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국가 핵심광물 수급위기 대응 및 공급망 안정화 대책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더 알아보기
  • 전세계
  • 전혜윤
  • 기업명 :
  • 2023-03-09
  • 출처 : KOTRA

산업부는 2.27핵심광물의 특정국 수입의존도를 완화하고 국내 광물자원을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공급망 안정화에 기여하기 위한 핵심광물 확보전략을 발표하였다. 핵심광물 선정글로벌 광산지도·수급지도,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등 주요 내용에 대해 알아보자.

 

보도자료 및 상세내용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에서 확인 가능

□ 핵심광물 확보 필요성

- 우리나라는 전체 광물 수요의 95%를 수입에 의존,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 핵심광물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핵심소재를 특정국 수입에 의존하고 있음

* ’40년 핵심광물 수요(IEA, ’20년 대비) : 리튬 42, 코발트 21, 니켈 19, 희토류 7

 핵심광물은 특정국에 매장·생산이 집중*, 대체재 확보가 어려워 글로벌 핵심광물 확보 경쟁 심화

* 글로벌 생산 점유율(‘21) : 희토류(중국 60%), 텅스텐(중국 84%), 코발트(DR콩고 71%) (USGS) 중국은 리튬·니켈·코발트·흑연 등 이차전지 산업 핵심광물 공급망(채굴정제련제조수요) 장악

 특정국 수입의존도를 완화하고 국내 광물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

 

 핵심광물 확보전략(2.27일 산업부 장관 발표) 주요내용

경제안보차원에서 관리가 필요한 33종의 핵심광물 선정, 10대 전략 핵심광물 집중 관리 추진

- 가격·수급 위기 발생 가능성 등 공급리스크국내 경제적 영향(국가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원료광물 등) 등을 평가하여 총 33종 선정

< 33종 핵심광물 >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흑연, 희토류(5*), 니오븀, 구리, 알루미늄, 규소, 마그네슘, 몰리브덴, 바나듐, 백금족(2*), 주석, 타이타늄, 텅스텐, 안티모니, 비스무스, 크롬, , 아연, 갈륨, 인듐, 탄탈륨, 지르코늄, 스트론튬, 셀레늄

 

* 희토류(네오디뮴, 디스프로슘, 터븀, 세륨, 란탄), 백금족(백금, 팔라듐)

 

- 전기차·이차전지·반도체 분야 공급망 안정화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10대 전략 핵심광물 선정

 

< 10 전략 핵심광물 >

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흑연, 희토류(5영구자석 : 네오디뮴, 디스프로슘, 터븀 / 반도체 연마제 : 세륨, 란탄)

 

글로벌 광산지도수급지도(Map)를 개발하고 조기경보시스템(EWS)을 구축, 희소금속 비축일수를 현재 54일에서 100일로 확대

글로벌 광산 프로젝트 분석을 위한 단계별(탐사·개발·생산) 광업권, 매장량, 인프라 등의 정보를 포함한 지도와 기업의 핵심광물 공급망 분석·이해 제고를 위한 국가별·광종별 생산·수출입 등 정보를 담은 지도 개발

광해광업공단 자원정보서비스*(KOMIS) 고도화하고 핵심광물 수급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 국가별 광물 부존현황, 가격, 기업의 투자동향 등 정보제공(2001년부터 서비스 제공)

 

< 핵심광물 글로벌 광산지도와 수급안정화지수 (예시)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79pixel, 세로 46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6pixel, 세로 391pixel

 

현재 비축중인 19(28품목), 54일분량을 ’31년까지 20(35품목*), 100일분으로 확대

    * 희토류 등 특정국 의존도, 공급위험이 높은 품목은 180일 이상 비축

ㅇ 또한, 비축 광물의 방출 소요기간을 절반으로 단축(6030)하고, 긴급방출 제도를 도입하여 긴급 상황시 8일내 수요기업에게 인도

해외자원개발을 위한 투자세액공제 재도입 등 세제지원금융지원 강화

해외자원개발을 위한 투자세액공제를 재도입하고, 실패시 손금 인정 범위 확대 해외자회사 배당금 세부담 완화 추진

수출입은행 및 무역보험공사 정책자금을 활용하여 광산개발을 위한 현지법인 설립, 시설·수입자금 등에 대해 여신 및 보험지원 (수출입은행(대출·보증), 무역보험공사(보험) 정책자금 활용)

 

2%대인 핵심광물 재자원화 비중을 20%대로 확대를 목표로, 폐자원을 핵심광물 원재료로 재활용하는 체계 마련, 재자원화 중소·중견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위한 실증센터와 클러스터 구축도 추진

 

원료확보를 위한 사용후배터리 회수·유통·활용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하고, 중소·중견 기업의 재자원화(·제련 포함) 실증을 위한 공동이용 설비를 제공하여 조기 사업화를 지원하는 실증센터 구축 추진

핵심광물 정제련·소재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재자원화 자원을 유통·비축으로 연계하고, 재생원료 사용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소재·부품·제품 내 재자원화 원료함량 정보제공(해외 수출기업 경쟁력 제고)

재자원화 소재·가공 업체 융자지원 신규 도입 및 재자원화 관련 기술을 우대 세액공제율이 적용되는 신성장·원천기술에 추가지정 검토

 

핵심광물 부국과 자원외교 활성화 등 우리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진출 지원

핵심광물 10종 관련 글로벌 공개 프로젝트 및 다자협력체 제안 프로젝트를 500여개를 대상으로 공공이 1사업타당성(경제성, 전략성, 국가 리스크) 평가 , 110개 프로젝트를 민간기업에 투자연계

ㅇ 핵심광물 수요기업 대상, 110개 프로젝트 사업설명회 개최(’23~) 

개발매력도, 접근가능성, 협력 가능성 등을 분석하여 전략협력국 선정, 국가별 투자전략을 마련하여 기업에 제공하고, MOU체결 등 민·관 협력을 통해 장기공급계약 체결 및 광산 투자 지원

ㅇ FTA 신규·개정 협상 시,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강화 내용(공동연구, 정보교류, 무역원활화 등) 반영 추진

광물안보파트너쉽(MSP), 국제에너지기구(IEA) 국제 협력체계에 적극 참여

ㅇ ESG 요소를 고려한 유망프로젝트 선정 국내 참여기업에 공유 투자 애로 발굴 및 지원 우리기업 광물 확보

ㅇ 동맹국과 공동 투자 시, 우리기업의 사업 추진에 필요한 정책자금 (수출입은행, 무역보험공사 등) 지원

 

위험성이 높고 전문성이 필요한 탐사공공기관이 선제적으로 추진 

위험성이 높고 전문성이 필요한 탐사를 공공기관이 선제적으로 추진하여 타당성 검토 후, 민간기업 투자로 연계 (신규사업 발굴, 직접 탐사 및 결과 도출 등을 거쳐 민간기업 대상 사업설명회 개최)

핵심광물 산업 지원을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 전문인력양성, 친환경 선광·제련 고도화와 핵심광물 대체재 기술개발도 강화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