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콰도르 군·경찰·민간 방산 수요 급증, 우리기업 진출 적기
- 트렌드
- 에콰도르
- 키토무역관 임가람
- 2025-04-14
- 출처 : KOTRA
-
Keyword #에콰도르 #에콰도르방산시장 #에콰도르마약조직소탕 #에콰도르갈라파고스 #한국양어3천톤급함정 #함벨리함 #민수용화기류 #드론 #민간무기소지법 #에콰도르경찰 #Seguriexpo #헬리콥터
’23년 민간 무기 소지법 승인 이후 2년간 민수용 화기류 수입 453% 증가
마약조직 소탕 및 갈라파고스 방위를 위한 군경의 무기 수요 증가
우리 정부, 에콰도르에 3천톤급 함정 양여로 양국 간 방산 협력 확대 도모
에콰도르는 1995년 페루와의 국경분쟁 이후 주변국과의 재래식 군사 충돌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군의 주요 역할이 내부 재난 대응, 마약 조직 대응, 해양 불법 어획 단속 및 마약 운송 저지 등으로 전환됐다. 2024년 초에는 마약 조직에 의한 강력 범죄 급증으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소탕 작전을 시작했다. 최근에는 미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등 군과 경찰의 모든 역량이 범죄와의 전쟁에 집중돼 있는 상황이다.
2024년 에콰도르 국방비 지출은 37억 달러(GDP 대비 3.16% 수준)로 지난 10년간 최고조에 달했으며, 2023년 민간 무기 소지법 승인으로 지난 2년간 화기류 수입이 453% 급증했다. 공공 부문의 군·경찰 장비 조달뿐만 아니라 급증하는 범죄로 인해 민간 부문의 보안 서비스 및 제품 시장도 확대 추세다.
치안 개선 활동 확대 중인 에콰도르
세계 최대 마약 코카인 생산국으로 알려진 국가들과 국경을 접하는 에콰도르는 유럽과 북미로 가는 주요 마약 거래 통로로 이용돼 왔으며, 최근 수년 새 영향력 확장에 나선 카르텔들의 격전지로 변했다. 2023년 에콰도르의 1인당 살인율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인구 10만 명당 47.2건의 강력 범죄로 인한 사망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따라 에콰도르는 중남미에서 가장 치안이 불안한 국가 중 하나가 됐다.
2024년 1월 초 다발적 교도소 폭동, 교도관 납치, 생방송 중 괴한들이 텔레비전 방송국을 침입하는 등 폭력 사태가 급증함에 따라 2024년 1월 8일부터 90일간의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기 이르렀다. 이에 따라 에콰도르 정부는 군경을 동원한 체포 작전을 전개하며 마약 조직과의 전쟁이 시작됐다. 도시 순찰, 교도소 통제, 항만·공항 보호 등에서 군경의 역할이 확대됐고, 이에 따른 장비 수요도 증가 추세에 있다.
에콰도르 치안 및 국방 현황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아메리카 대륙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국가 간 전쟁이나 군사적인 무력 충돌이 없었던 유일한 지역이다. 대부분의 폭력은 불법 마약 카르텔부터 소규모 갱단들과의 분쟁 등 조직범죄와 관련돼 있다. 에콰도르는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2021년 기준 무기 수입액이 가장 많은 6번째 국가이며, GDP 대비 군사비 지출 비율(1998~2020년)로는 2위 국가였다. 이는 에콰도르 경제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국방 및 치안에 높은 비중의 예산을 배정했음을 의미한다.
<주요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GDP 대비 군사비 지출 비중(1998~2020년)>
[자료: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2021]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에콰도르의 국방비 지출은 연 20억 달러 내외였다. 그러나 노보아 대통령의 국가 비상사태 선포와 안보 정책 강화로 2024년 국방비 지출은 37억 달러로 전년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2025년에도 노보아 대통령은 미국의 대외군사판매(FMS) 프로그램을 통해 약 6500만 달러 규모의 소총 구매를 추진하는 등 방산 지출을 확대하고 있으나, 2025년 4월 13일로 예정된 에콰도르 대선 결과에 따라 정책 변화 가능성이 있다.
