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도희수
- 2025-05-28
- 출처 : KOTRA
-
도시 중심의 정수기 시장 성장과 소비자 수요 확대
정부주도의 식수 인프라 개선 프로그램 추진 중
상품명 및 HSCODE
HS Code 842121은 물을 여과하거나 정수하는 데 사용되는 기계나 장비를 포함하며, 가정용, 산업용, 병원이나 실험실 등 특수환경에서 사용되는 정수기와 여과기를 모두 포함한다. 더 큰 범주인 HS Code 8421로 보았을 때는 원심분리기나 액체 및 기체를 정화하는 데 사용하는 장비들 또한 포함된다.
인도네시아 시장동향
TechSci Research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은 2023년 기준 4억6423만 달러 규모로 나타났으며, 연평균 12.4% 성장이 예상되어 2029년까지 9억3402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KenResearch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은 인구 밀집도가 높은 자카르타, 수라바야, 반둥과 같은 주요 도시들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도시 주민들은 수질오염 증가와 불안정한 용수공급 문제, 동시에 상대적으로 높은 가처분 소득으로 인해 다른 지역에 비해 정수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들은 정수기 판매 및 시장확장의 거점으로 해당 도시들을 주요 타깃으로 하고 있다.
2024년, 인도네시아는 국가 식수 규정을 개정해 모든 공공 급수 시스템이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오염물질에 대한 엄격한 안전 기준을 준수하도록 의무화했다. 이로 인해 정수기는 품질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필수적인 수단으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정부는 지방자치단체가 안전한 식수를 공급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인 수질 검사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 변화는 가정용 정수기에 대한 소비자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은 식수가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믿을 수 있는 방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수천 개의 섬으로 이뤄진 군도국가라는 특성으로 인해, 각지에 분포된 사람들에게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네시아 정부는 ‘정수기 보급 이니셔티브’를 진행하여, 지역사회 기반 식수 및 공급 프로그램인 Pamsimas와 지역사회 주도 위생개선 프로그램인 Sanimas를 운영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수기 프로젝트의 주요 목표는 전국 곳곳의 수원을 오염시키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화학물질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식수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정수 시스템을 통해 필터링, 자외선 살균, 역삼투압(RO)과 같은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강, 호수, 지하수 등 다양한 수원을 효과적으로 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깨끗한 식수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인도네시아 공공사업부는 '음용수 공급 가속화 프로그램(P3AM)'을 통해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 이니셔티브는 국가 개발 목표 달성을 목적으로 하며, 주요 목표에는 아래 내용이 포함돼 있다.
- 「장기 국가 개발 계획(RPJPN 2025–2045)」에 명시된 도시 가구의 100%가 관로를 통한 음용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 전체 가구의 43%가 안전한 식수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 「중기 국가 개발 계획(RPJMN 2025–2029)」에 따라 전체 가구의 40.2%가 관로식 급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프로그램은 상수도 시스템의 건설, 개선, 확장, 최적화, 복구뿐만 아니라 음용수 공급 시스템(SPAM) 개발에 대한 모니터링 및 감독 활동도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인도네시아는 수인성 질병을 줄이고, 공중 보건을 증진하며, 전반적인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수기 수입동향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Indonesia) 2025년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정수기(HS Code 842121) 수입은 최근 몇 년간 증가와 감소가 반복됐다. 2020년에는 약 1억2400만 달러 규모의 정수기를 수입했으나, 이후 2년간 그 규모는 크게 줄어 2021년에는 약 8900만 달러 수준으로 감소했다.
