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의 2030 그린수소 100 발전 로드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중국
  • 전혜윤
  • 기업명 :
  • 2023-04-13
  • 출처 : KOTRA

수소는 대표적인 청정에너지, 산업, 건물, 수송 등에서 탈탄소화를 위한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은 ’30년 탄소피크 및 ’60년 탄소중립 도달이라는 쌍탄소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수소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중국의 그린수소 100 발전 로드맵에 대해 알아보자

□ 중국 그린수소 산업 현황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 생산국으로, 연간 수소 생산량이 3,300만 톤에 이르지만 대부분이 화석연료에서 생산되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그레이수소(개질·부생수소 해당)

* 생산량(만 톤) : (’15) 1,800, (’16) 1,850, (’17) 1,915, (’18) 2,100, (’19) 2,200, (’20) 2,500, (’21) 3,300

** 수소 공급원 구성 비중(’21, %) : 석탄 개질수소 57, 천연가스 개질수소 22, 부생수소 18, 수전해 그린수소 1, 기타 2

그러나, 중국의 재생에너지발전 설비용량은 전 세계 1,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저탄소 청정수소 생산에 큰 잠재력이 있으므로 향후에 생산되는 대부분 수소는 그린수소*로 대체될 전망

*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수전해하여 생산된 수소로 탄소배출 없음(30호 기초상식 참조)

수소 관련 기업들은 총 161개의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 중 12개는 상업 가동되어 연간 23,100톤의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있으며, 22개는 건설 중

 ㅇ (기업) 중국 국유기업들이 중국 수소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CHN ENERGY, Sinopec, SPIC 국유기업들은 수소 가치사슬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음

 ㅇ (지역) 네이멍구, 닝샤, 신장, 지린 등 풍력·태양광 자원이 풍부한 지역은 대규모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 중

 

□ 그간 중국의 수소산업 정책

- (중국 에너지 법안, ’20.4) 수소에너지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그동안 위험화학품목으로 분류해왔던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편입

(14.5 경제계획(’21~’25), ’21.3) 수소산업 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기술 연구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수소에너지 산업 장기 발전계획(’21~’35), ’22.3) 중국 에너지시스템에서 수소의 중요성을 재차 명시하고, 그린수소 및 청정수소의 주요 방향과 ’35년까지의 3단계 목표를 제시

기간

3단계 목표

1단계
(’21~’25)

 ‣ 핵심 수소생산 기술 개발확보, 수소연료전지차 보유량 약 5만 대 달성, 수소충전소 건설보급 확대

 ‣ 그린수소 연간 생산량 10~20만 톤, 이산화탄소 연간 배출량 감축 효과 100~200만 톤

2단계
(’26~’30)

 ‣ 수소에너지산업 기술혁신 시스템 및 청정에너지 수소 생산공급 시스템 구축으로 소배출 정점 달성 목표에 기여

3단계
(’31~’35)

 ‣ 수송, 에너지저장, 산업공정 등의 부문을 포함한 종합적인 수소에너지 사용 생태계 구축

 ‣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그린수소 비중의 대폭 확대

 

 중국 수소산업의 문제점

- 중국의 수소산업은 여전히 개발 초기단계, 업종별 및 지역별 정책 지원 체계뿐만 아니라 수소에너지 활용 확대 정책이나 금융 등 관련 지원도 부족

- 수소부문 주요 성장 지역의 시범사업은 대부분 단일 기업이 담당하고 있어 가치사슬 형성 및 타 기업 간의 협력 모델이 부족하며, 부문별 시범사업 효과도 크지 않음

 

□ 중국의 그린수소 100 발전 로드맵

    1) 로드맵 구축 배경

 

- 중국은 ’30년 탄소배출량 정점에 도달하고 ’60년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쌍탄소정책(’20.9)’ 목표 달성을 위해 저탄소화, 청정화 방향으로 에너지믹스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 중국수소연맹(China Hydrogen Alliance)그린수소 100 발전 로드맵을 발표(’22.9)

 

    2) 주요 내용

 

- 로드맵은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중국의 에너지믹스 전환 및 중국 수소산업의 발전 수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0년까지 그린수소의 전해조 설치 용량을 100GW로 확대하는 목표를 설정

 ㅇ (설비용량) ’30년 풍력·태양에너지 발전의 총 설비규모는 1,600GW~2,000GW에 도달할 것이며,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에서 수전해 비중을 5%~10%로 본다면 그린수소 전해조의 설비용량 100GW 달성 가능

 ㅇ (생산량 전망) 그린수소산업 기술과 경제성을 고려해볼 때, ’30년에 수소 총 수요는 3,700~4,000만 톤이며, 그린수소 누적 설비규모가 100GW에 이르면 그린수소 생산량은 770만 톤에 도달

 ㅇ (경제성 분석) 향후 10년간 전해조 규모를 100GW로 확대한다면 중국의 알칼리 수전해 투자비용은 ’20kW2,000위안에서 ’301,500위안으로 절감되며, 재생에너지발전 비용이 점차 감소하여 그린수소 평균 생산비용이 kg13 위안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임

* 현재 석탄 개질수소와 부생수소의 생산 비용은 kg당 약 10~12위안이며, 그린수소 생산 비용은 kg20~25위안

 ㅇ (활용분야) 수소는 화학·철강·대형 운송 부문에서 탄소를 감축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해운·항공·기타 중공업·전기저장 등으로 활용범위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

- 수전해 기술 및 규모의 한계로 단기간 내에 그린수소 생산 비중을 크게 증가시킬 수 없으므로, 단계별로 여러 생산방식의 수소를 상호 보완하여 수소의 탄소 배출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추진

 ㅇ (단기) 경제성과 청정성을 모두 고려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생산량이 많은 화석연료 개질수소를 활용하는 한편, 수소의 상··하류 가치사슬을 육성하여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기반을 조성

 ㅇ (중기) 그린수소 중심의 수소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정책 수립실행·시장화를 통해 그린수소 생산을 증대

 ㅇ (장기) 중점 부문에서 수소 활용을 증대시키고, 중공업 및 장거리/화물 운송 부문에서 화석에너지를 그린수소로 전면 대체


작성: 미래전략팀, 에너지경제연구원 | 참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포커스(’22.12.26) 재정리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