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글로벌 항공·방산 기술의 향연…호주, 아발론 국제 에어쇼
  • 현장·인터뷰
  • 호주
  • 멜버른무역관 조미영
  • 2025-04-16
  • 출처 : KOTRA

무인 항공기부터 차세대 전투기까지 미래 방위 기술 조망

아발론 국제 에어쇼를 통해 본 K-방산 기술의 글로벌 진출 전략

전시회 개요


 <전시회 개요>

명칭

AVALON 2025 (Australian International Airshow)

분야

항공우주 사이버 방산·보안 장비 및 각종 무기 시스템

기간

2025.3.25.~3.30.

장소

호주 빅토리아주 질롱(Geelong)시 아발론(Avalon)

규모

전시 기관 및 업체 902개사, 방문객 약 20만 명

주최

호주 공군, 빅토리아주, 질롱(Geelong)시

주관

AMDA FOUNDATION LIMITED

홈페이지

https://airshow.com.au/the-airshow/2025-event/welcome/

[자료: AVALON 2025, KOTRA 멜버른 무역관 정리] 


호주 아발론 국제 에어쇼(AVALON)는 빅토리아주 멜버른에서 차량으로 1시간 가량 떨어진 아발론 공항 인근에서 격년으로 2년마다 개최되는 세계적인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다. 2025년 아발론 국제 에어쇼는 3월 25일부터 30일까지 6일간 성대하게 개최됐으며, 총 32만 제곱미터의 넓은 야외 공간에 총 12600제곱미터 규모의 4개의 대형 전시 홀에서 다양한 전시가 펼쳐졌다. 이번 행사에는 28개국에서 902개 업체가 참가하여, 최신 항공기, 드론, 군사 시스템, 우주 기술 등 첨단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관련 장비들을 선보였고, 공식 집계에 따르면, 방산 업계 관계자 약 6만 명을 포함해 총 20만 명의 관람객이 다녀가 국제적인 관심과 위상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행사는 3월 25일부터 28일까지의 트레이드 데이(Trade Day)와 28일부터 30일까지의 퍼블릭 에어쇼(Public Airshow)로 구성됐다. 먼저 트레이드 데이 4일간은 항공우주 및 방산 업계 전문가들과 관련 기관들이 참여하는 전문 콘퍼런스와 네트워킹 행사가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이 기간 참가자들은 차세대 기술, 혁신적인 시스템, 국제 협력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나누며 방위산업의 미래를 조망할 수 있었다.


3월 28일부터 마지막 날까지는 일반 관람객에게 개방돼, 다양한 전투기와 항공기를 가까이서 직접 볼 수 있는 특별한 기회가 제공됐다. 특히, 호주 공군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공중 비행 시범이 이어지며, 박진감 넘치는 에어쇼는 관람객들에게 큰 인상을 남겼다.


이번 행사에서는 특히 방위산업 분야의 첨단기술이 주목을 받았다. Anduril Industies가 개발한 Fury 자율 전투기와 같은 차세대 전투기가 선보였고, 전자전 및 사이버 공격 능력, 무인 항공기 기술뿐만 아니라 우주 방위 기술까지 선보이며, 기술력의 진보를 실감케 했다. 또한, 국제 방위 협력과 기술 교류의 플랫폼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아발론 국제 에어쇼 2025 현장>

[자료: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체 촬영]

 

한자리에 모인 다국적 방산 기업들

 

