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주요국의 핵심광물 확보를 위한 노력
  •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공급망 해외이슈
  • 전세계
  • 하선영
  • 기업명 :
  • 2023-05-25
  • 출처 : KOTRA

첨단산업의 발달,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으로 글로벌 핵심광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미국과 EU 등을 중심으로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세계 주요국은 핵심광물 목록을 구축하고 핵심광물 확보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이러한 주요국의 노력을 살펴보자.

□ 로벌 핵심광물의 수요 전망

- 최근 전 세계적으로 IT, AI, 재생에너지 등 신산업이 급성장하고,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이 추진되면서 향후 수십 년간 글로벌 광물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

ㅇ OECD 통계에 따르면, 금속광물 사용량’1790억 톤에서 60200억 톤, 비금속광물’17440억 톤에서 ’60860억 톤으로 증가할 전망

-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파리협정 목표 이행을 위해서 ’40에는 청정에너지 기술개발 및 보급 확대에 따른 핵심광물의 총 수요가 ’20년 대비 4 증가할 것으로 전망

ㅇ (전기차 및 ESS) 리튬배터리 관련 핵심광물 수요는 리튬 42, 코발트 21, 니켈 19, 흑연 25증가할 전망

ㅇ (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 전력망) 전기차 모터 및 풍력터빈 등에 사용되는 희토류 7, 구리 2.7, 규소 2.3증가

ㅇ (태양광) 태양광 발전 보급 확대로 갈륨, 인듐, 텔루륨 등 광물의 수급 불균형도 나타날 것으로 전망

ㅇ (수소) 수소에너지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전해조에 필요한 니켈과 아연, 연료전지에 필요한 백금족 원소(PGE) 등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주요국의 핵심광물 확보를 위한 노력

- 핵심광물은 특정국에 매장과 생산이 집중되어 있으며 대체재 확보가 어려워 글로벌 산업과 에너지시장에서 핵심광물 공급망 확보를 위한 경쟁이 날로 치열해지고 있음

- 이에 미국, EU 및 회원국, 영국, 일본, 캐나다, 호주 등 세계 주요국핵심광물의 공급망 붕괴로 인한 국가안보 및 경제성장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핵심광물의 공급 안보를 국가 전략으로 삼고, 핵심광물 목록을 지정·갱신하고, 개발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

- 중국은 핵심광물 중에 희토류 매장량이 풍부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십 년간 지속된 고속 경제성장, 재생에너지·IT·항공우주 등 신산업의 급성장, 산업구조의 고도화 등으로 핵심광물의 수요와 대외의존도가 증가하고 있어 광물 자급 및 공급 안보를 위해 핵심광물을 확보하고 있음


1. 핵심광물 목록 구축

- 핵심광물 선정에 있어 미국, 유럽과 같은 자원 소비국핵심광물의 공급 안보에 중점을 두고 있는 반면, 자원 부국인 캐나다와 호주는 자원량, 경제적 중요성, 저탄소경제로의 전환, 시장 규모 및 향후 전망 등을 고려하여 동맹국에 지속적으로 광물을 공급하는 목표 하에 광물을 지정

- 중국의 경우에는 경제적 중요성과 산업 성장에 중점을 두고 핵심광물을 선정

<주요국의 핵심광물 목록>

미국

유럽

자원소비국

’22년 미국 핵심광물 목록 (50)

’20EU 핵심원자재 (30)

’23EU 핵심원자재법() (34)

알루미늄, 안티몬, 비소, 중정석, 베릴륨, 비스무트, 세슘, 크롬, 코발트, 형석, 갈륨, 게르마늄, 흑연, 하프늄, 인듐, 리튬, 마그네슘, 망간, 니오븀, 루비듐, 스칸듐, 탄탈륨, 텔루륨, 주석, 티타늄, 텅스텐, 바나듐, 지르코늄, 백금족 금속(이리듐, 백금, 팔라듐, 로듐, 루테늄), 희토류(세륨, 디스프로슘, 어븀, 유로퓸, 가돌리늄, 홀뮴, 란타넘, 루테튬,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사마륨, 터븀, 툴륨, 이터븀, 이트륨) 니켈, 아연

