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전기차 생산 증가로 미국 內 전기강판 수요 증가세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원자재 뉴스
  • 미국
  • 김수빈
  • 기업명 :
  • 2024-05-09
  • 출처 : KOTRA


최근 미국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신설 수요 및 전기차 생산 증가 등으로 미국 전기강판 시장 규모는 향후 8년간 연평균 7.1% 증가* 전망 출처: KOTRA 시카고무역관 종합

* ’32년 기준 73억 달러(99,000억 원)

미국의 무방향성 전기강판 수입 대상국 1위는 한국(62%)이며, 방향성 전기강판의 경우 1위 일본(44.2%), 2위 한국(39.4%)으로, 특히 방향성 전기강판은 전년 대비 ’23년 수입량이 57% 증가하는 등 시장 규모 증가세 지속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51)



비철금속


거래소 재고량 감소로 동 가격, 공급과잉에 따른 니켈 가격




품목

연평균 (U$/)

주간평균 (U$/)

’23

’24.4

전년비(%)

4.4

5.1

전주비(%)

8,478

8,703

2.7

9,749

9,819

0.7

니켈

21,474

17,001

20.8

18,964

18,775

1.0

아연

2,647

2,520

4.8

2,808

2,878

2.5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 런던금속거래소(LME)51주차 동 재고량은 115,515톤으로 전주 대비 3.9% 감소하며 전기동 가격 상승압력 발생

 

(니켈) 인니 니켈 정·제련 생산능력 확대에 따른 공급과잉 및 주요 거래소 재고량 증가세로 가격 하방압력 발생

 



철강


주요 생산기업의 생산실적 부진에 따른 철광석 가격



품목

연평균 (U$/)

주간평균 (U$/)

’23

’24.4

전년비(%)

4.4

5.1

전주비(%)

연료탄

173.32

128.71

25.7

136.10

145.95

7.2

원료탄

295.71

291.82

1.3

243.90

241.44

1.0

철광석

119.32

121.61

1.9

117.25

117.40

0.1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철광석) 호주 사이클론에 따른 포테스큐(Fortescue) 등 기업의 철광석 생산 차질로 가격 상승압력 발생

 

(유연탄) 중국의 호주·몽골석탄 수입 확대로 연료탄 가격 증가세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51)




희소금속


내수가 상승으로 페로망간 가격, 노동절 연휴에 따른 수요 증가로 희토류 가격



품목

연평균 (U$/)

주간평균 (U$/)

’23

’24.4

전년비(%)

4.4

5.1

전주비(%)

페로망간

1,266

1,120

11.5

1,080

1,250

15.7

탄산리튬

35,697

14,434

59.6

15,229

15,234

0.03

수산화리튬

37,972

12,959

65.9

14,264

14,269

0.03

코발트

(U$/lb)

17.82

17.02

4.5

17.11

16.80

1.8

산화 디스프로슘

(희토류)

330,258

274,949

16.7

281,100

283,500

0.9

산화 네오디뮴

(희토류)

78,383

54,552

30.4

55,060

56,500

2.6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페로망간) 원료 비용의 급증 및 낮은 현물 공급량으로 제안가가 상승하며 전주 대비 가격 급증

75%급 페로망간의 내수가는 4.30일 기준 7,275위안/톤으로 전주 대비 약 17.3% 상승, 이에 대한 영향으로 수출가는 1,250달러/톤으로 전주 대비 약 15.7% 상승

 

(코발트) 유럽 금속가는 중국저가 코발트의 지속적 유입으로 하락세 지속

 

(희토류) 노동절 연휴 맞이에 따른 수요 증가 및 공급량 감소로 가격 상승

 



에너지


금리 인하 지연 우려, 원유 재고 증가 등으로 국제유가 하락세



품목

연평균 (U$/bbl)

주간평균 (U$/bbl)

’23

’24

전년비(%)

4.4

5.1

전주비(%)

두바이유

82.10

83.27

1.17

88.27

87.34

0.93

브렌트유

82.17

83.62

1.45

88.39

85.84

2.55

WTI

77.60

78.88

1.28

83.29

80.63

2.66


* 자료원: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등

(원유) 금리 인하 시점 지연 우려, 원유 재고 증가 등으로 인해 유가 하락세 시현

연준은 4.30~5.1(현지시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5.25~5.50%6차례 연속 동결하며, 보다 오래 금리를 동결할 용의가 있다고 밝힘

4.26일 기준 상업 원유 재고는 46,089만 배럴로 전주 대비 726.5만 배럴 증가


작성: KOTRA 글로벌공급망실, 참고: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