총 4개의 전시홀에는 다양한 규모와 국적의 방위산업 기업들과 호주 국방부, 호주 무역투자대표부, 각 주정부 방위 부처 등 총 902개사가 참여했다. 행사장에서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주요 방산 기업들은 호주 국방산업의 Key Primes로 불리는 Thales, Lockheed Martin, BAE Systems, Boeing, Hanwha Defence, Northrop Grumman, Raytheon(RTX) 등의 다국적 방산 기업들이 있었다. 2023년까지 참여했던 Rheinmetall사는 아쉽게도 올해 전시회에는 참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호주는 전략적 핵심 무기, 차량, 전투기 등을 자체적으로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대외 협력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Key Primes기업들과 같이 오랜 시간 호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다국적 방산 기업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상기 Key Primes로 불리는 다국적 방산 기업들은 호주의 주요 방위산업 프로젝트의 주요 계약 업체들로 Industry Capability Network(ICN) Gateway 플랫폼을 통해 Key Primes의 주요 프로젝트 및 구매 정책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호주 정부는 Global Supply Chain(GSC)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Key Primes 기업 내부에 구매 담당자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호주 내 다른 방위산업 중소업체들과 적극적인 협력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전시장 입구에는 Thales Australia의 Bushmaster와 Hawkei 방호기동 차량이 전시돼 위용을 자랑했다. 이번 아발론 국제 에어쇼 전시회에서 Thales Australia의 Bushmaster와 Hawkei 방호기동 차량은 호주 국방 전략 수출 사무소(ADSSO)의 최우선 역량자로 선정되어, 호주 국방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또한, Lockheed Martin은 Thales와 함께 아발론 국제 에어쇼 공식 스폰서 기업들 중 하나로, 2019년 호주에 F-35A 스텔스 전투기 5대를 추가 공급한 바 있는데, 올해 비행 프로그램에서 Solo Handling Display(전투기 곡예)로 그들의 기술력을 뽐내기도 했다.

 

<Bushmaster와 F-35A 스텔스 전투기>

[자료: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체 촬영]

 

첨단 드론 기술의 향연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해상 및 국토방위를 위한 무인항공 시스템(UAS, Unmanned Aerial System)의 중요성이 빠르게 부각되고 있다. 드론은 유인 항공기보다 비용이 낮고 위험은 줄이면서도, 실시간 정찰 및 정밀 타격 같은 고위험 임무 수행할 수 있어 점점 더 주목받고 있다. 또한, 군수물자 수송이나 장비 운반 등의 임무에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흐름은 2025년 아발론 국제 에어쇼에서도 그대로 반영됐으며, 전시장 곳곳에서 다양한 목적의 드론 전시를 볼 수 있었다.


먼저 호주를 대표하는 방산업체 중 하나인 Textron Systems Australia는 공격형 드론부터 물자 수송용 드론까지 다양한 형태의 드론을 전시하며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다. 특히, 비행 지속 시간의 연장과 고급 센서 및 실시간 데이터 전송 기능을 통해, 장기 임무에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호응을 얻었다. 또한, 이 드론들은 수직 이착륙 기술(Vertical Takeoff and Landing, VTOL)을 채택하여 더욱 효율적인 작전 수행이 가능해졌으며, 날개 설계의 발전과 적재 용량의 증가 등 여러 기술 발전을 엿볼 수 있었다.

 

<Textron Systems Australia 드론 전시>

KakaoTalk_20250327_151742929_23

[자료: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체 촬영]

 

또한, 영국의 중량 운반 수직 이착륙 무인항공 시스템(heavy lift eVTOL UAS) 전문 기업인 Malloy Aeronautics는 군수물자 수송에 최적화된 중대형 드론을 선보이며 많은 산업 관계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 드론은 최대 수백 킬로그램에 달하는 짐을 실을 수 있으며, 인프라가 제한적인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Malloy Aeronautics는 영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 일본 국방부 등 주요 고객에게 400대 이상의 T150 중량 운반 항공기를 공급한 바 있다.

 

<Malloy Aeronautics 드론 전시>

KakaoTalk_20250327_151742929_07

[자료: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체 촬영]

 

호주와 같은 광활한 영토를 가진 국가에서는 장거리 드론 운용이 가장 큰 과제로 꼽힌다. 지역 간 일반적인 이동 거리만 해도 100km 이상에 달하기 때문에, 기존 배터리 기반 드론은 중간 충전이나 배터리 교체가 필요해 운용에 제약이 많다. 이에 따라 이번 전시회에서는 스윈번 대학(Swinburne University) 등의 수소 연료전지를 기반으로 한 장거리용 드론도 다수 소개됐다. 수소 연료전지는 기존 배터리 방식보다 가볍고 배터리 재충전없이 원거리 비행이 가능하며, 환경친화적인 점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번 아발론 국제 에어쇼는 단순히 드론 기술을 선보이는 자리를 넘어, 글로벌 드론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장이 됐으며, 기술 교류와 전략적 협력 논의의 중심이 됐다. 특히 군사, 민간, 산업 전반에 걸쳐 드론이 수행할 수 있는 역할이 점차 확대되는 가운데, 이번 전시는 그 흐름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호주 각 주정부 국방 부서의 참여