<에콰도르 정부의 국방비 지출 현황(2020~2024년)>
(단위: US$ 백만, %)
연도
국방비 지출액
GDP 대비 국방비 지출 비중
2020
1,999
2.4
2021
2,037
2.2
2022
2,306
2.2
2023
1,408
1.2
2024
3,765
3.2
* 주: 국내 무력 충돌로 인해 에콰도르 정부의 국방비 지출 정보는 기밀임에 따라 해당 수치는 국방부와 내무부가 공유한 공개 정보를 바탕으로 집계
[자료: 에콰도르 국방무, 내무부, 현지 언론]
갈라파고스 해역 수호를 위한 방산 수요도 증가
에콰도르는 '갈라파고스 불법조업 차단' 호위함, 군수지원함 등 원양 작전 능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외국 어선단의 불법 조업으로 해양 생태계 파괴 우려로 대륙에서 약 1000km 떨어진 갈라파고스 군도를 지키기 위한 함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은 총 3척의 퇴역함을 에콰도르에 기증해 갈라파고스 수호에 기여했다. 지난 2020년에 에콰도르에 300톤급 경비함 2척(다윈함과 플로네이나함)을 전달한 바 있으며 이들 경비함들은 현재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마약단속반으로 활약 중이다. 이 경비함 2척이 2022~2023년 사이 밀수 단속을 벌여 압수한 마약류만 4742kg에 이른다.
2024년에 우리나라가 에콰도르에 기증한 3천톤급 군함(함벨리함)은 한국에서 수리를 마친 후 2025년 4월 중 에콰도르로 입항할 예정이다. 남미 군사전문 매체인 데펜사(Defensa)의 2025년 2월 12일 보도기사에 따르면, 입항을 준비 중인 함벨리함은 에콰도르 해군에 새로 배치되어 해군의 작전 능력을 강화시킬 것이라고 발표했다.
<한국이 에콰도르에 양여한 최대 규모의 3000톤급 함정>
[자료: 한국 해양경찰청]
한국과 에콰도르 간 치안 분야 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주에콰도르대사관은 에콰도르 경찰청과 치안 협력 사업 추진하며 2023년부터 에콰도르에 한국 경찰 전문가 파견, 초청 연수 실시, 치안 장비(드론 및 전동 스쿠터) 기증 등을 해오고 있다.
에콰도르 방산·보안 시장 규모 및 수입동향
에콰도르는 방산 및 보안 물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가다. 2024년 기준으로 에콰도르의 무기 수입액은 2500만 TIV(Trend Indicator Value)에 달했으며, 이는 최근 5년간 가장 높은 수치다. TIV는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에서 무기 수입을 측정하는 단위다. 주요 무기 수입국으로는 유럽연합, 튀르키예, 미국 등이 있었다.
<에콰도르의 주요 무기 수입국 및 전체 수입액 대비 비중(2022년)>
(단위: %)
[자료: 에콰도르 중앙은행 및 현지 언론 Primicias]
에콰도르 진출 유망 품목으로는 호위함, 원양 초계함, 다목적함, 중형 헬리콥터, 경공격기, 경장갑차, 정찰용 무인기, 경찰차, 방탄복, 방탄모, 탄약, 방탄차 등 정부 수요가 있으며, 민간 수요로는 첨단 감시장비, 감시 드론, 권총, 소총, 탄창, 전기 충격기 등이 있다.
<에콰도르 정부의 무기 도입 현황(2019~2024년)>
(단위: 개)
계약년도
무기 종류
주문량
업체 및 모델
수입국
2025
소총
40,000
M4A1
미국
(대외군사판매)
2024
방탄복, 방탄모
31,416
군용
미국
기관단총
1,735
9x19mm SIG Sauer MPX
독일
해양 경비함
2
아일랜드급 초계함
독일
2023
중형 헬리콥터(중고)
5
에어버스 Superpuma
독일
전술 수송기
2
에어버스 C295
독일
전술 수송기
1
Hercules C-130
미국
방탄복
11,048
경찰용
비공개
개인 화기
10,000
권총, 수총, 기관단총
이스라엘
오스트리아
스위스
개인 방호 장비
2000만 달러
방탄복, 방탄모 등
비공개
2022
육군전술차량
(경장갑차)
127
Elbit 4x4 David
이스라엘
35
Cobrea II, URAL
터키
13
Mbombe 6x6
남아공
2021
MP항공기
레이더
4
Seaspray
영국
2020
함포
1
MPv70 용 76m 함포
이탈리아
2019
헬리콥터
6
에어버스 H145
독일
기본 훈련기
8
Grob G-120TP
독일
다목적수송함
1
MPV70 Mk2
독일
함포
3
Compact 40L70
이탈리아
[자료: 현지 언론 및 국방부 공개 자료]
무기 소지법 승인과 관세 인하로 민간용 무기 시장 열려
과거 2010년 라파엘 코레아 전 대통령은 민간인의 총기 소유를 금지하고 총기 수입에 300%의 관세를 부과해 왔다. 에콰도르 총기 관리 정보 시스템(SINCOAR, Sistema Informatico de Control de Armas)에 따르면 2017년 에콰도르는 라틴아메리카 지역 내 합법적 총기 소지율이 2.4%로 가장 낮은 국가였다. 같은 해 등록된 총기는 14만6401정이었으며, 그중 58%는 군대와 경찰 소유였고 42%는 민간 부문 소유로 대부분은 사설 보안 기업이었다.
