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미얀마 축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미얀마
  • 양곤무역관 KayThwe Oo
  • 2024-04-22
  • 출처 : KOTRA

현지 정부 축산업 육성책을 바탕으로 기술 선진화, 유통 현대화 활발

육류, 유제품 소비 증가, 축산업 생산품 수출확대로 시장 전망도 밝은 편

산업 특성

 

개요


축산업 분야 현황

 

축산업은 1차 산업 의존도가 높은 미얀마에서 농업 다음으로 중시되는 핵심 분야이며부업으로 가축을 사육하는 영세농가의 가계 소득원으로써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실제로 현지 산업별 국내총생산(GDP)에서 농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22.3%에 이르며이 중 약 3분의 1인 37%가 축산업과 어업으로부터 발생한다.

 

<현지 산업별 국내총생산 및 GDP 비중>

(단위백만 차트)

구분

2017-2018

2018-2019

2019-2020

2020-2021

2021-2022

(‘21.10~’22.3)

2022-2023

(‘22.4~’23.3)

비중

농업 부문 전체

21,106,493.4

22,476,953.7

23,587,589.6

24,529,994.2

18,190,603.4

27,993,640.3

-

 

농업

13,964,771.2

14,426,590.4

14,849,806.4

15,131,314.7

12,639,237.5

17,333,289.6

61.9%

축산ㆍ어업

7,058,571.9

7,962,858.6

8,652,207.5

9,333,507.5

5,526,020.1

10,605,706.2

37.9%

임업

83,150.3

87,504.7

85,575.7

65,172.0

25,345.8

54,644.5

0.2%

[자료미얀마 통계청]

 

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Irrigation)가 자료를 통해 밝힌 전체 가축사육 규모는 가장 최근인 2022-2023 회계연도 기준으로 소 1081만 마리물소 207만 마리양과 염소 284만 마리돼지 780만 마리닭 13391만 마리그리고 칠면조메추라기가 포함되는 기타 가금류 490만 마리 등으로 나타난다이보다 앞선 2018년 농축산관개부 전국가축기본조사(National Livestock Baseline Survey)’에서는 현지에서 사육 중인 전체 가축 중 가금류가 40%, 소가 23%, 돼지가 22%를 차지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참고로 전국가축기본조사는 총 1,182개 마을, 26만7211가구를 대상으로 대규모로 실시됐다가축별 사육 양상은 아래와 같이 나타난다.

 

① 가금류


주로 소득이 낮은 농촌지역 주민들의 동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육되는 경향이 크며동시에 영세농가의 별도 가계 소득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특히 종교적 이유로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선호하지 않는 현지 소비자들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닭고기가 대체 육류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사육되는 가금류는 현지 토종닭 외에 브로일러(Broiler)가 대표적이며 Layer Chicken 품종은 달걀 생산과 식용을 목적으로 사육된다그 밖에 오리칠면조거위메추라기 등도 널리 사육되고 있다.

 

② 돼지


돼지 사육은 대부분 소규모로 이뤄지고 있다실제로 미얀마 가축사육 및 수의부서(Livestock Breeding and Veterinary Department)에 따르면 현지 돼지 생산량의 90% 이상이 사육두수 2~4마리 규모의 영세농장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난다최근에는 양곤(Yangon) 등 대도시 주변을 중심으로 대규모 농장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상업용 생산의 규모는 전체 두수의 9% 수준에 머물고 있다다만 식용 육류로서의 품질은 부족한 편으로 자국산 돼지고기는 현지 주민 중심으로만 소비되고 있으며 고급 호텔레스토랑에서는 외국산 돈육을 수입하여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③ 


소와 물소는 육류 생산보다는 농사용 가축으로 사육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특히 농업중심 국가임에도 농기계 사용률이 매우 낮은 미얀마는 아직도 노동력의 상당부분을 소와 물소에 의존하고 있다소는 중부 건조지대(Dry Zone)의 농가에서 농사용으로 흔하게 사육되고 있으며물소는 주로 산지 지역 농가에 분포하고 있다한편 식용 목적의 소는 주로 만달레이양곤네피도 등 대도시 주변에 위치한 낙농가에서 생산되고 있다쌀을 주식으로 삼고 있으면서 동시에 쌀농사에 가축의 노동력을 폭넓게 활용해야 하는 미얀마에서는 아직도 소고기 식용이 터부시되는 경향이 크다.

