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재·부품·장비 품목 심층분석 - 마그네슘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2-13
- 출처 : KOTRA
-
o 마그네슘 품목 개요
- 마그네슘은 지구 지각에서 8번째로 풍부한 원소로 은회색을 띠는 알칼리 금속
* 밀도 약 1.74g/cm³로 구조용 금속 중 가장 가벼운 금속이며 경량화가 필요한 운송·자동차·항공우주·전자기기 등의 분야에서 합금 형태로 주로 활용
- 다른 금속과의 합금 형태로 사용 시 강도가 크게 향상되며, 특히 마그네슘-알루미늄 합금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높아 산업용 소재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음
- 연성과 전성이 우수해 가공이 용이하며, 주조성이 뛰어나 복잡한 형상의 부품 제작에 알맞고, 생체 적합성이 높아 임플란트 및 뼈 고정 장치로도 연구되고 있음
o 마그네슘 가치사슬
- 마그네슘 가치사슬 구조는 채광 → 정제 → 가공 → 최종사용 → 재활용으로 구성됨
[그림 1] 마그네슘 가치사슬 구조
o 마그네슘 산업 동향
- 전기·전자·자동차·항공우주 산업의 경량화가 가속됨에 따라 마그네슘은 높은 부가가치와 특수한 물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수요가 예상됨
- 자동차 및 항공 산업 등 핵심 제조 산업에서 다양한 부품 형태로 마그네슘 합금이 널리 사용되며, 신규 합금 기술과 시장이 계속 확대될 것으로 기대됨
- 글로벌 마그네슘 시장은 ’21년 47.9억 달러에서 연평균 5.4% 성장하여 ’30년에는 77.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
- 다만, 마그네슘은 공급망 리스크가 높으며, 무역 제재 및 공급 제한 발생 시 전 세계적으로 가격 급등 및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 마그네슘 정제 및 가공 등 생산과정의 약 60%가 중국에서 이루어져 공급망 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음. 이에 대응하여 EU는 마그네슘을 포함한 30가지 핵심 원자재를 지정하여 수급 현황을 관리하는 중
o 마그네슘 매장량/생산량 현황
- 주요 마그네슘 매장국은 러시아(23억톤, 30.1%), 슬로바키아(12억톤, 15.7%), 중국(5.8억톤, 7.8%) 순
- 주요 마그네슘 생산국은 중국(1,300만톤, 59.4%), 튀르키예(180만톤, 8.2%), 브라질(180만톤, 7.8%) 순
[그림 2] 마그네슘 생산량/매장량 현황
출처: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o 국내 수출액 추이 (’20~’24년)
- ’24년 마그네슘괴 수출액은 134천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대비 24.3% 증가
[표 1] 수출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 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천 달러)
166
303
78
108
134
o 국내 수입액 추이 (’20~’24년)
- ’24년 마그네슘괴 수입액은 59백만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전년 대비 36.0% 증가
[표 2] 수입액 변화 추이(최근 5년)
구 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천 달러)
266,984
63,800
69,834
43,775
59,514
o 마그네슘 생산·기술개발 현황
- 한국은 채굴·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 등으로 국내 생산이 어려우며, 국내 마그네슘 생산 기반이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 중
* 포스코가 ’12년 연 1만톤 규모의 마그네슘 제련 공장을 준공하였으나, ‘13년 페놀 유출 사고에 따른 토지 정화 명령으로 가동 중단
- 英 Luxfer MEL Technologies社는 마그네슘 및 지르코늄 기반의 고강도 경량 합금을 개발하여 항공우주·방위산업·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중임. 또한 환경 유해 원소 사용을 최소화하고 제조공정에서 탄소 배출을 줄이는 기술 적용
- 국내 J사는 마그네슘 가공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그네슘 합금·알루미늄 합금 등 경량 금속 소재를 활용하여 휴대용 IT 기기의 내외장재 및 조립품 등을 생산
- 국내 A사는 마그네슘 합금 판재의 성형·접합에 대한 원천기술(프레스 장치와 가공 방법 특허)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동차 부품용 마그네슘 원료를 수입 중
-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23년 고전압 전극을 활용하고, 전지 부품의 부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개발에 성공하여 차세대 마그네슘 이차전지 개발에 기여
- 전 세계적으로 마그네슘-리튬(Mg-Li) 합금과 같은 차세대 고강도 경량 합금의 개발 및 내구성 강화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
o 출처 및 참고자료
- 한국기계산업진흥회, 2024 GVC 산업분석 보고서 및 GIVC 시스템
- 한국무역협회, 글로벌 무역통계 서비스(K-STAT)
-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4
-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2025~2027 “경량·고강도 금속소재”
- KDB 미래전략연구소, 핵심 광물 마그네슘의 공급망 동향(2024.04)
- 언론, 보도자료 및 기업 홈페이지 정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