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스마트팜 진출 유망 지역, 아제르바이잔 농업계의 현황과 과제는?
- 트렌드
- 아제르바이잔
- 바쿠무역관 고충성
- 2025-04-14
- 출처 : KOTRA
-
아제르바이잔 정부 관개 및 온실 농업 효율화, 기후변화 대응 추진
KOTRA, 현지 전시회를 활용해 우리기업의 진출 지원 중
2024년 아제르바이잔 전체 국내총생산에서 1차산업의 비중은 약 5.7%를 기록했다. 이 중 농ᆞ축산업 생산 총액은 약 76.4억 달러로 아제르바이잔 경제에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식량안보 측면에서의 중요성뿐만 아니라 농산품이 아제르바이잔의 핵심 수출품목 중 하나인 까닭에 농업의 다각화 및 효율화는 아제르바이잔의 정책방향 중 핵심적인 분야로 손꼽힌다.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다양한 작물이 생산되고 있으나 유통, 보관, 가공 기술부족으로 작물 그대로 수출하는 형태가 대부분으로 식품 가공, 유통 효율화 등 농업의 고부가가치화는 아제르바이잔 농업계의 관심 사항이다. 또한 만성적인 물 부족, 토양 악화 등 대응이 필요한 과제도 많은 상황이다. 이러한 아제르바이잔의 환경은 우리 스마트팜 기업에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제르바이잔 농업 개요
2025년 1월 기준 아제르바이잔 내 개인사업자 중 농업활동을 영위하는 사업자 비율은 37.1%에 이른다. 대기업(총 868개사) 중 농업 분야 기업은 24개로 집계됐다. 아제르바이잔은 86만 6000km2의 영토 중 약 55.2%가 농경지인데 농지의 대부분이 덥고 건조한 기후를 지니고 있어 특히 수자원 활용에 제약이 많다. 대부분의 지역이 연간 강수량이 300mm를 밑돌기 때문에 경작지의 약 90%가 인공적인 관개에 의존하고 있다. 아제르바이잔의 총 관개면적은 150만 헥타르로, 매년 약 72억 m3의 물이 관개에 사용된다. 아제르바이잔 정부는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점적 관개(Drip Irrigation, 식물 뿌리 근처에 소량의 물을 천천히 떨어뜨리며 물을 주는 방식)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과 같은 관개 기술과 관개 운하 재건, 스마트 물 관리 시스템 도입 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기후변화로 인해 물부족이 더욱 심각해질 것을 우려해 해안지역에서는 해수담수화 프로젝트도 적극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2020년 경부터 아제르바이잔에서는 온실 면적 확대가 적극 추진되어 왔다. 2024년 기준 아제르바이잔에는 3,037개, 총 면적 1,637헥타르의 온실이 존재한다.
<아제르바이잔 온실 규모>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온실 수량(개)
3,021
3,275
3,217
3,154
3,228
3,037
온실 면적(ha)
1,351
1,457
1,672
1,607
1,646
1,637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2024년 아제르바이잔 지역별 온실 지도>
[자료: 아제르바이잔 경제부]
온실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은 토마토, 오이, 피망, 가지, 버섯 등이다. 이 중 토마토는 아제르바이잔의 주요 온실 작물이며 농산물 수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작물이다. 아제르바이잔은 2024년 기준 총 175,430 톤의 토마토를 수출했는데 금액 기준으로 총 97.4% 러시아로 수출되었다.
<온실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
(단위: 톤)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이
16,686
16,272
23,014
28,874
10,445
11,648
토마토
217,006
288,473
343,106
369,337
268,944
224,896
가지
5,439
5,515
4,576
29
8
15
피망
269
350
573
30
13
14
양파
69
40
34
35
33
22
마늘
2
6
2
16
3
3
콩
5
4
22
42
22
7
양배추
4
37
17
130
23
36
상추
8
6
26
26
22
8
기타 야채
29
56
43
63
31
24
감자
423
465
481
455
0
151
버섯
574
478
339
692
591
1,565
레몬
1
7
5
20
15
55
딸기
69
86
92
204
194
238
기타 과일
11
1
1
8
29
11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2024년 아제르바이잔의 국가별 토마토 수출 현황>
(단위: US$ 천, 톤)
수출상대국
수출액
수출량
러시아
141,815.2
168,736
벨라루스
2,367.13
5,115
조지아
562.56
360
폴란드
554
844
카타르
170.5
184
우크라이나
88.85
92
UAE
20
15
이스라엘
19.7
18
[자료: 아제르바이잔 통계청]
농업분야 주요 정책
석유 및 가스 등 화석연료에 경제의 많은 부분을 의존하는 아제르바이잔은 산업 다각화를 위해 비석유 분야의 산업 진흥에 힘쓰고 있는데, 농업은 아제르바이잔 정부의 중요한 육성분야 중 하나이다. 2024년 아제르바이잔 국가 예산 중 약 3%(약 71억 달러)가 농업 분야에 할당됐다. 농업 관련 주요 정책 중 첫 번째는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국가전략’이다. 2024년 10월 대통령령으로 공포되었으며 2040년까지 3단계로 추진될 예정이다.