2022년에는 수입규모가 두 배 이상 증가하여 약 1억7900만 달러에 달했으며, 2023년에는 소폭 하락했다가 2024년에는 다시 반등하여 2억400만 달러를 초과하는 수입실적을 기록했다. 수입 물량 역시 대체로 이와 유사한 추세를 따라 점차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단기적으로는 시장 변동성이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인도네시아 내 정수기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0~2024년 정수기(HSCODE 842121) 수입 규모>
(단위: US$ 천, kg, %)
연도
수입규모(USD)
수입규모(kg)
증감률(USD, %)
2020
124,162
12,132
-32.95
2021
89,180
10,087
-28.17
2022
179,575
19,044
101.36
2023
172,898
16,903
-3.72
2024
204,034
23,010
18.01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국가별 수입동향
지난 3년간, 인도네시아의 정수기 수입 양상은 큰 변화를 보였다. 수입액은 2022년 1억7957만5000달러에서 2024년 2억403만4000달러로 증가하며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다. 국가별 수입액을 보았을 때 중국은 인도네시아의 제1위 수입국으로 2024년 기준 전체 수입 규모의 약 65.8%를 차지한다. 중국제품은 가격 경쟁력이 높은 것과 더불어, 최근 제조 역량과 기술력 모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2024년 기준 1887만 6천 달러로 중국에 이어 수입규모 2위 국가이다. 2022년에는 1422만 6천 달러였던 수출액이 2023년에는 1050만2000달러로 소폭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다시 증가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시장점유율도 2023년 6.07%에서 2024년에는 9.25%로 상승했다. 말레이시아는 2024년 1138만 5000달러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하여 전체시장 내에서 5.58%의 점유율로 수입 규모가 3위이다. 뒤이어 독일, 미국, 이탈리아, 인도, 싱가포르 순이며, 그 중 미국의 경우 2022년 1810만6000달러였던 수출액이 2024년 506만2000달러로 급감했으며, 시장 점유율도 10.08%에서 2.48%로 감소했다.
<2022~2024년 정수기(HSCODE 842121) 수입액>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연도별 수입액(US$ 천)
연도별 점유율(%)
증감률(%)
(‘23-‘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세계
179,575
172,898
204,034
100.00
100.00
100.00
18.01
1
중국
85,807
86,799
134,339
47.78
50.20
65.84
54.77
2
한국
14,226
10,502
18,876
7.92
6.07
9.25
79.74
3
말레이시아
7,208
15,513
11,385
4.01
8.97
5.58
-26.61
4
독일
4,639
7,455
6,273
2.58
4.31
3.07
-15.85
5
미국
18,106
6,321
5,062
10.08
3.66
2.48
-19.91
6
이탈리아
4,112
4,661
4,669
2.29
2.70
2.29
0.16
7
인도
18,838
4,914
3,523
10.49
2.84
1.73
-28.31
8
싱가포르
4,789
2,254
3,102
2.67
1.30
1.52
37.62
9
일본
3,007
3,576
2,515
1.67
2.07
1.23
-29.65
10
대만
1,014
627
2,249
0.56
0.36
1.10
258.83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유통구조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에서 유통 채널은 오프라인 소매, 온라인 소매, 그리고 소비자 직접 판매(Direct-to-Consumer)로 구분된다. 오프라인 소매점은 일반 매장 및 전문점 등을 포함하며, 제품 시연과 사후 서비스를 선호하는 소비자들로 인해 여전히 주요 유통 채널 중 하나로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편리함을 추구하는 전자상거래 이용이 증가하면서, 온라인 소매 채널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시장 구조에 점진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HS Code 842121에 해당하는 정수기 제품의 주요 유통구조 및 유통업체 목록은 아래와 같다.
<정수기(HSCODE 842121) 유통구조>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정수기(HSCODE 842121) 유통사 리스트>
연번
기업명
내용
1
PT Indotara Persada
- 2004년에 설립된 인도네시아 기업으로, 정수기, 가정용 워터디스펜서, 연수기 등을 취급함
2
Dew Water Filter
- 인도네시아의 정수기 및 수처리 장비 전문 기업으로, 인도네시아 전역에 유통망을 구축하고 있음
3
PT. Sentrasarana Tirtabening
- 1980년대에 설립된 정수 및 수처리 전문 기업으로, Yuki Water Treatment라는 브랜드로 알려져 있음
4
Aquatech Indonesia
- 2009년에 설립된 수처리 장비 유통업체로, 산업용, 상업용, 가정용 수처리 솔루션을 제공함
5
PT Tirta Sumber Makmur
- 산업용 및 상업용 정수시스템 설계, 설치 등에 특화된 수처리 전문 기업으로 제조 및 유통을 모두 수행
[자료: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경쟁동향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은 유통과 제조를 겸하는 곳들이 많으며, 인도네시아 기업 외에도 한국, 일본 등의 기업들도 있다.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 기업 리스트>
연번
기업명
내용
1
PT Indotara Persada
- 2004년에 설립된 인도네시아 기업으로, 정수기, 가정용 워터디스펜서, 연수기 등을 취급함
2
PT. Sentrasarana Tirtabening
- 1980년대에 설립된 정수 및 수처리 전문 기업으로, Yuki Water Treatment라는 브랜드로 알려져 있음
3
Aquatech Indonesia
- 2009년에 설립된 수처리 장비 유통업체로, 산업용, 상업용, 가정용 수처리 솔루션을 제공함
4
PT. Lautan Solusi Airindo
- 2019년에 설립된 산업용, 가정용 정수 기업으로, ‘PUREVE’ 브랜드로 알려져 있음
5
PT. Indo Arthawa Filter
- 다양한 산업용필터 제조 및 공급을 전문으로 하는 인도네시아 기업
- https://www.indoarthawafilter.net
6
PT. Coway International Indonesia
- 한국 코웨이의 인도네시아 법인으로 정수기 및 공기청정기 서비스 제공
7
PT Cuckoo Global Indonesia
- 한국 쿠쿠전자의 인도네시아 법인으로, 정수기, 공기청정기, 전기밥솥 등 제품 생산
8
LG Electronics
- 한국LG전자의 인도네시아 법인으로, 정수기를 포함한 다양한 생활가전제품을 생산함
9
Panasonic
-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일본 정수기 브랜드로 소형정수기를 주력으로 함
[자료: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842121(정수기)를 제조하고 판매하려는 기업에게 적용되는 관세율 및 인증은 아래와 같다.
