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동향
- 상품DB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5-05-28
- 출처 : KOTRA
-
임플란트 시장은 성장하고 있고 우리 한국산이 전체 임플란트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
한국 임플란트 제품은 품질이 좋고 시술이 용이하고 기술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고 생각
HS Code: 902129
상품명: 치과용 임플란트
미얀마 치과용품 시장
미얀마의 치과용품 및 임플란트 시장은 경제 개방 이후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도시 중산층과 젊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17년 미얀마 보건부(Ministry of Health)가 발표한 ‘구강건강 실태조사 보고서(National Oral Health Survey)’에 따르면, 당시 미얀마인들은 총소득 대비 1.5%만을 구강케어 제품에 지출하고 있으며, 이는 보건의료 제품 전체 지출 비중인 3.6%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사이 구강 위생과 외모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단순한 치약·칫솔 구매를 넘어선 전문적인 치과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양곤과 만달레이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치아교정, 미백, 임플란트 시술 등 고가의 치과 시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자연스럽게 관련 의료기기 및 치과용 소모품, 임플란트 재료에 대한 수입 수요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받는 습관이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정착되고 있고, 자녀의 치아 건강을 위한 유아용 구강케어 제품 및 진료 서비스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 지역에는 최신 장비를 갖춘 민간 치과 병·의원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외국산 의료기기와 임플란트 제품을 사용하는 병원들도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민간 치과 수는 2019년 726개에서 2023년에는 1014개로 크게 증가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미얀마의 구강케어 제품 시장은 2016년 이후 연평균 13%에서 18% 수준의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치약, 칫솔, 구강청결제 등 위생 및 건강 관련 소비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도 동반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미얀마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 향상 및 위생 의식 제고와 맞물려 나타나는 현상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016년 미얀마 구강케어 제품의 판매기준 매출액(Retail Value, RSP)은 현지화 기준 997억3940만 짜트(Kyat)로서, 당시 환율로 환산하면 약 7500만 미국 달러 규모였다. 이후 매년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2021년에는 2144억7610만 짜트, 2022년에는 2706억103만 짜트, 2023년에는 3556억311만 짜트를 기록했고, 2024년에는 4359억680만 짜트까지 확대되어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입동향
미얀마 임플란트 시장 규모에 대해서 따로 조사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임플란트는 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수입규모는 미얀마 전체의 시장규모로 예측할 수 있다. 미얀마의 치과용 임플란트(HS Code 902129) 수입은 최근 몇 년간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9년 수입액은 약 22만2000달러였으나, 2022년에는 39만8000달러, 2023년에는 65만 달러로 급증했으며, 2024년에도 60만7000달러를 기록하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한국산 제품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2023년에는 전체 수입의 약 99%에 해당하는 64만5000달러가 한국산이었다. 2024년에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56만9000달러였다.
한국 외에는 이스라엘, 스페인, 베트남, 중국 등 일부 국가로부터도 소량의 수입이 이뤄졌으나, 수입액은 비교적 미미한 수준이다. 이스라엘의 경우 2024년에 3만7000달러 규모가 수입돼 주목되며, 그 외 국가의 연도별 수입은 대체로 1000~2000달러 내외로 제한적이다. 이처럼 미얀마의 임플란트 시장은 한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은 구조로 돼있으며, 이는 품질 신뢰도, 브랜드 인지도, 현지 치과 전문의의 선호도 등이 한국산을 선호하는 이유로 예측할 수 있다.
<미얀마 임플란트(HS Code 902129) 수입 규모>
(단위: US$)
국가명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총 수입
222,295
195,975
182,187
398,640
650,019
607,461
한국
157,718
176,769
176,268
387,056
645,145
569,052
이스라엘
-
-
-
1,000
1,000
37,000
스페인
1,237
3,983
-
2,672
537
1,409
베트남
247
-
10
35
-
미국
3,299
7,275
-
-
-
-
태국
17,550
58
-
-
-
-
스위스
-
-
390
-
싱가포르
2,781
2,033
1,167
1,726
-
-
폴란드
2,630
-
-
-
-
필리핀
-
4,615
-
-
-
-
말레이시아
-
-
-
1,388
-
-
이탈리아
22,200
-
-
-
-
-
인도
5,860
995
601
-
-
-
독일
9,020
-
-
1,438
-
중국
-
-
2,432
4,783
1,474
-
브라질
-
-
1,309
5
-
-
오스트리아
-
-
410
-
-
-
[자료: Global Trade Atlas]
경쟁 동향
미얀마의 임플란트 제품은 전체 수입 제품이며, KOTRA 양곤 무역관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지 치과에서 가장 많이 취급하고 있는 브랜드는 대표적으로 한국의 오스템, 메가진, 덴티스, 스위스의 Straumann, 미국의 Zimmer Biomet, Dentsply Sirona, Bicon, 이스라엘의 Adin, 이탈리아의 Axelmed 등이 있다. 임플란트 가격은 브랜드별로 현지 환율이 높아져서 1000달러 내외로 판매되고 있다.
<미얀마에서 유통 중인 임플란트>
브랜드명
제조국가명
제품 이미지
오스템
한국
덴티스
한국
Adin
이스라엘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대다수 미얀마 치과는 외국 제조사와 직거래를 하기보다는 중간 수입상인 치과용품 공급업체로부터 임플란트를 공급받고 있다.
