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태양광 소재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세 지속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원자재 뉴스
- 중국
- 김수빈
- 기업명 :
- 2024-05-02
- 출처 : KOTRA
-
o 4.18일(현지시간) 현지언론에 따르면 中 태양광 모듈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 가격이 4.15일 기준 kg당 7.33달러*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보도
* 자료원: 中 태양광산업 전문 조사기관 Solarzoom
- 실리콘 공급업체들의 생산능력 확대, 웨이퍼 제조업체들의 재고 처리를 위한 폴리실리콘 구매량 감소 등 수요 대비 과잉생산이 가격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4월 4주)
비철금속
세계 구리 공급 차질로 동 가격↑, 中 인프라 확대 정책 기대에 따른 니켈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3월
전년비(%)
4.3주
4.4주
전주비(%)
동
8,478
8,444
△0.4
9,513
9,749
2.5
니켈
21,474
16,611
△22.6
18,121
18,964
4.7
아연
2,647
2,449
△7.5
2,782
2,808
0.9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o (동) 잠비아 전력난에 따른 광산 가동 차질 및 주요 거래소 재고량 감소로 가격 상승세
o (니켈)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중앙정부 예산 7천억 위안 가운데 2천억 위안을 조기 배분하는 등 中 인프라 확대 정책 전망이 제기되며 니켈 가격 상승세
철강
주요 생산기업의 생산실적 부진에 따른 철광석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3월
전년비(%)
4.3주
4.4주
전주비(%)
연료탄
173.32
126.62
△26.9
139.03
136.10
△2.1
원료탄
295.71
310.14
4.9
247.63
243.90
△1.5
철광석
119.32
125.47
5.2
114.02
117.25
2.8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연료탄(호주 뉴캐슬 FOB 기준, ICE 기준), 원료탄(호주 FOB 기준, Premium Low Vol), 철광석(중국 주요항 CFR 기준, 62% 분광)
o (철광석) 포테스큐(Fortescue) 등 주요 철광석 생산기업의 생산 부진에 따른 철광석 가격 상승압력 발생
o (유연탄) 유가 하락에도 불구, 계절성 소비둔화 우려로 하락세
주간 원자재 가격 동향 (4월 4주)
희소금속
제안가 인상으로 페로망간 가격↑, 中 노동절 연휴에 따른 수요 증가로 희토류 가격↑
품목
연평균 (U$/톤)
주간평균 (U$/톤)
’23년
’24.3월
전년비(%)
4.3주
4.4주
전주비(%)
페로망간
1,266
1,123
△11.3
1,060
1,080
1.9
탄산리튬
35,697
15,425
△56.8
15,333
15,229
△0.7
수산화리튬
37,972
14,111
△62.8
14,258
14,264
0.04
코발트
(U$/lb)
17.82
17.33
△2.7
17.18
17.11
△0.4
산화 디스프로슘
(희토류)
330,258
255,500
△22.6
281,900
281,100
△0.3
산화 네오디뮴
(희토류)
78,383
50,024
△36.2
54,660
55,060
0.7
* 자료원: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등
** 페로망간(중국 FOB 75%), 탄산·수산화리튬(중국 내수가격, 99.5%min, 56.5%min), 코발트(유럽 in-warehouse 99.8%min), 산화디스프로슘(중국 FOB 99.5%min), 산화네오디뮴(중국 FOB 99.5~99.9%)
o (페로망간) 수요업체의 지속적 수요감소에도, 공급업체의 높은 생산비용에 따른 제안가 인상으로 가격 상승
o (코발트) 유럽 금속가는 中 코발트의 유입과 현물거래의 감소로 전주 대비 가격 하락
- 중국은 3월 코발트 금속을 약 1,120톤 수출했으며, 수출량의 약 45%가 로테르담 항구를 통해 유럽으로 수입
o (희토류) 中 연휴인 노동절을 앞두고 수요 증가 및 공급량 감소로 가격 상승
에너지
이란·이스라엘 간 긴장 완화 및 美 경제지표 부진 등으로 국제유가 하락세
품목
연평균 (U$/bbl)
주간평균 (U$/bbl)
’23년
’24년
전년비(%)
4.3주
4.4주
전주비(%)
두바이유
82.10
83.10
1.00
89.00
88.09
△0.91
브렌트유
82.17
83.52
1.36
88.36
88.11
△0.25
WTI
77.60
78.81
1.21
83.87
83.15
△0.72
* 자료원: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 등
o (원유) ▲이스라엘·이란 간 긴장 완화, ▲美 경제지표 부진 등으로 인해 유가 하락세 시현
- 골드만삭스 분석가는 이스라엘-이란 간 긴장 완화로 향후 수개월 안에 배럴당 5~10달러의 유가 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고 전망
-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 속보치가 1.6%로 시장 예상치인 2.4%를 크게 하회
작성: KOTRA 글로벌공급망실, 참고: 한국광해광업공단 KOMIS, 한국석유공사 페트로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