HS CODE
IMPORT DUTY (%)
VAT
MFN
AK-FTA
IK-CEPA
842121
-
-
-
-
84212111
5
0
0
11
84212119
5
0
0
11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ㅇ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SNI 인증은 제품의 용도에 따라 두가지 형태로 요구될 수 있다. 먼저 정수기가 음용수를 생산하기 위한 용도라면, 제품은 SNI 01-3553-2006을 준수해야 한다. 이 기준은 식수의 품질 기준을 명시하며, 안전성을 의미한다. 한편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제품은 SNI IEC 60335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ㅇ 의료기기 유통 허가증(Izin Edar Alat Kesehatan)
정수기가 박테리아, 바이러스, 중금속 또는 기타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해당 제품은 인도네시아 보건부에 의해 의료기기로 분류되며, 공식적인 유통 허가증을 취득해야 한다. 반면, 특정한 건강 관련 주장이 없고 일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기기는 '가정용 건강용품(PKRT)'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별도의 유통 허가가 필요하다. 건강 관련 주장을 하지 않거나 직접 음용 가능한 물을 생산하지 않는 제품은 해당 허가 요건에서 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유통 허가 및 분류는 인도네시아 보건부 산하 의약품 및 의료기기총국(Farmalkes)이 관할하고 있다.
시사점
인도네시아 정부는 여러 정책과 규제를 통해 정수 기준의 유지, 보조금 등을 통한 가격 접근성 확보, 그리고 공공 및 민간 부문 간 협력 강화를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는 정수기 보급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부령 제492/MENKES/PER/IV/2010호는 모든 정수 시스템이 준수해야 할 식수 품질 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 기준을 충족해야만 해당 정수 시스템이 안전한 식수용으로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장기적으로 인도네시아 경제가 발전하며, 공공 보건과 인프라 발전, 환경 지속 가능성을 위해 정수기 수요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중산층 이상에서의 수요 또한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깨끗한 물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 콜레라, 설사병 등 수인성 질병의 발생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으며, 이는 특히 농촌 지역 주민들의 전반적인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청정수에 대한 수요가 특히 높은 산업 군과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도 효과적인 시장 진출 전략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제약, 식음료, 발전, 화학 산업 등에서는 운영 과정에서 고도로 정제된 물 또는 엄격한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 물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만큼, 정확한 반응과 일관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정밀하게 처리된 정수가 필요한 분야와의 협업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TechSci Research, KenResearch,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정수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배전반 시장동향
미국 2025-05-28
-
2
인도네시아, 식량안보 강화 위한 스마트 농업 도입 가속화
인도네시아 2025-05-30
-
3
헬로키티에서 멀티IP로, 중국에서의 산리오 열풍 비결은?
중국 2025-05-28
-
4
말레이시아 가정용 정수기 시장 동향
말레이시아 2023-06-01
-
5
UAE 드론 시장, 정책 지원과 수요 확대로 고공비행 중
아랍에미리트 2025-05-28
-
6
인도, 전략산업 중심으로 FDI 정책 전면 개편… 글로벌 투자 유치 가속화
인도 2025-05-29
-
1
2025년 인도네시아 의료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5-03-04
-
2
2024년 인도네시아 기초금속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24
-
3
2024년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4-10-10
-
4
2021년 인도네시아 소비재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5
2021년 인도네시아 기계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10
-
6
2021 인도네시아 건설 산업 정보
인도네시아 2022-01-07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