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베트남 컨베이어 시장 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최지영
- 2024-07-03
- 출처 : KOTRA
-
운송·보관업 및 제조업 발전에 따른 컨베이어 수요 확대 전망
중국산 저가 제품과의 경쟁을 위해 품질 확보 및 혁신기술 도입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명(및 해설)
8428.33
품명: 그 밖의 벨트형
8428호 해설: 그 밖의 권양(捲揚)용ㆍ취급용ㆍ적하용ㆍ양하용 기계류[예: 리프트ㆍ에스컬레이터ㆍ컨베이어ㆍ텔레페릭(teleferic)]
시장동향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베트남 경제에서 물류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통계총국(GSO)에 따르면 2023년 베트남의 운송·보관업 규모는 2018년 대비 44.9% 증가한 20억 7,217만 달러로 베트남 전체 GDP의 4.9%를 차지했다. 또한, 베트남 물류산업 협회(VLBA, Vietnam Logistics Business Association)에 의하면 베트남의 물류산업은 향후 수년간 연평균 1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풍부한 노동력 및 저렴한 인건비를 바탕으로 주요 글로벌 기업의 차이나플러스원(China Plus One) 전략의 수혜지로서 베트남이 ‘세계의 공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베트남 제조업 매출은 최근 6년 연속 상승세를 띠고 있으며 2018년에 비해 2023년에 그 규모가 49.1% 증가해 2023년에는 베트남 전체 GDP의 23.9%에 기여했다. 이와 관련해 최근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 Ministry of Industry and Trade) 따 호앙 린(Ta Hoang Linh) 구미시장국장은 “베트남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연결고리이자 전략적 요충지가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18~2023년 베트남 운송·보관업 및 제조업의 GDP 기여도>
(단위: US$ 십억, %)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GDP(A)
289.00
317.78
331.69
349.63
392.25
421.47
운송·보관업 규모(B)
14.30
15.97
15.95
15.58
18.24
20.72
제조업 규모(C)
67.53
75.59
79.43
86.07
97.12
100.66
운송·보관업의 GDP 기여도
(B/A * 100)
4.95
5.03
4.81
4.46
4.65
4.92
제조업의
GDP 기여도
(C/A * 100)
23.37
23.79
23.95
24.62
24.76
23.88
주: 2024년 6월 25일 베트남중앙은행(SBV) 고시 환율 기준
(1달러 = 24,253동)
[자료: 베트남 통계총국]
이처럼 현재 베트남에서는 물류 산업과 제조업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고, 두 산업에 있어 컨베이어는 필수적인 품목이다. 인도 시장조사 업체인 6WResearch에 따르면 베트남 내 컨베이어는 주로 △광업 △제조 △식품 △가공 △물류 등 다양한 산업에서 제품을 효율적으로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화 수요가 늘어나면서 베트남의 컨베이어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베트남이 항만, 창고, 물류 센터 등 인프라 개발에 지속해서 투자하면서 설비 투자의 관점에서 컨베이어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베트남의 물류 및 제조 산업이 확장됨에 따라 향후 베트남에서 컨베이어에 대한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 동향
<2019~2023년 베트남의 HS 코드 8428.33 품목 수입액 추이>
(단위: US$ 천, %)
HS Code
2019
2020
2021
2022
2023
8428.33
수입액
255,976
245,893
225,536
227,302
296,494
증감률
-
-3.94
-8.28
0.78
30.44
[자료: GTA 2024. 6. 24.]
베트남의 HS 코드 8428.33 품목 수입은 2019년 2억 5,597만 달러에서 2023년 2억 9,649만 달러로 15.8% 늘었다. 해당 품목 수입은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전년 대비 3.9%, 8.3% 감소했지만, 2023년에는 전년 대비 약 30.4% 급증했다.
<2019~2023년 베트남의 HS 코드 8428.33 품목 국가별 수입액>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19
2020
2021
2022
2023
증감률
비중
1
중국
111,602
94,488
123,707
150,010
205,806
37.19
69.41
2
한국
47,758
114,673
61,726
29,224
31,244
6.91
10.54
3
인도
650
684
97
1,843
14,067
663.30
4.74
4
대만
9,771
6,912
5,964
8,171
8,103
-0.83
2.73
5
일본
4,205
5,085
4,911
16,169
5,887
-63.59
1.99
6
태국
3,156
3,080
1,993
1,054
4,400
317.45
1.48
7
독일
29,878
549
4,604
2,566
2,957
15.23
1.00
8
인도네시아
610
62
-
3
1,390
49786.15
0.47
9
프랑스
345
21
29
110
1,047
848.91
0.35
10
스웨덴
717
347
268
760
652
-14.19
0.22
-
기타
47,282
19,994
22,237
17,393
20,942
20.41
7.06
총계
255,976
245,893
225,536
227,302
296,494
30.44
100
주: 2023년 기준 전년 대비 증감률, 비중 및 순위
[자료: GTA 2024. 6. 24.]
