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티오피아 수술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에티오피아
- 아디스아바바무역관 김한나
- 2025-05-28
- 출처 : KOTRA
-
에티오피아 정부 주도의 의료 인프라 확장과 민간 병원의 증가에 따라 수술용 의료기기 수요 증가
에티오피아 진출을 위해서는 현지 유망 유통업체나 수입업체와의 파트너십 구축이 우선순위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 정의
9018.90
수술용 의료기기
시장동향
에티오피아는 의료 투자 증가, 수술 도구 수요 증가, 병원 확장으로 시장 잠재력이 커지고 있다. 외환부족에 따른 수입 문제에도 불구하고 정부 및 기부자 지원 프로젝트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티오피아의 수술 기구 시장이 정부 주도의 의료 인프라 확장과 민간 병원의 증가, 수입 수요 확대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인구 증가와 도시화 진전에 따라 수술 건수가 증가하면서 병원과 진료소, 전문 센터에서의 수술 기구 수요가 구조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수요가 있는 수술 기구로는 메스, 포셉, 수술용 가위, 리트랙터, 지혈대, 바늘 홀더, 수술용 톱 등이 있으며, 해당 기구들은 조직 절개, 고정, 봉합, 혈류 제어 등에 사용된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특히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수술 접근성을 확대하고 있으며, 병원들은 노후 의료기기를 교체하며 첨단 수술 장비 수입을 늘리고 있다. 여기에 민간 의료기관 급증과 수입 의료기기에 대한 의존도도 시장 확대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년 기준 에티오피아의 수술 기구 수입액은 전년 대비 20.2% 증가한 4142만 달러를 기록하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 2024년 전년 대비 94.4% 증가한 69만7000달러를 기록하며 수입 점유율 1.7%로 11위에 진입했다. 아직 시장 내 절대 규모는 작지만, 뚜렷한 수출 회복세는 가격 전략이나 품질 개선을 통한 시장 재진입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미국 또한 27.8% 증가한 366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수입의 8.8%를 차지했다. 기술력과 품질 신뢰를 바탕으로 점진적인 수요 반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에티오피아의 수술용 의료기기(HS 코드 9018.90) 수입 동향>
순위
국가 / 지역
금액(US$ 천)
점유율(%)
증감률(%)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4/2023
전체
63,624
44,636
34,465
41,422
100.00
100.00
100.00
100.00
20.18
1
중국
12,866
8,587
10,682
15,764
20.22
19.24
30.99
38.06
47.57
2
인도
2,782
4,059
5,200
4,848
4.37
9.09
15.09
11.70
-6.76
3
미국
12,102
4,342
2,866
3,664
19.02
9.73
8.32
8.84
27.81
4
덴마크
2,125
1,723
2,743
2,843
3.34
3.86
7.96
6.86
3.65
5
독일
4,208
7,349
2,407
2,617
6.61
16.46
6.98
6.32
8.71
6
대만
805
705
640
1,318
1.26
1.58
1.86
3.18
105.96
7
싱가포르
303
0
5
1,153
0.48
-
0.02
2.78
20,877.80
8
일본
454
359
357
954
0.71
0.80
1.04
2.30
167.31
9
파키스탄
2,445
1,009
319
856
3.84
2.26
0.93
2.07
168.34
10
네덜란드
1,681
1,736
2,792
816
2.64
3.89
8.10
1.97
-70.79
11
대한민국
10,368
250
358
697
10.3
0.56
1.04
1.68
94.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
경쟁동향
중국 제품의 수입이 2024년에 전년 대비 47.6% 증가한 1576만 달러를 기록해 에티오피아 총 수입의 약 38%를 차지했다. 2024년 중국은 여전히 에티오피아 시장의 핵심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하며 가격 경쟁력과 공급 안정성을 바탕으로 수입 점유율 1위를 유지했다. 중국산 제품은 병원과 수입업체에 의해 높은 가성비를 인정받고 있다. 2위를 차지한 인도는 6.8% 감소한 485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이는 일부 비활성 에이전트의 입찰 실패와 물류 병목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총 수입의 11.7%를 차지하며 견고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에티오피아 수술 기구 시장은 크게 프리미엄과 대중 시장 부문으로 나뉜다.
1. 프리미엄 세그먼트(하이엔드 시장)
주요 글로벌 브랜드(예: Ivoclar Vivadent, Coltène/Whaledent, Septodont, Aseptico)가 에티오피아 시장에 진출할 수 있었던 주요 성공요소는 다음과 같다:
- 강력한 유통업체 파트너십
- 판매 후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
- 정부 입찰 및 NGO 자금 지원 프로젝트에서의 선호도
- 전문 수술(치과, 정형외과, 신경외과)을 위한 고정밀 도구
- 상급 병원 및 교육 기관에 강력한 입지 구축
2. 대중 시장 부문(가격에 민감한 시장)
중국 수입품(시장 점유율 약 38%)이 주도하며 다음과 같은 주요 성공 요인에 힘입어 성장했다:
- 개인 진료소 및 지방 보건소에 적합한 합리적인 가격
-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많은 글로벌 브랜드가 중국에서 제조돼 수출 증가 추세를 보임
- 다양한 기기를 대량으로 공급
- 브랜드 유연성: 현지 시장의 가격 중심적 요구에 맞게 화이트 라벨이 부착된 제품이 많음
인도, 터키, 파키스탄이 저렴한 가격에 중급 품질을 제공하는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대중 시장 부문이 확대되고 있다. 중국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파키스탄은 유럽 표준을 충족하는 합리적인 가격의 고품질 스테인리스 스틸 기기를 공급하며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유통구조
에티오피아의 수술 기구 유통 채널은 해외 제조업체가 에티오피아 식품의약청(EFDA)의 승인을 받은 에티오피아 수입업체를 거쳐 현지 유통업체, 사립 또는 국립 병원과 개인병원, 보건소에 직접 제품을 유통하는 구조로, 시장 접근성을 확보하고 전국적인 유통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EFDA 규정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기기 유통구조>
[자료: 주요 바이어 인터뷰, KOTRA 아디스아바바무역관 정리]
주요 수입업체
<에티오피아 수술 기구 주요 수입업체>
연번
수입업체
분야
주요 수입 브랜드
1
Mamesin Import & Export Plc.
