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체코 헤어케어 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체코
  • 프라하무역관 정지연
  • 2025-04-11
  • 출처 : KOTRA

체코 헤어케어용품 시장, 수입 증가, K-헤어케어 제품 수입도 5년 새 20배 이상 급증세

스킨케어 K-뷰티 인기 요인 (모발영양, 맞춤형 기능성, 친환경, SNS 마케팅) 활용 차별화 필요

상품명 및 HS코드

 

헤어케어 제품

HS 코드

상품명

330590

기타 두발용 제품

330510

샴푸


 

시장동향

 

시장조사 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체코 헤어케어 시장은 체코 뷰티 시장 중 스킨케어 다음으로 큰 비중(뷰티시장의 18%)을 차지하고, 2020년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다. 2023년 기준 시장 규모는 2억9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3년 자료에 따르면 2024년에 전년 대비 2.6% 증가한 2억98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

 

<체코 헤어케어 시장 규모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Euromonitor]

 

건강·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스킨케어 트랜드가 일상화되면서 피부관리 개념이 두피로 확장되는 추세(Skinification)다. 특히 팬데믹을 거치며 가정 내 헤어 셀프케어 경험 확산, 고물가에 따른 미용 서비스 가격 상승, 전문가 제품의 온라인 구매 접근성 향상이 더해지며 홈 헤어케어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소비자의 두피 및 모발 상태에 맞춘 기능성·맞춤형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도 시장 성장 요인 중 하나다.

 

제품군별로는 샴푸, 염색약, 스타일링 제품, 컨디셔너 및 트리트먼트 순으로 시장 규모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두피 건강, 모발 회복, 탈모 방지 제품군 시장이 성장하는 추세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컨디셔너와 트리트먼트, 살롱 전용품, 탈모 관리 제품의 2028년까지 성장률이 타 품목보다 두드러질 것이란 전망이다.

 

<체코 헤어케어 품목별 시장 규모 및 전망>

(단위: US$ 백만)

품목

2023년

2024년 전망

’23/’24 증감률

’24-’28 CAGR

샴푸

84.3

86.4

2.5

2.4

염색약

70.9

72.3

2.0

1.7

스타일링 에이전트

54.8

56.6

3.3

3.0

컨디셔너, 트리트먼트

35.8

36.9

3.1

3.0

살롱 헤어케어 제품

32.2

33.1

2.8

4.2

기타 헤어케어 제품

12.4

12.7

2.4

2.6

합계

290.4

298.0

2.6

2.6

* 주: 자료 생산이 2023년에 이루어져 2024년 실적은 미집계. 당시 추산한 전망치 기재.

[자료: Euromonitor]

 

수입동향

 

헤어케어 시장 성장 속에 체코 샴푸류(HS코드 330510 기준) 수입도 최근 5년간 증가세를 보였다. 2024년 샴푸 수입액은 전년 대비 4% 증가한 1억741만 달러로, 2019년에 비해서는 47% 증가했다. 주 수입국은 인근국인 독일, 프랑스, 폴란드로, 3개국으로부터 수입 비중이 절반 이상(57%)을 차지한다. 최대 수입처인 접경국 독일로부터 수입액은 감소세를 보이는 반면 폴란드로부터 수입은 2024년에만 전년 대비 57%나 급증했다.

 

비유럽국가 중에서는 한국이 미국에 이은 2위 수입국으로 스킨케어 중심의 K뷰티 확산에 힘입어 2019년 이후 헤어제품도 가파르게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체코의 對한 샴푸 수입은 2024년 75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배, 5년 전과 비교하면 45배나 급증했다.

 

<체코 HS코드 330510 기준 국별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수입국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

1

독일

31,013

30,055

23,649

32.6

-21.3

2

프랑스

12,198

16,471

18,845

12.8

14.4

3

폴란드

11,083

11,058

17,335

11.7

56.8

4

이탈리아

6,522

8,537

9,953

6.9

16.6

5

루마니아

7,006

7,935

6,328

7.4

-20.3

6

네덜란드

3,129

3,661

4,871

3.3

33.1

7

스페인

3,692

4,424

4,610

3.9

4.2

8

영국

2,736

3,245

3,770

2.9

16.2

9

슬로바키아

3,352

3,914

3,221

3.5

-17.7

10

미국

2,826

2,936

3,159

3.0

7.6

17

한국

64

256

747

0.1

191.8

수입 합계

95,043

103,238

107,413

100

4.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3.25.)]