 

한편 가축별 사육두수는 축산업의 기업화현대화 및 질병 발생 등 대내외 환경적 요인의 영향으로 다소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먼저 가금류의 경우 기술을 갖춘 외국자본이 현지 양계업 투자를 확대함에 따라 사육두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확인된다반면 돼지 농가는 2019년 대규모로 확산됐던 아프리카 돼지독감(African Swine Fever)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이에 따라 돼지 생산량이 급감한 바 있다참고로 이 수치에는 미얀마 전국에 퍼져있는 사육두수 1~2마리 이하의 영세농가 생산량도 일부 포함되어 있으나실제 조사작업 수행의 한계상 상당수 사육규모는 누락된 것으로 추정된다.

 

<가축별 사육두수 변화>

(단위)

종류

2010-2011

2016-2017

2017-2018

2018-2019

2019-2020

2020-2021

2021-2022

2022-2023

소(Cattle)

13,609

16,571

17,646

9,907

10,083

10,305

10,663

10,810

버펄로(Buffalo)

2,977

3,641

3,868

1,902

1,942

1,983

2,047

2,073

양·염소 (Sheep, Goat)

4,084

8,786

10,733

2,378

2,482

2,585

2,728

2,842

돼지(Pig)

9,416

16,524

19,273

6,069

6,429

6,779

7,337

7,803

가금(Fowl)

156,407

296,267

349,171

76,565

86,837

98,089

117,243

133,911

오리(Duck)

14,051

23,636

27,389

7,304

7,983

8,743

10,001

11,487

기타 가금류*

1,751

3,455

4,267

4,498

4,590

4,688

4,841

4,908

칠면조(Turkey), 거위(Geese), 머스코비오리(Muscovy Duck), 메추라기(Quail)

 [자료미얀마 통계청]

 

정부 정책 및 해외수출

 

미얀마 정부는 축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펴고 있다농업축산관개부(Ministry of Agriculture, Livestock and Irrigation)가 지향하는 기본적인 목표는 전국민의 식량 자급자족이며이를 위해 영세농가를 포함한 모든 축산업 사육업자들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또한 시장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사육품종의 다양화’, 상품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수출 확대농가 소득의 증대 등을 추구하고 있다.

 

2022년 4월에는 정부 주도로 축산 및 양식연구부서(Department of Livestock and Aquaculture Research)’가 행정수도 네피도(Nay Pyi Taw)에 설립됐으며해당 국가연구기관에 부속된 사무소를 14개 지차에 별도로 설치하기도 했다동시에 축산분야 연구와 발전을 위한 정부의 강령을 발표한 바 있으며요약된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축산업의 현대화를 위한 기술의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이에 민간 참여를 확대한다.

2. 국제기구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최신 사육기술을 도입한다.

3.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유전자 보존병충해에 내성을 갖춘 품종의 개량 등을 추진한다.

4. 농축산관개부를 중심으로 동식물 자원 관리 부처 전반의 정부 간 협업을 활성화한다.

5. 국제기구비영리단체(NGO)와 적극 협력하여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한 교육을 실시한다.

6. 축산물 유통시장을 활성화하고 품질 표준규정의 제정가격책정거래기준 수립 등을 추진한다.

 

한편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는 2017년 공지 제49/2017호를 통해 축산업 관련 규정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구체적으로 2017년 10월부터 살아있는 소와 버펄로의 해외 수출을 허가했으며정책보고서인 국가수출전략(NES, National Export Strategy 2020-2025)’에 축산물을 주요 진출대상 품목으로 명시하기도 했다.