그러던 중 2023년 기예르모 라소 전 대통령은 행정 명령 707호를 통해 민간인이 개인적인 용도로 총기를 수입 가능한 무기 소지법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에콰도르에서 민간인의 총기 구매가 13년 만에 허용되면서 국가 방위 시장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어 2024년 6월 12일 에콰도르 관세청(SENAE, National Customs Service of Ecuador)은 대통령령 302호를 통해 무기·탄약·스포츠용 총기에 대한 수입 관세율을 기존 150%에서 30%로 대폭 인하했다.
에콰도르 민간인 무기 시장 동향
2023년 이전에는 민간 무기 판매에 대한 제한과 높은 관세로 인해 수입액이 그리 높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2년간(2022~2024년) 화기류 수입이 약 453% 증가하며, 무기 및 개인 방어 용품의 소지와 수입을 허용하는 규제 변화가 더해져 민간 무기 시장에 투자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기회가 창출됐다.
<에콰도르 민간 부문 총기(HS코드 93) 최근 5개년 수입액 동향>
(단위: US$ 천)
연도
무기 수입액
2020
298
2021
413
2022
1,377
2023
7,151
2024
7,621
* 주: 에콰도르 관세청(SENAE)을 통해 수입된 품목들로 에콰도르 정부에 직접 판매된 제품은 미포함
[자료: Sicex]
<에콰도르 총기(HS코드 93) 수입 주요국 현황(2023~2024년)>
(단위: US$ 천)
순위
국가명
2023
2023
점유율
국가명
2024
2024
점유율
1
튀르키예
3,898
54.5
브라질
2,768
36.3
2
브라질
1,884
26.4
튀르키예
1,639
21.5
3
콜롬비아
330
4.6
체코
830
10.9
4
이탈리아
317
4.4
아르헨티나
275
3.6
5
체코
251
3.5
스페인
157
2.1
6
독일
177
2.5
중국
151
2.0
7
미국
136
1.9
오스트리아
122
1.6
8
스페인
60
0.8
미국
66
0.9
9
오스트리아
55
0.8
이탈리아
61
0.8
10
아르헨티나
33
0.5
-
기타
9
0.1
기타
1,553
9.9
전체
7,151
전체
7,621
[자료: Sicex, 2025.4]
에콰도르의 일반 시민들은 개인적인 용도로 화기를 구매하는 것을 대체로 꺼리는 편이나, 치안 문제로 인해 민간 보안 산업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에콰도르 조직범죄 연구소(OECO, Observatorio Ecuatoriano de Crimen Organizado)와 에콰도르 국가 경찰(Policia Nacional del Ecuador)에 따르면, 현재 에콰도르에는 1195개 이상의 민간 보안 회사가 운영 중이며 이들 업체에서 고용된 민간 경비원 수는 약 6만5000명으로, 국가 경찰 인력(약 5만7000명)보다 15%가량 더 많다.
이처럼 민간 보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콰도르의 민간 무기 시장도 확대되고 있지만, 높은 수요에 비해 공급은 제한적인 상황이다. 특히 현지 기업들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자본 부족으로 인해 대규모 수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점은 외국 기업들에게 에콰도르 민간 무기 시장 진출 및 투자에 있어 유망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에콰도르 전략물자 조달 업체 등록 안내
에콰도르 국방부는 전략물자로 분류된 품목에 대해서 조달 업체 등록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략물자 및 관련 서비스를 조달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고 관리한다. 전략물자 품목 리스트에 있는 제품 및 장비 등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달 업체로 등록되어야 한다. 단, G2G 계약을 통한 경우 해당 업체 등록 불필요하다. 전략물자 품목으로는 전자전기 및 통신 시스템, 방공 무기, 고정익 및 회전익 항공기 및 부품, 해양 전투함, 미사일 및 정밀 유도 포탄, 장갑차 및 기계화 차량, 항공 회피 시스템(채프) 등이 있다.
에콰도르 국방부 홈페이지 전략물자 조달 업체 등록 페이지에서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defensa.gob.ec/registro_proveedores/#). 등록 비용은 없으며, 평균 약 70일 소요된다. 필요서류로는 등록 페이지에 게시되어 있는 ①조달 업체 등록 신청서, ②업체 기본 정보, ③공증 확인서, ④업체 제품 생산, 판매, 유통 허가증 및 해외 수출 경력 증빙 자료, ⑤신청자 구분(자연인, 법인, 내국인, 외국인 등)에 따른 관련 정보 문서, ⑥사실 확인 증명서, ⑦전년도 재무상태표 등이 있다.
