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독일 전력시장의 변화
  • 트렌드
  • 독일
  • 뮌헨무역관 슈퍼관리자
  • 2009-03-16
  • 출처 : KOTRA

 

독일 전력시장의 변화

 

 

 

 ○ 총 전력생산량 중에서 재생에너지의 점유율은 2007년 11월 전망치보다도 성장세가 훨씬 높은 것으로 조사됐음. 휘포은행(HVB) 및 함부르크 세계경제연구소(HWWI)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핵발전이용의 철폐로 인한 전력부족현상이 16.5%에서 15.5%로 하향조정됐음. 풍력발전비율도 2006년의 5%에서 2007년에 6.5%로 증가했으나 15.5%의 전력부족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과도기에서 새로운 가스-석탄 복합발전소의 도입을 피할 수 없음.

 

 ○ 2020년 전망에서는 풍력, 태양광발전 그리고 바이오매스분야의 인력이 46만6000명에서 47만 명으로 상향조정됐음. 2007년에는 22만 명이었으며, 2006년에는 18만7000명이었음. 투자비용도 2020년까지 870억 유로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음.

 

□ 풍력발전 : 총전력생산량 점유율 상향조정

 

 ○ 석유 및 가스값의 고가행진에 따라 건설부장관 티펜제(Tiefensee)는 최대 30개의 해양풍력발전소 건설을 허용해 2030녀까지 2만5000㎿의 추가공급을 가능케 했음. 그러나 휘포은행 및 함부르크 세계연구소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술이 아직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있기도 함.

 

 ○ 독일 연방환경부의 전망에 따르면 풍력발전으로 생성된 전력량이 2020년까지 약 165% 증가할 것이라고 함. 이로써 현재 6.5%에서 2020년 독일 총 전력생산의 13.6%를 풍력이 차지하게 됨. 이 수치도 마찬가지로 2007년 11월 전망된 12%보다 상향조정됐음.

 

 ○ 풍력발전 투자비용도 350억 유로 수준으로 늘어날 전망이며 이중 250억 유로가 해양풍력발전소 건설에 투입될 예정임. 업계 종사자수도 8만4000명에서 18만 명으로 대폭 늘 것임.

 

□ 바이오매스

 

 ○ 바이오매스가 재생에너지원으로써 이용되는 비율이 2006년 23%에서 2007년에 25%가량으로 증가해 풍력 다음으로 비율이 높음. 2006년에서 2007년까지 전력생산량이 약 50%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음.

 

2007년 독일 재생에너지이용 구조

                                               (단위 : %)

주 : 풍력, 바이요매스, 수력, PV, 기타 순

자료원 : 독일환경부(BMU)

 

 ○ 바이오매스 및 수력발전은 전력공급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 전력소비량의 약 3.2%가 바이오매스로 부터(2006: 2.2%) 충당되며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에는 이미 5.6%에 달할 것이라고 함.

 

 ○ 재생에너지법(EEG) 시행을 선두로 전력공사와 같은 투자가들의 참여가 늘고 있으며 바이오매스 플랜트의 규모가 갈수록 커지고 있어 농민들이 가축분비물 활용을 위해 운영하던 시기는 지난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음.

 

 ○ 이 분야의 종사자수도 크게 증가해 2008년 9만6000명에서 2020년에는 16만8000명 수준이 될 것이며 투자볼륨이 200억 유로에 달할 전망임.

 

 ○ 바이오매스 플랜트 건설비용이 최근 몇 년동안 기술적인 보완 및 원자제 가격상승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했음. 그에 따라 바이오매스 시장의 투자규모는2020년까지 200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 태양광발전

 

 ○ 태양광발전을 통한 전력생산은 2004년에서 2007년 사이에 6배 가량 증가했음. 그러나 2007년 총전력생산량에서는 비율이 0.5%로 아직 미비한 수준임. 2020년 보고서 전망치에 따르면 약 1.5%에 달할 것이라고 함.

 

 ○ 이 분야의 종사자수도 2006년의 2만1450명에서 거의 두배에 가까운 4만 명으로 늘었으며 2020년까지 12만2700명이 될 것으로 보고 있음. 투자규모도 320억 유로로 풍력발전과 비슷한 수준임.

 

□ 앞으로의 전망

 

   에너지산업은 환경보호가 갈수록 중요시 되면서 이산화탄소 감소정책을 비롯하여 장기적으로 저렴하고 안전한 대체전력생산방법이 요구됨에 따라 전환점을 맞고 있음.

 

   독일이 핵발전이용을 철폐함으로써 총전력생산량의 25% 이상을 다른 공급원으로 부터 대체해야 하는 상황을 직면하고 있음. 전문가들은 재생에너지로 모든 수요량을 충단하기는 힘들지만 활용규모는 기술적인 부분에 달려있는 것으로 봄.

 

   전문가들은 주요 과제로 재생에너지 산업의 확장, 에너지효율의 증가 그리고 과도기 기술의 연구가 남은 것으로 보고 있임.

 

 

자료원 : 휘포은행 (HVB), 함부르크 세계겅제연구소(HWWI), KBC 자체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독일 전력시장의 변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