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콩고, 미국에 전략적 광물 협정 제안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콩고민주공화국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3-13
  • 출처 : KOTRA

   o 파이낸셜타임즈는 3.8일(현지시간) 군사지원을 대가로 콩고가 미국에게 광산 개발 채굴권을 부여하는 내용의 협상이 양국 간 진행 중이라고 보도함 

 -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콩고가 첨단 기술에 필요한 핵심광물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어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해당 파트너십을 논의하는 것에 열려있다고 발언함 

 - 콩고는 전 세계 코발트 생산량의 70% 이상을 공급하는 국가로서, 미국이 콩고의 광산 개발 채굴권을 보유할 경우, 전기차와 휴대전화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코발트 공급망을 공고히 할 수 있게 됨



콩고의 정치와 광물자원 알아보기


콩고 내전 개요

 - 투치족 반군 M23은 지난 1월 말 대규모 공세로 인구 200만의 동부 최대 도시인 고마를 장악한 것에 이어 지난달에는 동부 제2의 도시인 부카부 또한 점령 

 - 코발트·주석·텅스텐·금 4대 분쟁 광물이 풍부한 콩고에서는 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세계의 강대국과 무장단체들이 오늘날까지 혈투를 벌이고 있음

콩고의 광물 자원 현황

 - 콩고는 2024년 기준 약 600만 톤으로 세계에서 가장 큰 코발트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코발트 생산량은 약 22만 톤으로 전 세계 생산량의 70% 이상을 차지함 

 ▶ 1960년대 이래로 전 세계 코발트 광산 생산은 콩고에 집중되어왔으며, 소규모 영세 광산이 대부분임 

 - 코발트는 희귀한 금속은 아니지만, 전기차 배터리·합금·화학 세라믹·시멘트 카바이드 등에 사용되므로 중요성이 커짐 

 - 한편 콩고는 세계 제2위의 구리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세계 매장량의 약 10%에 달함 

- 우드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콩고가 2027년에 페루를 넘어서는 세계 2위 구리 생산국이 될 것으로 예상

  전세계 코발트 매장량 순위                                                 

                                                         (단위: 천 톤)

순위

국가

매장량

1위

콩고민주공화국

6,000

2위

호주

1,700

3위

인도네시아

640

4위

쿠바

500

5위

필리핀

260



  전세계 코발트 매장량 순위                                                 

                                                         (단위: 천 톤)

순위

국가

매장량

1위

칠레

190,000

2위

호주

100,000

3위

페루

100,000

4위

콩고민주공화국

80,000

5위

러시아

80,000


전망 및 시사점

 - 전문가에 의하면, 현재 콩고의 광물 공급망은 중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에는 중국과 같이 콩고에 진출해있는 국유기업이 없고, 민간 광산 회사도 운영되고 있지 않다고 발언함 

 - 따라서 콩고가 미국과 광물 관련 협정을 맺게 될 시에는 채굴권 허가를 제공하는 방법 이외의 해결책 필요





핵심 키워


분쟁 광물

광물협정




출처: 로이터(3.10.), 2025 미국 지질조사국 광물 상품 보고서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