<등록절차>
등록 페이지에서 온라인 사전 등록
⬇
관련 서류 스캔본 등 업로드
⬇
온라인 제출 서류 원본 서면 제출
⬇
전략물자 계약 총괄부 검토
⬇
추가 서류 요청(필요시)
⬇
조달업체 인정 여부 통보
에콰도르의 군, 경찰,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살상 및 비살상무기와 폭발물을 정식 수입하는 공인 수입업체인 라 아르메리아(La Armería)의 대표 디에고 루에다(Diego Rueda)씨는 KOTRA 키토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에콰도르에서 무기 수입업체로 공식 등록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행정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에 따라 많은 해외 기업들이 이미 등록된 현지 업체를 통해 제품을 유통하는 방식을 선호한다"고 말했다. 루에다 대표는 "한국 기업의 제품을 수입할 의향이 있으며, 무기뿐만 아니라 폭발물, 드론, 안티 드론 기술에도 관심이 있다"고 언급했다.
국가비상사태 시 수의계약을 통한 방산물자 긴급 조달 제도 활용
에콰도르는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발생한 경우, 대통령령을 통해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절차 간소화를 위해 수의계약 방식으로 방산물자 등을 긴급 조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에콰도르 다니엘 노보아 정부는 2024년 4월 1일부터 현재(2025년 4월)까지 국가비상사태를 유지하고 있어 수의계약이 가능한 상황이다.
시사점
최근 에콰도르의 치안 악화로 인해 정부와 민간 부문 모두에서 방산·보안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에콰도르 정부의 국방 예산 확대도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우리기업은 마약조직 대응 경찰 장비, 군 현대화 장비, 민간 시장용 무기 등의 진출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유망품목으로는 경찰차, 방탄복, 방탄모, 탄약, 방탄 차량, 방호복, 검시 장비, 첨단 감시장비, CCTV, 권총, 탄창, 전기 충격기, 감시 드론(교통, 치안) 등이 있다. 특히, 방탄복 및 방탄모의 입찰 참여를 위해서는 NIJ 인증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안 관련 분야 에콰도르 현지 진출을 위해서 에콰도르 최대 방산·보안 전시회인 Seguri Expo 행사 부스 참여를 통해 제품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것도 추천된다.
<에콰도르 최대 방산·보안 전시회 Seguriexpo 개요>
행사명
Seguri Expo Ecuador
개최기간
2025.6.5(목)~6.6(금), 11:00~19:00, 2일간
로고이미지
장소
Centro de Convenciones Metropolitano de Quito, 에콰도르 키토
개최주기
매년 1회 (5~6월경)
주최
My Estrategia
참가 규모
약 7개국 45개 이상의 관련 업체
전시품목
치안, 보안, 안전 및 디지털 보안 분야 제품
웹사이트
자료: 에콰도르 국방부 및 내무부,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Sicex, Policia Nacional del Ecuador, Observatorio Ecuatoriano de Crimen Organizado, 에콰도르 현지 언론(Primicias, El Universo, El Comercio), La Armería 대표 Diego Rueda 인터뷰 자료, KOTRA 키토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에콰도르 군·경찰·민간 방산 수요 급증, 우리기업 진출 적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글로벌 항공·방산 기술의 향연…호주, 아발론 국제 에어쇼
호주 2025-04-16
-
2
K–스마트팜 진출 유망 지역, 아제르바이잔 농업계의 현황과 과제는?
아제르바이잔 2025-04-14
-
3
반도체의 현재와 미래가 공존하는 곳! 중국 국제 반도체 전시회 '세미콘 차이나'
중국 2025-04-14
-
4
카타르의 기후 변화 대응 및 탄소 감축 노력
카타르 2025-04-14
-
5
미국의 대멕시코 관세 부과 경과 및 시사점
멕시코 2025-04-14
-
6
태국 종이 포장재 시장 동향
태국 2025-04-14
-
1
2024년 에콰도르 광산업 정보
에콰도르 2024-11-01
-
2
2021년 에콰도르 소매업 정보
에콰도르 2021-12-21
-
3
2021년 에콰도르 자동차산업 정보
에콰도르 2021-12-21
-
4
2021년 에콰도르 석유산업 정보
에콰도르 2021-12-21
-
5
2021년 에콰도르 산업 개관
에콰도르 2021-12-21
-
6
2021년 에콰도르 광산업 정보
에콰도르 20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