<미얀마 임플란트 유통구조>
[자료: KOTRA 양곤 무역관 정리]
관세율 및 수입통관 절차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관세 및 상업세>
(단위 : %)
HS 코드
HS 코드 설명
단위
관세율
상업세율
9021.29
Orthopaedic appliances, including crutches, surgical belts and trusses; splints and other fracture appliances; artificial parts of the body; hearing aids and other appliances which are worn or carried, or implanted in the body, to compensate for a defect or disability.
kg
1.5%
5%
[자료: Myanmar Custom Tariff 2022]
미얀마에 임플란트 수입 시 관세율은 1.5%이며, 상업세(Commercial Tax)도 5%이다. 미얀마에서 의료기기를 수입 시 식약청(FDA)의 수입추천서(Import Recommendation)이 필요하다. 의료기기를 제품의 리스크에 따라 Class A – Low Risk, Class B – Low moderate risk, Class C – Moderate High risk, Class D – High risk로 구분된다. 미얀마 식약청에 확인한 결과 임플란트는 Class A에 포함되며, 식약청에 수입추천서 신청 시 필요 서류는 아래 표와 같다.
<미얀마 식약청에 수입추천서 신청 시 필요 서류 목록>
필요 서류
Class A
Class B
Class C
Class D
Cover Letter
√
√
√
√
Letter of authorization from owner or manufacturer
√
√
√
√
Product description
√
√
√
√
Manufacturing license or GMP certificate copy/ EC certificate
√
√
√
√
ISO 13485 certificate copy
√
√
√
√
Certificate of analysis / Declaration of conformity including compliance standard
√
√
√
Risk analysis and risk management report
√
√
Clinical evaluation report
√
√
Declaration of product safety
√
√
√
Manufacturing process
√
√
√
Evidence of Marketing Approval ( Eg. Export certificate, Free sale certificate, Marketing History)
v
√
√
Complete Labeling information
√
√
√
√
Copy of business license of the local company or certificate of incorporation
√
√
√
√
[자료: FDA, KOTRA 양곤 무역관 정리]
신청 절차는 아래와 같다.
1. 서류 준비
2. E-submission System link → https://dut.fda.gov.mm/ 에 들어가서 Log In
*비회원인 경우 회원 가입 필요
3. Medical Device 선택 → New Application → 정보 작성
4. 온라인을 통해 수수료(Assessment fee)를 납부
*Assessment fee = 26,000짜트
5. FDA E-submission Medical Device Section에서 검토한 후 필요한 자료가 있을 경우 보완
6. FDA에서 수입추천서 발급
E-Submission 관련한 자세한 절차는 아래 링크를 참조할 수 있다.
https://dut.fda.gov.mm/eSubmissionGuide
인터뷰 및 시사점
미얀마의 생활 수준 향상과 함께 국민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이 점차 개선되면서, 임플란트 시술에 대한 수요도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외모 관리와 기능적 치료를 병행하는 구강의료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치과용 임플란트는 향후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양곤 소재 치과의사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임플란트 치료는 턱뼈에 직접 식립되는 고난이도 시술인 만큼 제품의 품질과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의료진은 신뢰할 수 있는 브랜드를 선호한다고 밝혔다. 현재 미얀마 내에서 임플란트 치료는 여전히 고가 치료에 해당하며, 일반 대중보다는 일정 수준 이상의 소득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형성되고 있다. 눈에 띄는 점은, 미얀마 현지에서 한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높다는 것이다. 인터뷰에 응한 치과의사는 “일반 소비자들은 임플란트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지 않더라도 한국 제품이라면 품질이 좋을 것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실제로 한국 임플란트는 시술자 입장에서 사용이 용이하고 기술적으로도 신뢰할 수 있어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미얀마 임플란트 시장은 현재는 규모가 크지 않지만, 향후 경제 회복과 함께 고급 치과 치료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품질과 기술력을 갖춘 한국 제품은 이미 현지 의료진 사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어, 한국 기업들의 진출 가능성도 충분히 높다고 판단된다. 초기에는 프리미엄 제품과 의료진 대상 마케팅을 중심으로 시장 접근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Euromonitor, 미얀마 통계청, 각 회사 홈페이지, KOTRA 양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얀마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말레이시아 마스크팩 시장동향
말레이시아 2025-05-28
-
2
음료
미얀마 2025-05-28
-
3
가나 수출 시 통관 및 대금 관련 주의사항
가나 2025-05-28
-
4
사례로 보는 중국의 IP 활용 도시 브랜딩
중국 2025-05-26
-
5
사우디 도시를 걷고 달리는 시민들…'스포츠 볼리바드' 1단계 개방
사우디아라비아 2025-05-26
-
6
중국 치과용 의료기기 시장 동향
중국 2025-06-30
-
1
2024년 미얀마 축산업 정보
미얀마 2024-04-22
-
2
2021년 미얀마 임업 산업 정보
미얀마 2022-02-07
-
3
2021년 미얀마 전력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4
2021년 미얀마 농업 산업정보
미얀마 2021-12-29
-
5
2021년 미얀마 수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6
2021년 미얀마 봉제산업 정보
미얀마 2021-12-2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