 

올해 아발론 국제 에어쇼에서는 호주 각 주정부의 국방 부처들이 각 주에 위치한 방산 기업들과 함께 합동 전시 부스를 운영하여, 각 기업들의 제품과 기술력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했다. 각 주의 방산기업들은 그 지역 경제와 방위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기업들로, 전시회 현장에서 최신 기술과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며, 전 세계의 국방 관계자들과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했다.


전시 부스에는 항공기 부품부터 소재, 항공 우주 통신 시스템, 사이버 보안 솔루션 등 다양한 방위산업 관련 기업들이 참여했고, 이들은 관심을 보이는 업체들과의 열띤 상담을 통해 방위 기술과 산업 협력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특히, 각 주정부의 국방 부처는 해당 지역 방산업체들과 협력하여 방위 기술을 강화하고, 글로벌 방위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호주 각 주별 전시홍보관에 참여한 방산 중소, 중견 기업>

KakaoTalk_20250327_151802190_05

빅토리아 주정부 홍보관

서호주 주정부 홍보관

뉴사우스웨일스 주정부 홍보관

KakaoTalk_20250327_151802190_20

KakaoTalk_20250327_151802190_10

남호주 주정부 홍보관

태즈매니아 주정부 홍보관

퀸즐랜드 주정부 홍보관

[자료: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체 촬영]

 

<지역별 전시회 참가기업 리스트>

주(State)

기업명

홈페이지

제품 및 서비스

뉴사우스웨일스

(NSW)

