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日, 국내외 반도체 공급망 투자 활성화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고태우
  • 기업명 :
  • 2024-07-25
  • 출처 : KOTRA


o     7.9(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소니·미쓰비시전기 등 반도체기업은 ’29년까지 반도체에 5조 엔(44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보도

 

아울러 반도체 소재 기업 레조낙은 ·반도체 소재·장비 업체 10곳과 차세대 반도체 패키지 컨소시엄을 설립할 계획




국내 반도체 투자 계획


개 요

o AI·탈탄소 겨냥한 설비투자 목적

- AI·탈탄소를 고려한 전력제어전력반도체·이미지 센서 등을 증산

- 재무성의 법인기업 통계조사에 따르면 반도체 등을 제조하는 

  정보통신기계의 설비투자는 ’22년에 21,085억 엔으로, 5년 만에 30% 증가

주요 기업 반도체 분야 투자 현황

기업명

주요 제품

투자액

보조금

투자 지역

라피더스

로직 반도체(2nm)

2조 엔

9,200억 엔

홋카이도

소니G

이미지 센서

16,000억 엔

미정

나가사키·구마모토

키옥시아·웨스턴디지털

낸드 플래시 메모리

7,290억 엔

2,429억 엔

미에·이와테

도시바·

SiC/Si* 전력반도체

* 실리콘 카바이드/실리콘

3,883억 엔

1,294억 엔

미야자키·이시카와

미쓰비시전기

1,000억 엔

미정

구마모토



반도체 후공정 컨소시엄 개요


배 경

주요 IT 기업*은 데이터센터 등에서 사용하는 첨단 반도체의 자체 개발을 추진 중이며, 이 과정에서 2.5차원 패키지 등 첨단 패키지(후공정)의 중요성이 확대

* 알파벳·메타·애플·아마존·마이크로소프트 등

목 적

’25년 여름 가동 예정, IT 기업·팹리스 반도체 업체와 첨단 반도체 공동 개발 계약 추진

컨소시엄 참여 기업들은 반도체 개발 초기 단계부터 참여해 첨단 패키지재료와 장비로 실질적 표준 확보를 하는 것이 목표

컨소시엄 참여 기업 - 10개사

기업

KLA, Moses Lake Industries, Kulicke & Soffa, Azimuth 등 총 4개사

기업

레조낙, TOWA, 알박, 도쿄응화공업, 나믹스, MEC 등 총 6개사



핵심 키워드


반도체 투자

반도체 후공정



출처: 니혼게이자이신문(’24.07.09), 일본 경제 브리핑 제24-26(’24.07.16) KOTRA 도쿄무역관 종합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