 

체코의 기타 모발용 제품(HS코드 330590 기준) 수입액도 2021년 30% 대폭 성장한 이후 증가세 지속, 2024년 수입액은 전년 대비 1.5% 증가한 1억7749만 달러로 나타났다. 주요 수입국은 독일, 폴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 국가다.


체코 시장 내 인지도 확대로 한국제품 수입도 뚜렷한 증가세다. 2024년 체코의 對한국 기타 모발용 제품 수입액은 105만 달러로, 전년 대비 3.5배, 2019년 대비 20배로 증가했다.

 

<체코 HS코드 330590 기준 국별 수입 현황>

 (단위: US$ 천, %)

수입국

2022

2023

2024

점유율

증감률

1

독일

59,605

51,661

38,386

21.6

-25.7

2

폴란드

15,480

17,104

30,723

17.3

79.6

3

이탈리아

16,743

20,665

26,057

14.7

26.1

4

스페인

12,826

14,181

14,036

7.9

-1.0

5

프랑스

6,328

9,156

10,352

5.8

13.1

6

네덜란드

7,644

5,735

8,593

4.8

49.9

7

미국

7,045

7,053

7,607

4.3

7.9

8

벨기에

15,551

14,250

7,462

4.2

-47.6

9

헝가리

4,394

5,825

6,120

3.4

5.1

10

슬로베니아

10,481

10,927

3,985

2.2

-63.5

17

한국

229

294

1,055

0.6

258.5

수입 합계

170,206

174,845

177,494

100

1.5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3.25.)]

 

경쟁동향

 

체코 헤어케어 시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품들은 Henkel, L'Oréal, P&G, Wella 같은 글로벌 브랜드들이다. 대중 인지도가 높은 Schwarzkof, Garnier, L’Oréal Paris Elseve, Syoss, Head & Shoulders, Pantene, Gliss 등 브랜드가 시장 점유율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Wella Professionals, L'Oréal Professionnel, Kérastase 등 살롱 전용 브랜드들도 전문성과 프리미엄 이미지를 바탕으로 미용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 사이에서도 고급 제품군의 입지를 키우고 있다.

 

<체코 헤어케어 시장 주요 기업 및 브랜드>

기업

요 브랜드 및 특징

Henkel

- 대중적이고 접근성이 높은 브랜드로, 체코 헤어케어 시장 점유율 1위

- Schwarzkopf(대중적, 실용적), Syoss(살롱 퀄리티 지향 대중 브랜드),  Schauma(중저가 기본 헤어케어), Nature Box(천연성분, 비건) 등

L’Oréal

- Garnier(대중적, 천연성분), Elseve(중가 프리미엄), L'Oréal Professionne(전문적, 고품질), Kérastase(프리미엄 살롱 제품) 등

Procter & Gamble

- Pantene(Pro-V 포뮬러), Head & Shoulders(비듬케어), Herbal Essences(자연성분), Aussie(천연성분, 모발 집중케어) 등

Unilever

- TRESemmé(살롱 퀄리티 지향 대중 브랜드), Dove(중저가, 순한 성분), K18(펩타이드 기술 중점의 프리미엄 브랜드) 등

Wella Company

- 살롱 전문브랜드로 인지도가 높은 Wella Professionals

- 체코시장에서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전문적이고 프리미엄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음

[자료: Euromonitor, 각 기업 웹사이트]

 

스킨케어 중심이던 K-뷰티 트렌드가 헤어케어 영역으로 확산하면서 한국산 헤어케어 제품도 유통망 진입을 넓히고 있다. 기존 스킨케어 브랜드의 헤어케어 제품뿐만 아니라 모레모, 쿤달, 아도르, CP-1 같은 헤어케어 브랜드가 Notino, Alza 등 다수 온라인몰을 통해 판매 중이며, 댕기머리와 플로랜드는 DM, Rossmann 같은 대형 드럭스토어 오프라인 유통망에도 입점, 판매 중이다.