Advanced Navigation

advancednavigation.com

정밀 위치 추적 및 항법 시스템을 개발

Advent Atum

adventatum.com

컴퓨터 비전, 레이더, 음향, 딥러닝 알고리즘을 통합한 최첨단 AI 기술을 기반. IoT, 소프트웨어 개발, 데이터분석 및 시각화

Australian Aerospace Engineering

austaerospace.com.au

항공우주 MRO(유지보수, 수리, 오버홀 서비스), 정밀제조, 부품 유통

Av-Comm Space & Defence

avcomm.com.au

우주 및 방위산업을 위한 통신 솔루션위성 통신 장비

Droneshield

droneshield.com

보안 및 방위산업을 위한 드론 탐지, 추적 및 중지 솔루션

Jenkins Engineering Defence Systems

jeds.com.au

군용 통신 장비, 전자전 시스템, 위험 관리 솔루션 등을 설계, 개발 및 공급

Quasar Sat

quasarsat.com

위성 기반 통신 서비스위성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설계 및 공급

Sonartech

sonartech.atlas-elektronik.com

소나 시스템, 수중 탐지 및 추적 장비, 고급 해양 방위 솔루션

STELLA ENGINEERING

stellaengineering.com.au

광산, 전자, 방위 등의 분야에 필요한 정밀 부품 제조 및 CAD/CAM 설계 등 정밀 엔지니어링 분야

VeloDX

velodx.com

모든 드론 운영의 모든 요소를 지원하는 통합 AI 시스템

Visionary Machines Pty Ltd

visionarymachines.com

고급 로봇 시스템, AI 기반 자동화 기술, 자율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

빅토리아

(VIC)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Australia

acs-aus.com

자율주행 무인항공기, 자율 잠수정 등 드론 설계 및 복합 구조물 제조

Akula Tech

akulatech.com

스마트 위성 소프트웨어 및 전자전 드론 플랫폼

Diamond Defence

diamond-defence.com

광섬유, 전기 및 하이브리드 케이블 하네스 시스템 및 어셈블리의 설계, 제조 및 통합

Dovetail Electric Aviation

dovetail.aero

배터리와 수소 연료 전지를 사용하여 기존 항공기를 전기 모델로 전환

Falcon UAV

falconuav.com.au

드론, 센서 및 사진 측량 소프트웨어

Formero

formero.com.au

항공, 항공우주, 방위산업 분야를 위한 3D 프린팅 및 적층 제조

LEAP Australia

leapaust.com.au

항공우주 및 방위 기업을 위한 최첨단 컴퓨터 시뮬레이션 시스템

Li-S Energy

lis.energy

가볍고 충전 가능한 리튬황 및 리튬 금속 배터리 셀을 개발 및 제조

MEMKO

memko.com.au

MEACAT(모듈형 전자 공격 및 유효 공중 표적). NIFTI(비침입 비행 테스트)

NextAero Pty Ltd

nextaero.com.au

유체 시스템의 설계, 개발 및 테스트 전문

Quickstep Holdings

quickstep.com.au

드론, 엔지니어링

Redline Engineering Pty Ltd

redline.com.au

항공/우주, 국방, 의료, 에너지, 철도/운송, 광업 분야를 위한 정밀 가공 부품 및 조립 생산 분야의 선도적인 제조업체

Safesky

safesky.com.au

AI 기반 소형 무인기(sUAS)

Stahl Metal

stahlmetall.com

고성능, 고신뢰성 케이블 조립, 전기 제어 시스템, 상호 연결 구성 요소, 맞춤형 금속 가공의 엔지니어링 설계, 제조 및 유통

퀸즐랜드

(QLD)

AERO Defence

aerodefence.com.au

항공기 하드웨어 – MS&NAS 사양, 너트, 볼트, 나사, 링, 베어링 등

Asia Pacific Aerospace

apaero.com.au

가스터빈 엔진의 MRO(유지보수, 수리, 오버홀 서비스)

ATHENA AI

athebadefebce.ai

Athena AI Vision -고급 컴퓨터 비전 의사 결정 지원 도구

Black Sky Industries

blackskyindustries.com.au

유도무기와 폭발물 에너지학

FlyFreely

flyfreely.io

드론 관리 시스템

Gilmour Space Technologies

gspace.com

모듈식 발사 방식의 소형 위성 플랫폼뿐만 아니라, 호주 및 해외 발사장에서 저궤도(Low Earth Orbit)로의 전용 발사 및 공유 발사 서비스를 제공

Revolution Aerospace

revn.aero

드론 기반 물류 배송. 무인항공시스템(UAS) 장애물탐지(DAA), 해상탐사

Skyborne Technologies

skybornetech.com

스마트 항공 로봇 방위 제품과 소프트웨어를 개발

Hypersonix Launch Systems

hypersonix.com

초음속 항공기 및 스크램젯 추진기술 디자인 및 제조

태즈매니아

(TAS)

HENSOLDT Australia

hensoldt.net

첨단 레이더, 전자 솔루션, 전자 광학, 항공 교통 관제 시스템의 설계 및 설치

Currawong Engineering

currawongeng.com

통신 시스템, 전자전 장비, 시스템 통합 솔루션을 설계 및 제조

Fiomarine Industries

fiomarine.com

해양 방위, 통신, 항로 추적 시스템, 항해 장비수중 드론과 같은 고급 해양 기술을 설계, 개발 및 제조

Fortifyedge

fortifyedge.com

사이버 보안, 보안 프로토콜, 위협 탐지 시스템, 보안 네트워크 인프라를 설계 및 구현

One Atmosphere

oneatmosphere.com.au

고압 및 진공 환경에서의 실험산업 응용을 위한 장비를 설계하고 제조

Tidetech

tidetech.org

조수 예측, 해양 환경 모니터링, 해양 데이터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를 개발

서호주

(WA)

Wedgetail Aerospace

 

군용 항공기와 관련된 전자기술, 통신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Andvare VI Defence Industries

andvaregroup.com/andvare-vi

국방 장비, 전자 시스템, 통신 시스템보안 솔루션을 설계하고 개발

Hofmann Engineering

hofmannengineering.com

방위산업 업체들을 위한 부품 제조, 조립 및 설계

HIFraser

hifraser.com.au

유압 및 공압 부품, 밸브, (씰링 제품), 맞춤형 엔지니어링 솔루션

Innovaero

innov.aero

복잡한 항공 제품 개발 및 제조

남호주

(SA)