 

해외수출도 이에 따라 점차 늘어나기 시작하여 2020-2021 회계연도 기준 42071만 달러에 이른 바 있다이후에는 코로나19 팬데믹과 미얀마 군부 쿠데타 및 이에 따른 국가 비상사태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다시 감소세로 전환된 상황으로 가장 최근인 2022-2023 회계연도 기준 수출액은 37006만 달러를 수준이었다.

 

<‘살아있는 동물과 관련 제품군의 수출 동향>

(단위: US$ 백만)

구분

2015-2016

2017-2018

2018-2019

2019-2020

2020-2021

2021-2022

(‘21.10~’22.3)

2022-2023

(‘22.4~’23.3)

살아있는 동물과 관련 제품

190.12

259.32

298.36

336.80

420.71

246.52

370.06

[자료미얀마 통계청]

 

산업의 수급 현황

 

최신 동향

 

미얀마가 축산업을 국가핵심 전략산업으로 중시하고 있음에도 외국인 투자는 크게 제한되어 왔다실제로 현지의 미얀마 투자법’(Myanmar Investment Law)은 담수(fresh water) 어업 및 관련 서비스 등 어업을 비롯한 축산업 전반을 외국인 투자 제한 업종으로 규정하고 있으며해당 분야에 관한 연구개발 활동도 내국인 및 내국기업과의 합작 통해 시행하도록 강제하고 있다참고로 미얀마는 자연환경과 지역사회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업에 대해서는 외국인 투자를 제한하거나 현지인과 합작투자만을 허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통계상 확인되는 축산업 분야 외국인 투자 규모도 전체의 0.5~3.0% 사이에 그치고 있는 등 비중이 매우 작은 편이다.

 

다만 2010년 경제 개방으로 미얀마 진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이후에는 가금류 부문을 중심으로 한 외국인 직접 투자가 늘어나기도 했다실제로 다수의 외국기업들이 병아리 사육종계장 및 육계농장 운영 등에 투자하기 시작했으며현재는 미얀마 육계의 약 60%, 산란계의 76%가 외국계 기업을 통해 생산공급되고 있다수치상의 투자 규모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특히 2018년 육계 관련 산업 분야에만 총 15600만 달러다음해인 2019년에는 13800만 달러가 투자되는 등 유치실적이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다만 대외리스크 확대로 경제가 악화된 이후에는 이와 같은 가금류 분야의 투자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난다해당 부문의 통계상 투자유치액은 2020년 1969만 달러, 2021년 1935만 달러에 그쳤으며, 2022년에는 216만 달러까지 폭락하기도 했다.

 

한편 축산업과 관련이 깊은 사료생산업 진출도 활발한 편이다특히 고품질 사료의 생산은 대한민국의 선진을 중심으로 태국의 CP Livestock, 네덜란드의 De Heus 등 외국계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으며해당 기업들은 미얀마 사료 수요의 60% 이상을 책임지고 있는 상황이다현재 미얀마에 진출해 있는 축산업 관련 외국인 투자기업도 대부분 사료 생산업체들인 것으로 나타난다참고로 사료업체 De Heus사는 까야(Kayah)주에 320만 달러를 투자해 대규모 돼지 사육장을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축산ㆍ어업 분야 외국인 투자의 비중과 증감 동향>

(단위: US$ 백만)

연도

2017-2018

2018

(4월-9월)

2018-2019

2019-2020

2020-2021

2021-2022

(‘21.10월-’22.3월)

2022-2023

전체 투자액

5,718.086

1,764.701

4,158.474

4,880.973

3,791.398

642.084

1,640.667

축산ㆍ어업

27.661

32.955

156.898

138.488

19.698

19.350

2.168

비중(%)

0.5

1.9

3.8

2.8

0.5

3.0

0.1

[자료미얀마 투자위원회(MIC)]

 