(1) 1단계(2024~2027년): 수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필수 인프라 및 관리를 중점 추진한다. 수자원 매장량 재평가 및 강화, 통합 수자원 관리, 수자원 사용 최적화, 폐수 및 빗물 관리, 수질 개선, 물 관리 시설 확충, 물 손실 감소 등이 주요 과제로 포함되어 있다.
(2) 2단계 (2028~2030년): 유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 특히 '깨끗한 물과 위생', '기후 변화 대응', '수중 생물' 및 '육상 생물'을 향한 상당한 진전을 이룰 수 있는 기초적 조건을 강화하는 데 노력을 집중한다.
(3) 3단계 (2031~2040년):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하여 수문 생태학적 위기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고, 물 매장량 및 대체 수자원 확대를 통해 지속 가능하고 고품질의 물 공급을 보장함을 궁극적인 목표로 한다.
두 번째 주요 정책 방향은 ‘인공지능 시스템으로의 전환’이다. 2025년 3월 일함 알리예프 대통령이 '2025~2028년 아제르바이잔 인공지능 전략'을 공포했다. 농업, 의료, 운송, 교육 분야를 우선순위 대상으로 설정해 인공지능을 통한 과제 발굴 및 현황분석을 추진하고 민관 협력과 관련 R&D확대, 스타트업 및 관련 생태계 육성을 중점 추진한다. 이는 한국의 스마트팜 개념과도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농업 특구의 육성이다. 아제르바이잔 경제특구개발청은 2023년 1월부터 농업 특구인 아그로파크(Agropark)를 지정, 관리하고 그 안에서 사업을 운영하는 법인과 개인에게 등록증을 발급하고 있다. 25년 3월 2개의 국유농장과 22개의 민간농장 등 총 24개 아그로파크가 등록되었다. 아그로파크에는 정책적인 지원 외에 민간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2024년까지 약 5억 3000만 달러의 민간 자본이 아그로파크에 투자됐다.
<아제르바이잔의 아그로파크 현황>
아그로파크명
위치
면적(ha)
중점 분야
Azersheker Shamkir Agropark
Shemkir
8,000
농업 전반
Sabirabad Pilot Agropark
Sabirabad
7,544
과일 재배(종자)
ID Agropark
Saatli
5,000
과일 재배
Agjabedi Agropark
Agjabedi
4,800
농업 전반
Region Agropark
Goranboy,Samukh
4,695
과일 재배
Agropark Yashil Ada
Bilesuvar
4,666.7
농업 전반
Azersun Shamakhi Agropark
Hajigabul, Shamakhi
4,177.7
축산 농업
Salyan Agropark
Salyan
3,000.2
축산 농업
Monte Ferro Agropark
Gakh, Sheki
2,894
과일 재배
Yevlakh Pilot Agropark (국영)
Yevlakh
2,806.6
과일 재배
Fuzuli Agropark
Fuzuli
2,700
과일 재배
Agjabeditakhil Agropark
Agjabedi
2,285.2
과일 재배
Ulu Agropark
Gakh
2,044
과일 재배
Azersheker Yevlakh-Goranboy
Yevlakh, Goranboy
2,000
농업 전반
Susen Agropark
Aghsu
1,974.3
농업(종자)
Aghsu Agropark
Aghsu
1,835.9
축산
Yalama Agropark
Khachmaz
1,571.9
축산
Zagatala Agropark
Zagatala
1,156.5
과일 재배
Duztahir Agropark
Gusar
982.5
과수재배
Gazakh Agropark (국영)
Gazakh
808.21
과일 재배
Tovuz Agropark
Tovuz
550
축산
Shamkir Agropark
Shamkir
464.96
과일 재배
Ismayilli Agropark
Ismayilli
212.61
식물 재배
Shirvan Agropark
Shamakhi
97.88
농업
[자료: 경제특구개발청]
아그로파크에는 다양한 스마트 농업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으며 여기에 정부의 보조금이 투입되고 있다. AI 기반 모니터링, 기상 조건 분석에 기반한 관개 및 비료 살포 최적화, 관개 자동화 및 원격 제어, 각종 센서의 활용 등 다양한 솔루션의 도입이 시도되고 있다.