 

제품동향


① 천연성분 선호


체코 뷰티 시장 전반에 걸쳐 천연, 유기농, 비건 등 친환경 천연성분 선호 트렌드가 지속되며 기업들도 관련 제품 출시에 집중하고 있다. 다양한 과일, 허브 추출물 사용, 실리콘 프리, 유기농, 비건 헤어케어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DM, Rossmann 같은 대표 드럭스토어 매장들은 천연 헤어제품을 별도로 분류 진열해 판매 중이다.   


② 맞춤형, 기능성 제품 선호


최근 헤어뿐 아니라 두피관리 관심이 커지면서 개인별로 다른 두피 상태에 맞춘 솔루션 제공 제품 선호가 커지고 있다. 히알루론산, 나이아신아마이드 등 스킨케어 성분 포함 제품도 많아지는 추세다. 또한, 모발 구조, 탄력 향상 성분인 케라틴, 아미노산, 펩타이드 등을 함유한 ‘헤어 본딩’ 제품도 관심을 끌고 있다.

체코 여성은 건조하고 가는 모발, 금발 및 밝은색 모발이 많은 편으로 영양 및 수분 공급, 윤기 부여를 강조하는 제품들이 많다. 반면 남성용 헤어케어 제품은 지성 두피, 비듬 관리, 탈모 예방 효과를 강조하는 추세다.

 

③ 제품 다양화, 전문화


체코에서도 기존 샴푸, 컨디셔너 중심에서 벗어나 고농축 영양 성분을 담은 헤어 마스크 제품군이 많아지고 있으며, Elseve, Syoss, Pantene 같은 주요 브랜드들도 관련 제품군을 확충하고 있다. 아울러 워시오프(wash-off) 제품뿐 아니라 씻어내지 않는 리브온(leave-on) 타입의 토닉, 워터, 크림, 로션, 헤어밤, 드라이샴푸 등 여러 형태의 제품이 등장하면서 제품군도 다양해지고, 전문화되고 있다.

 

<체코에서 유통 중인 리브온 헤어 제품(세럼, 오일, 토닉 등) 예시>

품명

L'ORÉAL PARiS ELSEVE

Glycolic Gloss Serum

Tomas Arsov

Regenerating Hair Liquid

Olaplex

N°7 Bonding Oil

Schwarzkopf Gliss

Daily Oil Elixir

사진

효과

모발윤기, 섬유재생, 손상방지

모발재생,

두피보호

손상회복, 손상 및 열 보호

손상회복

(극손상모)

성분

글리코산 등

저분자 케라틴 등

해바라기씨, 석류씨 오일 등

아르간 오일 등

용량

150ml

200ml

30ml

75ml

가격

CZK

200~250

300~350

450~600

170~180

USD

8.7~10.8

13~15

19.5~26

7~8

[자료: Notino, Bezvavlasy, Heureka, DM, Rossmann, Alza]

 

<체코 온라인 쇼핑몰의 판매 상위 헤어 마스크 제품>

제품명

K18

Molecular Repair Mask

Gestil

Wonder Mask

Ziaja

Goat’s milk

Hair mask

Kallos

Keratin Hair Mask

L'Oréal Professionnel

Absolut Repair

사진

효과

손상회복, 

윤기, 모발강화

상회복, 재생

손상회복,

수분공급

손상회복,

수분공급

손상회복, 

수분공급, 재생

성분

팹타이드

대나무 추출물

피토케라틴,

산양유 단백질

케라틴,

우유 단백질

골든 퀴노아

단백질

용량

50ml

300ml

200ml

1,000ml

500ml

가격

CZK

925~1,330

170~250

60

80~240

470~800

USD

40~58

7.4~10.8

2.6

3.5~10.4

20.3~34.6

[자료: Notino, Bezvavlasy, Heureka, DM, Alza]

 

④ 탈모 방지 및 관리


코는 남성 탈모 비율이 43%에 달해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World Population Review 자료)가 있을 정도이며, 이에 탈모 관리 및 예방 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 높다. 체코 현지 탈모 클리닉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모발 이식 관심이 50% 이상 늘었을 정도로 성별을 불문하고 소비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에 시장에서도 카페인, 니아신아마이드, 우엉 추출물 등이 함유된 탈모 방지 샴푸, 트리트먼트, 토닉, 오일, 세럼 등이 다양하게 출시돼 있다.