Acacia System

acaciasystems .com .au

방위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

Airspeed

airspeed.com.au

군용 항공기용 혁신적인 공중 장비 포드 제품군을 설계 및 개발하는 OEM업체

APC Technology

apctechnology.com.au

Display & Panel PC’s, HMI콘솔, 항공우주 제품 환경 테스트

Arrow Electronics Australia Pty Ltd

arrow.com

호주 전자 유통 회사로, 항공우주, 방위, 해양 및 우주 고객, 주 계약자/중소기업, 설계 엔지니어에게 최첨단 전자 부품을 공급

Axiom Precision Manufacturing

axiompm.com.au

기계 및 전자 하드웨어/부품, 조립품 및 하위 조립품의 설계 및 정밀 제조


Inovor Technologies


inovor.com.au

차세대 소형 위성 기술을 제공하며, 통신, 원격 감지, 이미지 촬영, 과학적 실험 등을 위한 맞춤형 우주 미션 솔루션을 개발

Levett Engineering

levett.com.au

항공 우주 및 방위산업을 위한 정밀 기계 가공, 복잡한 기계 조립, 진공 브레이징, 압력 테스트 등 다양한 맞춤형 제조

MCT Brattberg

mctbrattberg.com

고성능 케이블과 파이프 밀봉 시스템

Nova Systems

novasystems.com

시스템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시험 및 평가, 자문 서비스 등

Silentium Defence

silentiumdefence.com.au

모듈식 확장 가능한 수동 레이더

Ultra Maritime Australia

umaritime.com

해상 감시, 통신, 전자전 및 해양 시스템을 개발

[자료: 각 주별 아발론 국제 에어쇼 홈페이지]

 

이와 같이 호주 각 주정부는 대형기업이 취급하고 있는 주요 방위산업 품목들 외에도 중소, 중견기업에서 생산하는 소재 부품, 안전장비 및 방위산업 특수복까지 수많은 업체들이 현지 방위산업 공급망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기술력과 품질을 갖춘 우리 방산 기업들이라면 현지 중소, 중견 기업들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는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한화디펜스 3.2조 호주 REDBACK 수주 후 K-방산 전방위 홍보

 

지난 2023년 12월 우리 기술로 만든 미래형 궤도 보병전투장갑차 '레드백(Redback)'의 호주 수출에 성공했던 한화디펜스(Hanwha Defence)가 올해에는 240㎡ 규모의 부스로 참여하여 첨단 통합방위 솔루션을 선보였다. 또한 이번 전시회에서 다연장 유도무기 ‘천무’, 그리고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L-SAM’ 등 첨단 무기체계를 선보이며 호주 방산 시장 진출에 본격적인 속도를 더할 것으로 기대를 받았다.

 

<한화디펜스 전시부스 모습>

[자료: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체 촬영]

 

KOTRA 멜버른무역관은 우리 방산기업들의 성공적인 호주 진출에 대한 조언을 구하고자 한화디펜스(Hanwha Defence Australia)의 Mr. Dean Michie 호주 법인장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Q1. 한화디펜스에 대해 소개를 부탁드린다.

A1.  한화는 2021년 K-9 자주포에 이어 2년 만에 장갑차(레드백)까지 호주에 수출되는 쾌거로 세계 방산 시장에서 우리나라 무기 체계의 저력을 보여줬다. 올해 아발론 국제 에어쇼 입장티켓 목걸이에서도 볼 수 있듯이 Boeing, BAE Systems, Lockheed Martin과 같은 다국적 기업 로고없이 한화디펜스 로고만이 단독으로 인쇄되어 있을 정도로 한화디펜스의 인지도가 많이 상승했다. 올해 전시회에서는 육·해·공·우주를 연결해 전쟁 중 지상 통신망이 단절돼도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고해상도 영상 스트리밍 지원 등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하는 초연결 전술통신솔루션과 적의 사정권 밖에서 아군의 피해없이 핵심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차세대 화력 장비 천무를 선보이며 글로벌 선두 방산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5년 아발론 국제 에어쇼 공식 목걸이 – 한화디펜스 로고>

[자료: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체 촬영]

 

Q2. 호주 방산시장 현황 및 특징에 대해 말씀을 부탁드린다.