국가별로는 중국이 2023년 전체 수입의 69.4%의 비중을 차지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37.2% 증가한 수치다. 중국은 해당 품목 베트남의 수입 시장에서 최근 5개년간 2020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최대 수입국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2023년의 경우 한국, 인도, 대만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2023년 기준 인도와 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각각 7.5배 및 4배 등 크게 늘어 중국을 제외한 상위 10개국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대한 수입 동향
<2019~2023년 한국의 대(對)베트남 HS 코드 8428.33 품목 수출 규모>
(단위: US$ 천, %)
2019
2020
2021
2022
2023
대(對)베트남
수출액
29,627
23,517
17,563
31,964
10,469
전년 대비 증감률
-22.0
-20.6
-25.3
82.0
-67.2
전체 수출액
196,038
157,232
161,512
193,070
283,420
전체 수출액에서 베트남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
15.11
14.96
10.9
16.56
3.69
수출 대상국 중 베트남의 순위
1위
1위
3위
2위
5위
주: GTA와 무역협회 통계 간 한국 수출액 수치 차이가 크게 나타나는데 본 글에서는 대한 수입 동향의 경우에 한해 무역협회 통계를 기준으로 분석한다
[자료: 무역협회]
무역협회에 따르면 최근 5개년간 베트남은 한국의 컨베이어 수출 대상국 중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2023년의 경우 HS 코드 8428.33 품목의 전체 수출이 크게 증가한 데 반해, 대(對)베트남 수출은 67.2% 급감해 전체 수출에서 대베트남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했다.
경쟁 동향
베트남에 진출한 주요 컨베이어 제조사로는 한국 기업인 HKTM 비나(HKTM Vina)가 있으며 다이후쿠(Daifuku), 마루야스(Maruyasu), 메카시스(Mekasys), 산키 테크(Sanki Tech) 등 일본 기업의 제품 또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주요 현지 제조기업 사례로는 코스모(COSMO), FBT베트남(FBT Viet Nam), 하 안(Ha Anh), 비엣 통 흥 틴(Viet Thong Hung Thinh) 등을 꼽을 수 있다.
<현지 기업 및 컨베이어 제품 사례>
기업명
기업 로고
설립 연도
제품 사례
주요 고객사
웹사이트
COSMO
2012년
Samsung Electronics, Daikin
cosmocorp.vn/en/home
FBT Vietnam
2019년
Keyence, SMC
fbtinno.com.vn/
Ha Anh
2010년
Foxconn, Meiko
haanhconveyor.com
Viet Thong
Hung Thinh
2011년
-
vietthong.vn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현지 진출 주요 기업 및 컨베이어 제품 사례>
기업명
국가
기업 로고
설립 연도
제품 사례
웹사이트
HKTM VINA
한국
1988년
hktm.com.vn
Daifuku
일본
1937년
www.daifuku.com
Maruyasu Kikai
일본
1938년
www.maruyasukikai.co.jp
Mekasys
일본
1952년
www.mekasys.jp
Sanki Tech
일본
2003년
sankitech.co.jp/global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유통구조
컨베이어 벨트는 제품 특성상 고객의 요구에 맞춰 제작되기도 한다. 이 경우 제품은 생산된 이후 곧바로 고객(대부분 공장)에게 전달된다. 이와 달리 대량 생산된 제품은 보관 창고를 보유하고 있는 유통업자에 전달된 이후 공장에 판매된다.
관세율 및 인증
<베트남의 HS 코드 8428.33 품목 관세율표>
(단위: %)
HS 코드
품목명
Preferential
(특혜관세)
AK FTA
(한-아세안)
VK FTA
(한-베)
RCEP
(한국)
8428.33
- - Other, belt type:
5
0
0
0
8428.33-10
- - - Of a kind used for agriculture
5
0
0
0
8428.33-90
- - - Other
5
0
0
0
주: HS 코드가 상이하여 원문 표기 인용
[자료: 2024 Import–Export Tax Book]
컨베이어 품목 관련 표준은 ‘벨트형 컨베이어 - 기본 사양 및 기술 요구 사항(TCVN 5420:1991)’ 및 ‘컨베이어 - 안전에 대한 일반 요구 사항(TCVN 3148:1979)’ 등 국가기술표준(TCVN) 총 두 가지가 있다. 다만, TCVN은 권장사항이며, 반드시 지켜야 하는 국가기술규정(QCVN)의 경우 현재 컨베이어에 관한 내용은 명시된 바 없다.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의 컨베이어 시장은 중국산 제품의 점유율이 약 70%로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이 중국에 뒤를 이어 두 번째로 수출을 많이 하고 있지만, 다른 국가와의 경합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우리 기업은 베트남 수요처의 온도 저항, 부하 용량 및 속도 등과 관련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맞춤형 제작을 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한 유지보수 비용 절감 효과 등 품질을 강조해 중국산 저가 제품과의 차별화를 꾀하는 방안도 있다. 또한 베트남에서 점차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여러 스마트 공장을 겨냥해 IoT 기술이 통합된 스마트 컨베이어 솔루션의 도입도 추진해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베트남 현지 기업과 합작 투자하거나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시장 접근을 보다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각종 리스크를 공유하고 리스크에 공동 대비하는 전략도 효과적일 수 있다.
자료: 베트남 통계총국, GTA, 무역협회, 2024 Import-Export Tax Book, 하노이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베트남 컨베이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한국 제조기업이 꼭 알아야 할 베트남 스마트공장 트렌드
베트남 2024.03.15
-
1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2
2024 베트남 건설산업 정보
베트남 2024-11-06
-
3
2024년 베트남 커피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0-02
-
4
2024년 베트남 스마트 농업 산업 정보
베트남 2024-06-17
-
5
2023년 베트남 금융산업 정보
베트남 2024-01-04
-
6
2023년 베트남 IT산업 정보
베트남 2024-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