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수소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 생산기업 ㈜상아프론테크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전문가
  • 전세계
  • 전혜윤
  • 기업명 :
  • 2023-04-06
  • 출처 : KOTRA

지난 47동화엔텍에 이어. 우리나라 수소산업의 핵심 소부장 중 하나인 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을 생산하는 상아프론테크로부터, 수소연료전지 시장의 현황과 미래 그리고 전략에 대해 살펴보자.

<공급망 기업소개>

(47) 동화엔텍

(52) 상아프론테크


1. 기업 소개

□ 기업 연혁

- (1974) 상아프론테크는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한 기업으로서, 2011년에 코스닥 상장

 ㅇ 기업의 모토는 글로벌 첨단 소재부품 무한한 가능성에 도전

 ㅇ 세계가신뢰하는 고기능성 제품을 개발하여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은 물론 사회적 책임을 준수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함

 ㅇ 이상원 대표이사는 수소연료전지, 이차전지,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방산업을 대상으로 첨단부품소재를 개발

- (2016) 월드클래스 300 기업으로 선정된 것을 시작으로, 전사벨트, ETFE Film, 정착벨트 등 세계일류상품을 배출

- (2021) 소부장 으뜸기업으로 선정되어 그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음

- (2023) 기업가치 약 5100억원, 소재부품 분야의 중견기업으로 성장

 

□ 기업 핵심 생산품목

- 생산품목은 상아프론테크의 연신코팅 기술을 활용한 ePTFE 멤브레인수소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

 ㅇ 국내외 MEA업체, 수소연료전지업체, RFB ESS업체, 수전해 업체 등에게 공급 중

 ㅇ 상아프론테크는 그동안 100%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던 멤브레인과 수소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의 국산화 효과를 인정받아 2021년 나노코리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

- (ePTFE 멤브레인) 불소수지의 일종인 PTFE를 당기고 펴서, 공기능성 다공성 필름으로 제조

 ㅇ Expanded Polytetrafluoroethylene(폴리테트라프루오로에틸렌)으로서, 1 당 수억 개의 나노사이즈 기공 있는 다공성 필름이며 1 이하의 증기입자는 배출하고, 물입자(400 )는 차단

- (강화 전해질막) ePTFE에 이온교환수지를 코팅하여 만든 수소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

 ㅇ 동 제품은 미국의 고어사에서 만든 고어실렉트(GORE-SELECT)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소수의 기업들만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ㅇ 동사는 7여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적 한계를 극복, 양산체계를 구축하여 100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

 

2. 기업의 시각에서 보는 강화전해질막 시장의 현황 및 미래

□ (현황) 친환경 이슈 부각으로 수소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 다만 수요에 비해 부족한 공급

- (환경) ESG 실사 등 환경 이슈가 선언적 수준을 넘어 공급망 주요현안이 되면서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시장의 폭발적 성장이 예상. 한국 역시, 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정부안에서 ’30년까지 수소차 30만대 생산을 명시.

 

- (시장) 수소차의 핵심 소재부품인 강화전해질막은 글로벌 시장에서 현재 4-5개 업체만이 양산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수요 성장세에 비해 공급량이 부족한 상황

 

□ (전망)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시장 수요에도 신규 진입장벽은 상당기간 유지될 예정

- (공급) 수소연료전지 스택의 막전극접합체(MEA)에 들어가는 핵심 부품으로서,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당기간 신규 경쟁자의 시장진입이 어려울 예정

 

- (수요) Frost&Sulivan 등 주요 전망 기관에 따르면 수소차 연료전지용 강화전해질막 시장은 2020년 약 3100억원 수준에서 2025년 약 13000억원 수준까지 급성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 없음.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71pixel, 세로 326pixel

 

3. 시사점

- 수소연료전지 관련 주요 기업들은 원재료 기술개발, 양산기반 마련, 미주 및 유럽, 일본 시장 진출을 통한 시장확보 등 다각적 전략을 마련해야 하며, 중장기적으로는 해외 현지 수요기업들과의 협력, 원재료 공급망 안정화 등을 통해 수출기반 마련과 수입 안정화를 동시에 대응할 필요


작성: 종합전략실, 산업통상자원부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