<A-Sera Group의 기후 제어 시스템>
[자료: A Sera Group]
일부 아그로파크에서는 지속 가능성을 위해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도입과 폐기물 제로 정책이 시행되는 등 친환경 행보도 눈에 띈다. 또 블록체인을 활용한 식품 추적성 및 품질 관리, 생산자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전자 농업 플랫폼의 확충 역시 주목받는 분야다. 자체적인 기술과 제조업 기반이 취약한 아제르바이잔은 대부분의 장비, 제품, 소프트웨어, 솔루션의 도입을 해외 제품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스마트팜 분야에 특화한 많은 바이어가 존재한다.
<아제르바이잔 스마트팜 분야 주요 수입업체>
기업명
이메일
웹사이트
Grow Group
Agrospace
Omax Group
A-Sera Group
Waste Zero LLC
Istixana
Magrotech LLC
GrantAGRO
Agrodrip
Sarvan Group
[자료: KOTRA 바쿠무역관]
시사점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글로벌 수출 확대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K-스마트팜은 아제르바이잔 시장진출에 있어 유망분야의 하나로 꼽을 수 있다. 특히 현지 정책적으로 우선 순위가 높은 관개 및 온실 농업 효율화, 기후변화 대응, AI 및 빅데이터 활용은 한국의 스마트팜 솔루션의 진출 여지가 있어 아제르바이잔의 1차산업 분야 성장 가능성이 주목된다.
한편 아제르바이잔의 최대 농업 전시회인 Caspian Agro에서도 해를 거듭할수록 스마트팜의 중요성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아제르바이잔 정부 및 주요 공공기관, 유력 기업과 20여 개국의 관련 기업, 기관이 참가하는 동 전시회에는 2024년 최초로 한국기업이 출품해 많은 주목을 얻은 바 있다. 2025년 5월에 개최되는 제 18회 Caspian Agro 전시회에는 한국기업 3개사가 출품할 예정이다. 또한 KOTRA는 이 전시회와 연계해서 ‘CIS 스마트팜 로드쇼’를 개최해, 한국 스마트팜 기업의 아제르바이잔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Caspian Agro 2025 전시회 개요>
기간/장소
2025년 5월 13~16일 / 바쿠 엑스포 센터
규모 ('24년 기준)
전시규모 14,000m2, 27개국 285개사 전시 참가
참관객 15,000명
전시 분야
스마트 농업, 농업 기계, 농업용 건물, 농업 조경, 농업 혁신 기술, 가축 및 가금류, 사료, 화훼 재배, 수의학, 원예, 온실, 과일 및 채소 재배, 재활용, 면화, 섬유, 물류, 전자 농업, 실험실 장비, 친환경 농업
홈페이지
자료: 중소기업 개발기관, 아제르바이잔 경제부 및 통계청, 경제특구개발청 및 KOTRA 바쿠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K–스마트팜 진출 유망 지역, 아제르바이잔 농업계의 현황과 과제는?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오만의 재생에너지 전환, 한국기업의 진출 기회는?
오만 2025-04-11
-
2
카타르, 식량안보 전략 2030을 통한 진출 기회
카타르 2025-04-14
-
3
2025년 카자흐스탄 정밀농업 및 유기농업 시장 동향
카자흐스탄 2025-04-14
-
4
러시아 저알코올 음료 시장 트렌드
러시아연방 2025-04-15
-
5
미국,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OT 시스템 사이버 보안 수요 급증
미국 2025-04-14
-
6
이스라엘 화장품 시장, K-뷰티를 기다리고 있어요!
이스라엘 2025-04-11
-
1
2024년 아제르바이잔 와인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4-03-13
-
2
2024년 조지아 농업 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4-02-27
-
3
2024년 아제르바이잔 차(Tea) 산업
아제르바이잔 2024-01-08
-
4
2023년 아제르바이잔 농업 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3-04-24
-
5
2023년 아제르바이잔의 가스 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3-03-21
-
6
2022년 조지아의 금융산업 정보
아제르바이잔 2023-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