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 변압기 시장동향
- 상품DB
- 스위스
- 취리히무역관 서현진
- 2025-06-25
- 출처 : KOTRA
-
Keyword #탄소중립기술 #수출유망품목 #변압기 #스위스변압기 #유입식변압기 #건식변압기 #송배전망 #전기화 #탄소중립 #전기기술 #스위스시장 #전력그리드 #전력망 #글로벌에너지시장 #전력망현대화 #스마트그리드
에너지 효율성 중심으로 변압기 수요 구조 재편 중
친환경 규제 대응 가능한 유입식 변압기, 다양한 운영 환경에서 변압기 수요 증가 전망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상품명
8504.22
정격용량이 650kVA를 초과하고 1000kVA 이하인 액체 유전체식(유입식) 변압기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스위스 변압기 시장 규모는 약 5억 달러로, 전년 대비 3.2% 성장했다. 2022년에는 전년 대비 45.3%의 연간 성장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스위스 정부는 ‘에너지 전략 2050’을 통해 원자력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낮추고, 수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한 전력 시스템 전환과 전력망의 안정적 현대화를 병행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력 기자재 수요는 단순한 교체를 넘어 고효율·저손실 설비 도입으로 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변압기 시장 역시 에너지 효율 및 친환경 설비 중심으로 재편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스위스 변압기(HS 코드 8504) 시장 규모>
(단위: US$ 만, %)
연도
시장 규모
(전년 대비) 성장률
2022
53,420.3
45.3
2023
50,683.0
-5.1
2024
52,299.4
3.2
2050(추정)
116,313.9
[자료: Euromonitor, 2025.6.3.]
전력망에서 변압기는 전력 흐름을 단계별로 조정하는 필수 설비로, 발전소에서 생산된 고전압 전기를 송전망과 배전망을 거쳐 최종 사용자에게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망 내의 단계(송전·배전·소비처)마다 요구되는 전압과 용량이 상이하기 때문에, 용도에 따라 전력 변압기(Power Transformer)와 배전 변압기(Distribution Transformer)로 구분되며, 절연 방식에 따라서는 절연유를 사용하는 유입식 변압기(Liquid immersed transformer)와 절연유를 사용하지 않는 건식 변압기(Dry Transformer)로 나뉜다. 유입식 변압기는 일반적으로 고압 송·배전 설비와 산업용 인프라에 주로 사용됐으나, 최근 재생에너지 확대와 분산형 전력망 구축으로 인해 유입식 변압기 수요가 활발해졌다.
특히, 전압 안정성과 냉각 성능이 요구되는 고부하 환경에서 유입식 변압기는 여전히 필수적인 설비로 평가된다. 이는 건식 변압기나 고체 절연형 변압기 등 일부 대체 기술과 비교할 때, 고용량·고전압 운용에서의 신뢰성과 내구성, 수명 면에서 여전히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글로벌 전력기기 시장 및 스위스 시장 내에서도 유입식 변압기는 특정 조건(송전망, 재생에너지 연계, 산업용 설비 등)에서 안정적 수요 기반을 유지하고 있다.
스위스에서 유입식 변압기 수입 규모는 전체 변압기 수입 대비 아직 미미한 수준이나, 이는 수요 부재보다는 중소형 유입식 변압기의 보급이 초기 단계에 있다는 시장 구조적 특성으로 해석할 여지가 있다. 특히 고지대 산악 지형과 지역 분산형 전력망 구조, 재생에너지 연계망 증가 등과 맞물려 중소형 유입식 변압기의 수요 기반이 점진적으로 형성되는 추세다.
① 지역 배전망 현대화 수요
스위스는 전국 고압 송전망을 국가전력망공사인 스위스 그리드(Swissgrid)가 단독 운영하고 있으며, 저압 배전망은 600여 개의 전력회사가 분산 운영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별로 전력 시스템의 특성과 수요에 맞게 맞춤형 전력 조정이 필요한데, 중간 용량 유입식 변압기는 도시·농촌·산악 지역의 지역 배전소에서 안정적인 배전 품질 확보를 위한 핵심 기자재로 운용되고 있다.
