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그린란드, 천연자원 대체 공급처로 부상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오건영
  • 기업명 :
  • 2025-01-16
  • 출처 : KOTRA

  o 1.7일(현지시간) 트럼프 美 대통령 당선인은 덴마크 자치령인 그린란드 관할권 확보를 위한 군사 개입 가능성을 언급하며, 유럽 역내 우려 고조

미국은 국가 안보를 이유로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밝히며, 필요시 무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을 것임을 시사

그린란드는 미개발 천연자원을 다량 보유한 전략적 요충지로, 빙하가 본격적으로 녹기 시작하면서 지정학적 경쟁의 중심지로 부상 중


그린란드의 지정학적 중요성

 


구분

내용

천연자원 추출

  o 희토류 등 천연자원이 풍부하며, EU가 핵심 원자재로 지정한 34개 품목 중 25개가 그린란드에 매장

-EU는 역내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핵심원자재법을 제정하여 핵심 원자재 34개를 지정, ’24.5.23일부 발효

빠른 교역로 확보

  o 북미-유럽-아시아를 잇는 최단 거리 해상 운송로 확보 기대

- 서유럽-동아시아 경로 기준 수에즈 운하 경로 대비 절반 이상 단축이 예상되는 등 기존 교역로 활용 대비 운송 기간 단축 효과

그린란드 관련 EU 입장

  o EU의 그린 및 디지털 전환에 그린란드는 필수적이며, 유럽 북극 자원 확보와 생태계 보전의 핵심 지역으로 중요한 축을 담당

- EU와 그린란드 간 협력 강화를 위해 ’24.3월 그린란드 수도 누크(Nuuk) 내 EU 사무소가 개소되었으며, 핵심 원자재 관련 MOU 협상 진행 중

  o 프랑스·독일 등 EU 회원국은 트럼프 당선인의 발언에 반발

EU 外 주요국별 

입장

  o (미국) 그린란드의 매장된 희토류 등 주요 자원의 공급망 다각화를 통한 對中 의존도 완화 추진

  o (중국) 일대일로 정책의 일환으로 그린란드를 활용해 ‘북극 실크로드’를 개척하겠다는 입장이나, 덴마크 정부가 이를 적극적으로 저지 중

  o (러시아) 그린란드 자체를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북극 전략의 일부로 그린란드를 간주, 전략 원자재 추출 등을 검토


댓글 0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