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獨 고효율 신재생에너지, 해상풍력발전이 이끈다
  • 경제·무역
  • 독일
  • 함부르크무역관 박인성
  • 2009-10-30
  • 출처 : KOTRA

 

고효율 신재생에너지, 해상풍력발전이 이끈다

- 2011년 400㎿급 해상풍력발전단지 시작, 2015년 세계 최대 해상풍력발전국가로 도약 –

- 2030년 40개 해상풍력발전단지에서 25GW 전력 생산계획 -

 

 

 

□ 차세대 성장동력, 해상풍력발전

 

  1997년부터 본격화된 독일의 해상풍력발전이 신재생에너지 산업분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음. 독일의 육상풍력발전은 초고속 성장을 거듭했으나 풍력발전단지를 대륙 내에 더이상 건설할 수 없는 공간적 한계점에 도달함.

 

  독일 연방정부는 해상풍력발전의 중요성이 부각되자 2009년 신재생에너지법(EEG) 개정을 통해 해상풍력발전 발전차액지원을 아래와 같이 개선함.

 

해상풍력발전분야 발전차액지원 개선안

개선 전

개선 후

EEG 2004

EEG 2009

2010년 12월 31일까지 상용화하면 12년간 9.1Ct/㎾h 발전차액 지원

2015년 12월 31일까지 상용화하면 12년간 15Ct/㎾h 발전차액 지원

이후에는 6.19Ct/㎾h 발전차액 지원

이후 12년간 연장해 13Ct/㎾h 발전차액 지원

이후 8년간 연장해 3.5Ct/㎾h 발전차액 지원

자료원 : 독일연방환경부

 

   발전차액지원은 자연보호지역 내에 해상풍력발전 단지를 건설할 경우, 발전차액 지원은 없으며 2015년부터 매년 5%씩 발전차액지원을 낮출 계획임.

 

□ 해상풍력발전, 독일의 야심찬 도전

 

  독일 북해 연안 500m 해상에 건설된 'Bard Offshore 1' 해상풍력발전단지(이하 OWP)에서 2008년 10월, 5㎿급 해상풍력발전기 5대가 테스트 가동을 시작했음. Bard Offshore1은 독일의 첫 번째 상용화 OWP로 2011년부터 80대의 해상풍력발전기에서 400㎿의 전력을 생산할 예정임.

 

  세계 최대 육상풍력발전국 독일은 해상풍력발전분야에서는 영국,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등 타국가보다 후발주자로 아직 걸음마 단계임.

 

유럽 주요국의 해상풍력발전용량 및 점유율

자료원 : BTM Consult

 

  독일 연방정부는 2020년까지 북해와 동해에 총 40개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해 12GW 전력을 생산할 계획이며, 현재 25개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건설허가를 받음.

 

독일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계획

자료원 : BSH

 

  2030년에는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전력생산량이 25GW로 증가해 육상의 45GW를 합하면 전체 전력소모량의 25%를 담당하게 될 것으로 독일 연방정부는 기대함. 현재 풍력발전은 전체 전력생산량의 7%를 생산함.

 

  독일은 해상풍력발전에 있어 2015년이면 영국보다 앞선 세계 최대 해상풍력발전국가로 도약할 계획

 

2015년 유럽 주요국의 해상풍력발전용량 및 점유율 전망

자료원 : BTM Consult

 

□ 2009년 독일 풍력발전산업 현황

 

  신재생에너지산업을 선도하는 독일의 풍력발전은 1991년 42㎿ 단지를 시작으로 2009년 상반기 현재 총 2만4694.46㎿의 전력을 생산하는 최대 풍력발전국가로 총 2만674대의 풍력발전기가 설치됨.

 

  2009년 상반기에 설치된 풍력발전기 401대 가운데 2㎿ 이상의 발전기가 86%를 차지했고 3~6㎿급 풍력발전기가 5.7%를 차지, 발전기가 점점 대형화되고 있음.

 

2009년 상반기 독일 풍력발전기 생산현황

 발전용량(누계)

2만4694.46㎿

총 설치 완료 풍력발전기

2만674대

2009년 상반기 신규 설치 풍력발전기

401대

Repowering 풍력발전기

289대

해상풍력발전기

3대(12㎿)

총 생산규모

약 61억3400만 유로

자료원 : 독일연방 풍력에너지협회, 독일 풍력에너지연구소(DEWI)

 

 

자료원 : 독일연방풍력발전협회(BWE), KOTRA 함부르크KBC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獨 고효율 신재생에너지, 해상풍력발전이 이끈다)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