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캐나다의 핵심광물 가치사슬 구축 전략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캐나다
  • 전혜윤
  • 기업명 :
  • 2023-03-30
  • 출처 : KOTRA

녹색·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본격화됨에 따라 핵심광물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풍부한 핵심광물을 보유한 캐나다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핵심광물의 수요를 충족시키고 공급 위기를 줄이기 위해 핵심광물 가치사슬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에 대해 알아보자

□ 캐나다의 핵심광물 보유 현황

- 핵심광물은 매장량이 많지 않고 대체제가 없으며 전략적이고 제한적인 원자재로, 캐나다는 국토 전역에 풍부한 핵심광물을 보유

 캐나다는 코발트, 흑연, 리튬, 니켈 등을 풍부하게 보유한 서방 국가 중 하나이며, 항공 산업에 매우 중요한 니오븀 매장량은 세계 2위이고 반도체와 전기차 제조에 필요한 핵심 재료인 인듐 매장량은 세계 4

    * 매장량 : 리튬(53만톤), 니켈(280만톤), 코발트(22만톤), 희토류(83만톤), 백금족(310)

 퀘벡주, 온타리오주,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에서 주로 광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칼리 생산량은 세계 최대이고 알루미늄, 인듐, 니오븀, 백금족, 티타늄 정광, 우라늄은 세계 5대 생산국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bc039d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62pixel, 세로 471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38pixel, 세로 850pixel

 

- 현재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60여 종의 광물 중에서 니켈, 탄산칼륨, 우라늄 등의 31종이 핵심광물로 선정

 (선정조건) 캐나다의 경제 안보에 필수 및 공급 위협 존재,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필요, 캐나다의 협력 국가나 동맹국에서 고도의 전략적 핵심광물에 포함 등의 3개 조건 중 하나를 충족

 (선정방식) 주와 준주, 산업 전문가 등과 논의를 통해 선정되며, 캐나다의 31종의 핵심광물은 향후 수급과 기술 개발, 사회적 필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검토 및 갱신

 (6대 핵심광물) 31종의 핵심광물 중 리튬, 흑연, 니켈, 코발트, 구리, 희토류6대 주요 핵심광물로, 캐나다의 경제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과 주요 공급망의 필요성 때문에 핵심광물 중에서도 우선순위를 지정

 (기타 핵심광물) 캐나다에서 제조업에 이용되고 있지 않지만, 동맹국에게 수출하거나 캐나다에서 정제, 가공, 부품 제조를 확대하여 가치를 높일 수 있는 광물

    * 바나듐, 갈륨, 티타늄, 스칸듐, 마그네슘, 텔루륨, 징크, 니오븀, 게르마늄, 탄산칼륨, 우라늄, 알루미늄 등이 기타 핵심광물에 포함

 

□ 캐나다의 핵심광물 가치사슬 구축 전략

1) 구축 배경

 

전 세계적으로 녹색·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본격화됨에 따라 핵심 광물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핵심광물의 생산, 가공 및 재자원화를 함께하는 인프라 구축이 요구

-우 사태에서 보듯이 핵심광물이 특정한 곳에 집중되어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므로, 캐나다는 동맹국과 협력하여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및 새로운 가치사슬 등의 인프라 구축을 통해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

2) 구축 전략

 

산업 공정의 여러 단계를 국가적으로 통합하여 캐나다 내에서 경쟁력 있는 핵심광물의 가치사슬을 구축

 핵심광물의 가치사슬 구축은 탐사에서 재자원화까지 가치사슬의 각 단계와 그 사이의 모든 단계에서 역량 구축을 의미

 , 외국에서 가공할 광물 자원을 수출하고 국내 제조를 위해 가공된 광물 또는 최종 상품으로 재수입하는 것이 아니라 가치사슬의 모든 단계가 캐나다 내에서 이루어지는 통합된 산업생태계 구축이 목표

 캐나다의 핵심광물 가치사슬은 상류부문(탐사), 상류부문(채굴), 중류부문(반가공), 중류부문(첨단 제조), 재자원화 등 5단계로 구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bc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07pixel, 세로 322pixel

 

 캐나다에서 국가적으로 통합 가능성이 가장 높은 핵심광물의 가치사슬 분야로는 청정 기술, 정보통신 기술, 첨단제조의 소재 및 재료가 있으며, 핵심광물의 경쟁력 있는 개발을 위해 핵심광물의 생산지역에서 청정 기술 등의 전략적 인프라를 투자·구축

<캐나다에서 잠재력이 가장 높은 가치사슬 분야>

핵심 광물

가치 사슬 분야

리튬, 흑연, 니켈, 코발트, 구리, 바나듐, 티타늄, 스칸듐, 마그네슘, 텔루륨, 아연, 니오븀, 게르마늄

(청정 기술) 무공해 자동차, 풍력 터빈, 태양광 패널, 첨단 배터리, 수소 연료 전지, 소형모듈원자로(SMR)

갈륨, 게르마늄

(정보통신 기술) 반도체

리튬, 니켈, 구리, 희토류, 바나듐, 티타늄, 스칸듐, 마그네슘, 아연, 니오븀, 게르마늄

(첨단 제조의 소재 및 재료) 국방, 영구자석, 세라믹, 고부가가치 금속, 전자재료, 합성물질, 폴리머, 바이오소재


3) 기대 효과

 

산업 공정의 통합과 녹색·디지털 경제를 위한 핵심광물 개발은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촉진하여 보다 탄력적인 공급망 구축에 기여하고, 새로운 핵심광물의 가치사슬을 통해 캐나다는 지속가능한 광물 생산자 및 글로벌 광물·금속의 공급자로서의 위치를 고수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