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공급망의 혁신허브를 구축한다,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KOTRA 본사
- 하선영
- 기업명 :
- 2023-10-19
- 출처 : KOTRA
-
효율성을 중심으로 운영되어왔던 기존의 국제적 분업체계는 안정성 중심의 새로운 공급망 구조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 이러한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 전략은 크게 ①소재부품장비 자립화와 ②공급망 다변화로 볼 수 있다. 이번 호에서는 소재부품장비 자립화의 핵심인 기술개발 및 경쟁력 확보 전략으로서,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을 살펴보자.
□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 추진 배경
- 소부장 산업의 중요성
ㅇ(범위) 원자재→중간재→최종재로 완성되는 제품 생산의 가치사슬(공급망)에서 중간재에 해당하며 원자재로부터 1회 이상의 합성 또는 가공을 거쳐 여러 가지 기능 및 형상을 가지게 된 제품 또는 물질
* (소재) 부품‧완제품을 구성하는 핵심 기초물질로서, 부품‧완제품이 가져야 할 특정 기능을 좌우하는 물질
(부품) 완제품을 구성하거나, 독립적 기능을 가지지 못하고 다른 상품과 결합을 통해서만 완전한 기능을 발휘하는 제품
(장비) 소재‧부품을 생산하거나 소재‧부품을 사용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장치 또는 설비ㅇ(역할) 국내 제조업 부가가치 생산의 줄기로서 산업 생산, 교역 및 기업 경제를 뒷받침하는 핵심적 역할
* 국내 제조업 대비 생산액의 소부장 비중 58%, 부가가치의 소부장 비중은 60%, 소부장 수출 비중은 55%, 수입 비중은 36%
ㅇ(한계) ▲공급망 내재화, ▲핵심물자‧기술 무기화 등 글로벌 공급망이 본격적으로 재편되고 있으나, 주요국 대비 소부장 산업의 글로벌 특허 확보는 다소 부진한 상황이며, 시장 점유율 역시 새로운 돌파구가 필요
* 소재 산업에서의 특허 출원 건수는 美 104,947건, 日 64,411건, 獨 52,473건에 비해, 韓은 27,413건(’22년 기준)
-글로벌 공급망 ‘새판 짜기’로서 「소부장 글로벌화 전략」 추진
ㅇ①기술혁신, ②생산혁신, ③수출혁신을 통해 글로벌 제조 3강, 수출 5강을 이끄는 첨단 소부장 강국 기반 마련
□ 기술 혁신 : 미래 산업 먹거리 및 글로벌 공급망 핵심 기술 조기 확보
-(도전) 미래 시장 선도형 첨단 소부장 기술개발 지원
ㅇ미래시장을 선도할 분야에 대해 소부장 핵심전략기술을 150개→200개 확대 지정하고, 맞춤형 R&D 지원
-(속도) 범부처 소부장 기술개발 생태계 조성을 통해 신속한 R&D 및 상용화
ㅇ과기부, 산업부, 중기부, 방위사업청 등 주요 R&D 사업에서의 부처 간 협업 강화
* 부처 통합형 기획 및 과제 연계를 통해 원천기술확보부터 양산 실증까지, 과제 당 약 200억원 단위 통합형 R&D 지원를 통해 소부장 생태계 구축
-(개방) 국내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모델을 고도화 하고 협력의 범위를 “글로벌”로 확대
ㅇ국내 수요기업을 넘어, 해외 유수 기업과 국내 공급기업 매칭을 지원하여 소부장 자립화를 지원하고 공급망 강화
* 기존의 1수요-1공급 협력 중심에서, 多수요-多공급 협력으로 R&D협력의 시너지를 강화하고, 국내 특화단지와 해외 클러스터 간 연구 협력도 추진 예정
□ 생산 혁신 : 글로벌 공급망의 혁신 허브로 도약
-(클러스터) 완결형 공급망 생태계를 조성하여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산업 초격차 확보
ㅇ첨단산업 특화단지, 소부장 특화단지의 조성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해 관계부처, 지자체 및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
ㅇ산업생태계 조성(수요-공급기업 간 협력), 규제 해소(인허가 타임아웃제 등), 클러스터 기반시설 구축 등 전방위 지원 예정
-(기업성장) 스타트업→강소기업→으뜸기업으로 이어지는 “성장사다리” Scale-up 기업 육성
□ 수출 확대 : 소부장 수출 전략 마련하여 글로벌 공급망 핵심 파트너로 성장
- 수출 단계별 밀착 지원 전략을 마련하여 소부장 판로개척을 지원하고, ESG 기준 충족을 위해 컨설팅 제공
ㅇ(시장조사) 현지무역관과 소부장 수출기업 1:1매칭, (마케팅) 소부장 대전 등 주요 전시회에 외국바이어 초청 및 B2B 연계,
ㅇ(현지진출) 미국 등 주요 수출거점에 GP센터를 확대하고, 소부장 기업 우선 입주를 위한 지원
-지역별로 특화된 소부장 수출 전략을 수립하고 지원
ㅇ(미국‧EU) 미국 IRA를 이차전지 소재 및 친환경차 부품 수출확대 기회로 활용하고, EU 역내 수출을 위해 공급망 ESG 지원
ㅇ(아시아) 국가별 현지진출 기업의 협력수요를 토대로 수요-공급기업 협력을 지원하고, 기술 ODA를 통해 현지 진출 촉진
[작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공급망정책과 [참고] 제11차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 위원회 상정 안건 자료(2023.4)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