치과, 외과, 마취, 정형외과
콜텐, 셉토돈트, 아셉티코, 아이보클라, 메이저 덴탈 등
Coltène, Septodont, Aseptico, Ivoclar, Major Dental 등
2
Yohannes Kebede Haile Medical Importer
진단 및 수술용 기기
마인드레이, 마글루미, 아물, 자이바이오, 파인케어 등
Mindray, Maglumi, Amoul, Zybio, Fine Care 등
3
Denku Mallede Import Trade
제약, 치과 및 수술 유닛
한국, 이태리, 중국, 인도의 다양한 브랜드
4
Agmas Medical Pvt. Ltd. Co.
일반 의료 및 수술 장비
미공개
5
Delta Instrument Technology P.L.C.
실험실 및 수술 기구
미공개
6
Medtech Ethiopia Plc
일반 의료 용품
미공개
7
Promed Medical Supplies & Distributor
수술 장비 및 병원 용품
미공개
8
Retina Pharmaceuticals
의료 및 수술용 기기
미공개
9
Rey Medical
종합 병원 장비
미공개
10
Shega Medical Solutions
일반 수술 및 진단 솔루션
미공개
12
Labtrace Medical Equipment Importer
실험실 및 수술용 기기
미공개
13
Starchain Medical
의료 및 수술용 기기
미공개
14
Droga Pharma PLC
의료 및 수술용 기기
미공개
[자료: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정리]
관세율
수술용 의료기기(HS 코드 9018.90)의 수입관세는 18%이며, 그 외에 VAT 15% 및 원천징수세(Witholding Tax) 3%가 부과된다.
제품 인증 및 수입 규정
에티오피아의 의료기기 수입을 감독하는 규제 당국으로는 의료기기 주요 규제 기관인 에티오피아 식품의약청(EFDA), 의료 표준 및 수입 승인을 담당하는 보건부(MoH), 관세 및 수입 절차를 관리하는 에티오피아 관세위원회(ECC)가 있다.
모든 수술용 기구는 사전에 EFDA에 등록돼야 하며 다음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 제품 기술 사양
- ISO 13485, CE 또는 FDA 인증
- 무료 판매 인증서 및 분석 인증
- 라벨링(제품 라벨에는 제품명, 설명, 제조 및 유통기한, 취급/보관 지침, 제조업체 및 수입업체의 세부 정보가 포함돼야 함)
수입 관련 규정은 다음과 같다.
- EFDA 수입 허가: 제품 등록 절차가 완료된 후 EFDA에서 발급해 주는 이 허가서는 통관 및 수입 승인에 필요한 중요한 문서로 기능함
- 통관 절차: 상업 송장, 포장 목록, 선하 증권, EFDA 허가증, 원산지 증명서 등의 서류가 필요함
- 시판 후 감시: EFDA는 에티오피아에 제품이 도착하면 무작위 검사를 실시하며, 규정을 준수하지 않은 품목은 리콜 또는 판매 금지될 수 있음
시사점
한국 기업의 고급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은 현지 시장에서 프리미엄 포지셔닝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규제와 유통망을 둘러싼 과제를 면밀히 관리해야 실질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에티오피아 시장 진출을 원하는 한국 기업은 △신뢰할 수 있는 유통업체와의 관계 구축 △경쟁력 있는 가격 제안 △EFDA 규정 철저 준수 △정부 조달 및 의료 프로젝트 적극 참여 △현지 의료진 대상 기술 지원 및 교육 확대 등을 전략으로 고려해야 한다. 동시에 저가 중국산 제품과의 경쟁 및 복잡한 수입 절차로 인한 지연 가능성에 대한 대응 전략도 필요하다.
자료: GTA, MOH, EFDA, EPSS, 수입업자 인터뷰 및 KOTRA 아디스아바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에티오피아 수술용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가나 수출 시 통관 및 대금 관련 주의사항
가나 2025-05-28
-
2
미얀마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 동향
미얀마 2025-05-28
-
3
말레이시아 마스크팩 시장동향
말레이시아 2025-05-28
-
4
벨기에 리튬이온축전지 시장동향
벨기에 2025-05-27
-
5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2025-05-28
-
6
제10회 AGRITEC AFRICA 농업기술 박람회∙콘퍼런스 참관기
케냐 2025-07-04
-
1
2024년 에티오피아 제약산업 정보
에티오피아 2024-10-16
-
2
2021년 에티오피아 의류 산업
에티오피아 2021-12-21
-
3
2021년 에티오피아 _중고차 산업
에티오피아 2021-12-21
-
4
2021년 에티오피아 가전산업 정보
에티오피아 2021-12-15
-
5
2021년 에티오피아 의료기기 산업
에티오피아 2021-12-13
-
6
2021년 에티오피아 화학산업 정보
에티오피아 2021-12-09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