<축산업 관련 분야 진출 상황>

업체명

분야

설립 연도

투자국가

CP Livestock

사료닭 생산

1996

태국

Japfa Comfeed

사료 생산

2014

인도네시아

Myanmar New Hope Farm

사료 생산

2012

중국

Sunjin

사료 생산

2013

한국

CJ Feed Myanmar

사료 생산

2017

한국

De Heus Myanmar

사료 생산

2016

네덜란드

Green Feed

사료 생산

2016

베트남

Zhengbang

사료 생산

2017

중국

Myint Dachan

사료 생산

2017

베트남

Dutch Mill(Myanmar) Dairy Co.,Ltd

유제품 생산

-

태국

Kangrui Agriculture & Livestock Development Company

소 사육

2019

중국

Silvery Pearl Dairy

우유 생산

1999

현지

PEP Myanmar Diary

유제품 생산

 

현지

TM Farm House

우유 생산

2021

현지

[자료: KOTRA 양곤무역관 자체 조사]

 

진출전략

 

축산업 진출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현지의 낙농생산 조건과 대내외 환경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우선 미얀마는 전통적인 농업 중심국이기 때문에 축산업 또한 국가적으로 중시되고 있으며 실제로도 다수의 농촌지역 종사자들이 낙농 생산에 종사하고 있다다양한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광할한 토지를 보유하고 있어 사료의 현지 공급에도 유리하다현지 정부 역시 축산업의 현대화상업화 및 선진기술 도입에 적극적이다.

 

그러나 원료의 공급과 최종 생산물의 운송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하는 물류인프라는 현재까지도 제대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특히 최근 소수민족 무장단체(EAO, Ethnic Armed Organization), 시민방위군(PDF, People’s Defense Force) 등 반정부세력과의 교전이 확대되면서 육상 운송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주요 수출 목적국인 태국중국 등으로의 운송도 국경게이트 인근지 교전 확대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또한 아직까지 미흡한 생산품의 상업화현대적인 유통판매채널의 부재 등도 현지 진출의 장애 요소로 볼 수 있다.

 

SWOT 분석


Strength (강점)

Weakness (약점)

• 낙농업에 유리한 기후환경 조건

• 풍부한 농촌지역의 노동력과 높은 축산농가 비율

• 사료 공급용 작물 재배의 용이함

• 낙후된 낙농 기술과 인프라

 영세농가 중심의 생산 편중

• 미진한 상업화와 현대적 유통·판매 채널의 부재
(☞ 축산업 고부가가치화 부진)

Opportunities (기회)

Threats (위기)

• 현지정부의 축산업 육성 및 농촌 현대화 정책

• 중국태국인도 등 주변국의 수요 확대

• 식생활 변화에 따른 육류유제품 소비 확대

• 국가 비상사태 이후 투자 여건 악화

 무력충돌 확산으로 인한 물류 인프라 손실
(국경게이트 운영 중주요 도로망 폐쇄)

 


산업 전망

 

<현지 축산 농가의 모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b8223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60pixel, 세로 720pixel

[자료: KOTRA 양곤무역관 촬영]

 

생활의 현대화서구화와 이에 따른 식문화의 변화는 육류와 유제품 소비의 확대에도 기여하고 있다실제로 양곤만달레이 등 대도시 지역에는 한국식 고기요리 전문점을 중심으로 다수의 외식업 매장들이 개업하고 있으며육류의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축산농가의 수와 농가별 사육두수사료 공급량 등도 늘어나는 자국 내 소비에 맞춰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미얀마축산협회(Myanmar Livestock Federation)가 발표한 자료에도 동물용 사료의 수요가 매년 15% 내외의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난다특히 협회는 2018년 250만 톤 규모였던 사료 소비량이 2년 뒤인 2020년 전년 대비 33% 증가한 330만 톤까지 늘어났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축산기술이 매우 낙후되어 있고생산품을 상품화할 수 있는 노하우 또한 부족하여 해당 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외국계 기업과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다발전된 기술과 노하우를 갖춘 한국 축산기업들의 투자진출과 협력이 현지에서 큰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자료미얀마 통계청미얀마 농업축산관개부, KOTRA 양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미얀마 축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