 

<체코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상위 탈모 방지 헤어케어 제품>

품명

Alpecin

Energizer Caffein Shampoo

Weleda

Rosemary

Hair Tonic

KUNDAL

Honey & Macadamia

Cherry Blossom

Revalid

Stimulating Shampoo

효과

모근 활성화, 

탈모 예방

모근 영양 공급,

모발 성장

수분.영양 공급, 

성장 촉진, 탈모 예방

모발 강화, 

탈모 예방

성분

카페인, 아연,

니아신 등

로즈마리 오일 등

마카다미아, 아르간, 녹차 추출물 등

낙엽송나무, 녹차잎 추출물 등

용량

375ml

100ml

500ml

200ml

가격

CZK

200~240

300~340

340~380

300~430

USD

8.7~10.4

13~14.7

14.7~16.5

13~18.6

[자료: Notino, Bezvavlasy, Heureka, DM, Rossman, Alza]

 

유통구조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체코 헤어케어 제품의 주 소매 유통채널은 드럭스토어(27.4%), 슈퍼마켓·하이퍼마켓(24.5%), 온라인판매(24.3%) 순이며 이들 3가지 채널 비중이 전체의 76%를 차지한다.

 

DM, Rossmann (독일계), Teta (체코) 같은 대형 드럭스토어 매장들이 다양한 헤어케어 제품을 판매 중이고, 광범위한 오프라인 매장에 더해 온라인 채널까지 확충되면서 유통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 반면 슈퍼마켓, 하이퍼마켓은 높은 접근성의 유통채널이란 강점에도 불구하고 취급 브랜드가 주로 대중적 제품에 집중되며 점차 다양성을 선호하는 소비 트랜드로 인해 유통 비중은 다소 감소세에 있다.


온라인 유통 비중은 편리성 및 옴니채널 전략 확대로 매년 증가세에 있다. Notino(체코 최대 뷰티 전문 온라인몰, 일부 오프라인 매장 병행), Bezvavlasy(전문가용 헤어케어 제품 전문몰) 등이 대표적이며, 오프라인 채널에 비해 다양한 제품과 편리성을 강조해 높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3년 체코 헤어케어 시장 유통채널 비중>

(단위: %)

[자료: Euromonitor]

 

관세율 및 인증


한-EU FTA 협정에 따라 원산지 규정 충족 시 한국산 헤어케어 제품(HS코드 330590, 330510)의 수입 관세율은 0%이며, 체코 내 부가세는 21%다.


체코 등 유럽연합(EU) 시장에 헤어케어 제품을 출시하기 위해서는 EU 화장품 규정(Regulation (EC) No. 1223/2009)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규정에 따라 제품별 EU 역내 책임자(EU Responsible Person, RP)를 지정하고, 해당 제품을 EU 화장품 통합 포털(CPNP, Cosmetic Products Notification Portal)에 등록해야 한다. 등록 완료 제품은 영국을 제외한 EU 및 유럽경제지역(EEA) 전역에서 유통, 판매할 수 있다. 제품 라벨에는 기능, 사용 시 주의 사항, 경고 문구 등이 판매국의 공용어로 표기돼야 한다.


시사점


체코 헤어케어 시장은 건강·웰빙 트렌드 속에 고기능성, 천연성분 함유 제품을 중심으로 다양화되고 있으며, 홈케어 시장도 성장하고 있다. 특히 두피 건강, 탈모 예방, 고영양 트리트먼트 등 특정 니즈에 부합하는 맞춤형 제품 수요가 늘고 있다.


최근 스킨케어 제품을 중심으로 K뷰티에 대한 현지 선호도가 높아진 만큼, 헤어케어 제품도 스킨케어 상품 성공 요인인 차별화 전략, 즉 모발 영양, 친환경 성분 및 패키징, 맞춤형 기능성, 편리성, 세련된 SNS 마케팅 등을 바탕으로 시장 확대를 꾀하기에 적합한 시점이다. 이러한 차별화 전략을 펼치면서 CPNP 인증 등 요건을 구비하고, 현지 유력 유통망 및 벤더와 협력한다면 기본 스킨케어 제품과 마찬가지로 K-헤어케어 시장 확대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Euromonitor, GTA, mediaguru.cz, Notino, Bezvavlasy, Heureka, DM, Rossman, Alza, KOTRA 프라하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체코 헤어케어 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