A2. 현재 호주는 GDP의 약 2%를 국방 예산으로 책정하고 있으나, 미국의 국방비 증가 압력과 인도-태평양 지역 안보 불안정성에 대응하기 위해 국방 예산 확대를 검토 중이다. 최근 호주 정부는 국방비를 GDP의 3% 수준까지 점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는 아직 확정된 수치는 아니다. 국방비가 1% 포인트만 증가해도 호주 전체 GDP 규모를 감안할 때 상당한 재정 투입이 이루어지는 셈이며, 이로 인해 해외 방산 기업의 호주 시장 진출 기회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호주는 전략적 방위산업 장비의 자체 제조 여력이 어려운 사정으로 대외 협력이 필수이기 때문에 한국 방위산업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시장임을 알리고 싶다. 또한, 호주는 AUKUS를 통해 미국, 영국과의 전략적 안보 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허브로서 지정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호주 방산 시장은 단순한 수출 대상국을 넘어, 글로벌 시장, 특히 미국, 영국 및 아시아 지역으로 진출하기 위한 전략적 거점(Gateway)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다.

 

Q3. 한국기업의 호주 시장 진출 가능성 및 방법 관련 조언을 부탁드린다.

A3. 한화디펜스는 한국의 방산기업 100% 중 하나의 기업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즉, 호주에서는 나머지 99% 한국 방산기업들의 위상과 품질을 아직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에 한국 기업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호주시장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무엇보다도, 한국 기업들이 호주 방위산업의 구조와 니즈, 조달 체계 등 시장 자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이해가 없이 단순한 제품 소개나 마케팅만으로는 실질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호주의 방위산업 관계자(정부 및 기업)들과 신뢰 관계를 형성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하고, 그 과정이 쉽지만은 않을 수 있다. 한화디펜스 역시 이러한 과정을 겪어왔기에, 향후 다른 한국 기업들이 진출할 때 일정 부분 참고가 되거나 간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도 있을 것으로 본다. 예를 들어, 향후 아발론 국제 에어쇼 등에서 한화디펜스 부스를 중심으로 Korean Pavilion을 형성하여 다수의 한국 방산기업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한다면, 호주 진출뿐만 아니라 미국, 영국과 같은 방위산업 선진국 진출 기회도 동시에 모색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되지 않을까 한다.

 

시사점

 

인도-태평양 지역 내 국가 간 협력 관계의 재편은 호주의 국방 전략 및 방위산업에 지속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호주 국방 예산은 새로운 능력 습득을 위한 군사 장비, 시설, 인프라 확충과 기존 역량 유지를 위한 비용 확보, 군사력 증강을 위한 군병력 지원 등 3가지 주요 범주로 구성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첨단기술 접목을 가속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대규모 생산능력이 있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며 우주통신, 전자장비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 방산업체들과의 협력 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방위산업 기업들은 아발론 국제 에어쇼를 포함한 호주의 주요 방위산업 전시회인 Land Forces(육상), Indo Pacific(해상), Rotortech(무인비행, 헬리콥터) 등에 적극 참가 및 참관을 통해 현지 방산 트렌드를 파악하고, 현지 업체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한편, 지속적인 협력 기회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영미권 정보 공동체인 파이브 아이스(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 회원국 중 하나인 호주에 K-방산이 진출하면서 다른 동맹국에 대한 방산 수출의 기회가 커진 지금 우리 기업들의 적극적인 호주시장 참여가 필요한 시점이다.

 


자료: 아발론 국제 에어쇼 홈페이지, 각 주정부 방산 부서 홈페이지 및 KOTRA 멜버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글로벌 항공·방산 기술의 향연…호주, 아발론 국제 에어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