15
PS4, SAL
9018.90.16
설압자
10
PS4
9018.90.17
자궁 내 피임장치
10
PS4, SAL
9018.90.18
제세동기
5
PS4, SAL
9018.90.19
청진기
15
PS4, SAL
9018.90.20
광선 요법을 사용하는 의료 장치
5
PS4, SAL
9018.90.25
단파 투열 장치
0
PS4, SAL
9018.90.27
신생아 인큐베이터 및 부품
5
PS4, SAL
9018.90.28
전기 수술 장치
0
PS4, SAL
9018.90.31
혈액 투석 장비
0
PS4, SAL
9018.90.99
기타
0
PS4, SAL, SAD
[자료: 멕시코 경제부, 2024.10.]
<의료기기 관련 규제 및 인증>
규제 구분
내용
PS4
(특정 산업 촉진 법령, 제4조)
이 조항은 멕시코 내 특정 산업을 진흥하기 위한 인센티브 및 규정을 설명한다. 여기에는 세금 감면, 투자 장려, 경제 성장에 중요한 부문에서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업에 대한 우대 사항을 포함
PS5
(특정 산업 촉진 법령, 제5조)
이 조항은 제4조와 유사하며, 추가적인 규정 및 인센티브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SAL
(보건부의 규제를 받는 수입 및 수출 품목)
이 범주에 해당하는 품목은 보건부가 설정한 건강 기준에 대한 특별 허가, 검사 또는 준수를 요구할 수 있으며, 특히 의약품, 의료 기기 및 식품 제품에 해당
SAD
(농업 및 농촌개발부 규제)
이 규정은 농업 수입 및 수출을 관리하며, 안전 및 품질 기준을 충족하도록 보장.검사, 인증 및 지역 농업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특정 농업 관행의 준수를 포함함.
FR_I
(국경 지역 및 북부 국경 지대에 대한 일반 수입세를 설정하는 법령, 제5조 1항)
이 법은 국경 지역에서 멕시코로 들어오는 상품에 대한 수입세를 설정. 국경 지역에서의 무역을 장려하기 위한 세금 감면 혜택 등이 포함
FR_II
(국경 지역 및 북부 국경 지대에 대한 일반 수입세를 설정하는 법령, 제5조 2항)
이 항목은 FR_I를 보완하며, 특정 상품이나 이러한 국경 구역 내의 무역 유형에 대해 다른 세금 비율이나 추가 면세를 설명
CHT
(체투말 자유 경제 지역 생산품 규제)
이 규정은 체투말 자유 경제 구역에서의 무역과 경제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됐음. 이 지역에서 운영되는 기업에 대해 세금 감면이나 간소화된 통관 절차와 같은 구체적인 인센티브를 제공
[자료: 멕시코 경제부, 2024. 05.]
시사점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 SWOT 분석>
강점 (Strengths)
약점 (Weaknesses)
- 국내 노령 인구 의료 수요
- 인기 보험 프로그램의 완전한 시행
- 높은 민간 부문 건강 지출
- 중남미 주요 의료기기 수입 및 수출국
- 미국에 의료기기를 공급하는 가까운 위치
- 바하칼리포르니아 등 북부 국경 지역에 집중된 의료기기 생산 인프라
- 북미 의료 관광 중심지
- 셰인바움 대통령 당선에 따른 정책 지속성
- 사회 불안정 및 높은 부패지수
- 경직된 의료 정책
- 양극화로 인한 의료 서비스 불균형
- 의료기기 노후화
- 의료 장비 교육/관리 인력 부족
- 높은 외국산 장비 의존도
- 높은 물가 상승률
기회 (Opportunities)
위협 (Threats)
- 노령화로인한 의료 시장 규모 증가
- USMCA로 높은 시장 접근성 확보
- 공공 복지기관 통합 및 효율화
- 멕시코, 쿠바, 콜롬비아 간의 '아카풀코 선언' 도입(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에서 의료기기 생산의 조화와 자급자족을 가속하는 것이 목표)
- 정부 지출 증가 등 공공 부문의 구매 수요 증가
- 멕시코 내 만성질환자 증가
- 향후 미국 달러 대비 현지 통화의 평가절하 가능성
- 보건 부문의 재정 압박
- 중앙정부 의사결정에 집중된 의료기기 공공 조달 시장
- 미국, 유럽 및 중국에 의해 주도되는 치열한 시장 경쟁
- 미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 및 멕시코의 의료기기 수출 시장 영향
피치 솔루션에 따르면, 멕시코의 의료기기 시장은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7.9%의 높은 성장이 예상된다. 멕시코내 의료기기 제조업의 확대는 니어쇼어링에 의해 가속화 됐으며, 산업의 역량을 크게 높이고 국제 시장 접근성도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추세는 현지 생산을 포함한 멕시코에 특화한 맞춤형 솔루션에 투자하는 한국 기업에게는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 제품의 경우 멕시코와 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돼 있지 않아서 입찰 경쟁에서는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공공 입찰 시장에서는 다른 국가에서 공급이 어려운 혁신 제품 개발 또는 현지 기업과 파트너십에 기반한 시장 진입 방안이 필요하다.
추가로,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멕시코의 의료기기 유통 구조 및 연방 보건 위험 보호 위원회(COFEPRIS)의 제품 승인 절차를 조기에 파악해야 한다. 신청 후 28일이 소요 되던 제품 승인 기간이 정부 내 정책 변화와 기존 절차가 짧다는 지적 때문에 2024년 현재 기준 최대 4개월까지 늘어나는 등 한국산 의료기기 수출에 주요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료: 피치 솔루션, El Economista, 트레이드 맵, 글로벌 헬스 인텔리전스, 스태티스타 마켓 인사이트,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멕시코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멕시코 건설·인프라산업 정보
멕시코 2025-03-21
-
2
2024년 멕시코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정보
멕시코 2024-07-09
-
3
2024년 멕시코 광산업 정보
멕시코 2024-06-07
-
4
2024년 멕시코 산업개관
멕시코 2024-05-28
-
5
2023년 멕시코 철강산업 정보
멕시코 2023-09-20
-
6
2023년 멕시코 산업 개관
멕시코 2023-06-23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