보크사이트, 원료탄, 리튬, , 안티몬, 경희토류, 중희토류, 스칸듐, 형석, 마그네슘, 금속규소, 중정석, 갈륨, 스트론튬, 베릴륨, 게르마늄, 천연흑연, 탄탈륨, 비스무트, 하프늄,
니오븀, 티타늄, 백금족 금속, 텅스텐, 코발트, 인산염암, 바나듐, 붕산염, 천연고무, 인듐

알루미늄/보크사이트, 원료탄, 리튬, , 안티몬, 장석, 경희토류, 중희토류, 스칸듐, 비소, 형석, 마그네슘, 금속규소, 중정석, 갈륨, 망간, 스트론튬, 베릴륨, 게르마늄, 천연흑연, 탄탈륨, 비스무트, 하프늄, 니오븀, 티타늄, 붕소/붕산, 헬륨, 백금족 금속,
텅스텐, 코발트, 인암, 바나듐, 구리, 니켈

 

캐나다

호주

자원 부국

’21년 캐나다 핵심광물 목록 (31)

’19년 호주 핵심광물 전략 (24)

알루미늄, 안티몬, 비스무트, 세슘, 크롬, 코발트, 구리, 형석, 갈륨, 게르마늄, 흑연, 헬륨, 인듐, 리튬, 마그네슘, 망간, 몰리브덴, 니켈, 니오븀, 탄산칼륨, 희토류 원소, 백금족 금속, 스칸듐, 탄탈륨,
텔루륨, 주석, 티타늄, 텅스텐, 우라늄, 바나듐, 아연

리튬, 베릴륨, 니오븀, 탄탈륨, 지르코늄, 하프늄, 텅스텐, 희토류, 스칸듐, 갈륨, 게르마늄, 인듐, 레늄, 백금족 금속, 주석, 코발트, 망간, 바나듐, 티타늄, 안티몬, 비스무트, 마그네슘, 흑연, 헬륨

중국

’15년 중국제조 2025 (30)

’16년 중국 광물자원 계획(’16~’20) (24)

아연, 레늄, 붕소, , , 게르마늄, 텔루륨, 형석, 규소, 인듐, 크롬, 희토류, 텅스텐,구리, , 탄탈륨, 티타늄, 흑연, 베릴륨, 니켈, 니오븀, 몰리브덴, 망간, 알루미늄, 리튬, 갈륨, 코발트, 지르코늄, 바나듐, 백금족 금속

니켈, 텅스텐, 주석, 몰리브덴, 안티몬, 코발트, 리튬, 우라늄, , 크롬, 구리, , , 지르코늄, 알루미늄, 희토류, 석유, 천연가스, 셰일가스, 탄층가스, 석탄, 칼리암염, 흑연, 형석


 

2. 미··EU의 핵심광물 분석

- 3국 모두에 포함되는 리튬·코발트·니켈·니오븀·탄탈륨·베릴륨 및 희토류 중 일부 광물, 아울러 중국과 미국에 포함되는 크롬·지르코늄 등은 중국에서도 부족한 광물이므로 향후 미국, 중국, EU 간의 핵심광물 확보 경쟁격화될 가능성이 높음

ㅇ 미국 지질조사국(US Geological Survey, USGS)미국과 중국이 니오븀, 탄탈륨, 크롬, 티타늄, 레늄, 리튬, 지르코늄, 백금, 토륨, 팔라듐 등 11종 핵심광물의 대외의존도가 50%초과하며, 수입국도 대부분 중복되기 때문에 핵심광물 확보 경쟁이 심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


3. 미··EU의 핵심광물 확보전략 수립

- 미국은 주요국들과 핵심광물 안보파트너십(MSP, ’22.6)’ 체결하는 등의 핵심광물 공급망에서 탈중국화 정책을 수립추진하고 있으며, EU도 최근에 발표한 EU 핵심원자재법()’ 등을 통해 중국에 대한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려고 있음(인사이트 43, 44 참조)

- 중국 내 핵심광물 수요 급증뿐만 아니라 미국, EU 등이 핵심광물 확보 전쟁에 나서면서 국가안보 차원에서 핵심광물 자원을 통제하고 있음. , 중국 내 자원 개발을 확대하는 동시에 희토류, 텅스텐 등의 광물은 저부가가치 단계에서의 해외 유출을 통제하고 있음  (인사이트 44 참조)



작성:  에너지경제연구원, 미래전략팀 

참고: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포커스(’23.5.8) 재정리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