② 재생에너지 연계용 기자재 수요 증가
태양광·수력 등 분산형 발전원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면서, 이와 연계된 소형 발전소 및 인버터 구간의 전력 품질을 안정화하기 위한 중소형 유입식 변압기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연방에너지청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스위스의 태양광 발전 설비는 전년 대비 약 45% 증가했으며, 같은 해 전체 전력 생산 중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수력을 포함해 약 76%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발전단이 전력계통에 유입되는 지점에서 전압 안정성 및 전력 품질을 보완할 수 있는 변압기 설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재생에너지는 간헐성과 출력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변압기를 포함한 보완형 기자재(보호계전기, 인버터, 필터 등)의 안정적 연계가 필수적이며, 이 중에서도 출력 500~1000kVA급 소규모 태양광·수력 발전소와 연계되는 중소형 유입식 변압기 수요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분산형 발전원이 도시 외곽, 농촌, 산악지대 등에 입지하는 경우가 많아,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설치 여건이 비교적 유연한 유입식 변압기가 핵심 설비로 부각되고 있다.
③ 노후 인프라 교체 시장 지속
스위스의 도심 배전망 일부 구간은 1980~1990년대에 구축돼, 최근 들어 노후 설비 교체 수요가 정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대비 높은 에너지 효율을 충족하는 유입식 변압기 교체 수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 스위스에 본사를 둔 글로벌 전력기기 기업 ABB는 중대형 유입식 변압기를 포함한 주요 변압기를 설계하고 있으며, 주요 제조는 독일, 이탈리아, 중국 등 해외 생산거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④ 설치 유연성과 지형 특화 수요 대응 사례
스위스는 국토의 약 60%가 산악지형으로 구성돼 있으며, 도심지와 외곽 지역 간의 전력 수요 분포 또한 복합적인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환경에서 중소형 유입식 변압기의 설치 유연성과 유지보수 용이성은 주요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2018년에는 해발 2939m의 마테호른 지역 트로케너 슈테그(Trokener Steg)역에 커플링 변압기가 설치됐으며, 장비는 육로 및 케이블카를 통해 고지대에서 운송돼 설치됐다. 이는 산악 지역 특화 수요에 유입식 변압기가 적합하게 대응하는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2021년에는 투르가우주 비쇼프첼(Bischofszell) 지역의 주거 단지에서 기존 변압기를 무부하 손실*이 낮은 400kVA 아몰퍼스(amorphous) 유입식 변압기**로 교체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됐으며, 이는 도심 주거지 고효율 기자재 수요에 대응하는 사례로 활용되고 있다.
* 주1: 무부하 손실: 전력이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도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
** 주2: 아몰퍼스(amorphous) 유입식 변압기: 철심 소재에 비정질 금속인 아몰퍼스 금속을 사용해 자기 손실을 줄이고 고효율을 구현한 유입식 변압기
<케이블카를 이용해 스위스 트로케너 슈테크역으로 커플링 변압기를 운송하는 모습>
[자료: 스위스 전력 설비 기업 R&S Group 웹페이지]
<비쇼프첼 신축 주거 단지에 설치된 아몰퍼스 유입식 변압기 모습>
[자료: 스위스 전력 설비 기업 R&S Group 웹페이지]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최근 3개년 스위스 변압기(HS코드 8504) 수입 규모는 2023년까지 증가세를 보였으나, 2024년에는 총 12억902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5.8%로 감소했다. 이는 2024년, 스위스 국내산 변압기에 대한 수요 증가와 기계 산업 수출 감소에 따른 영향과 같은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반면, 유입식 변압기(HS코드 8504.22) 수입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2년 약 1640만 달러에서 2024년에는 1950만 달러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재생에너지 연계 설비 및 산악지형 중심의 분산형 전력망 구축 수요 확대와 에너지 전략 2050에 따른 고효율 기자재 도입 기조가 맞물려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특히 정격 650~1000kVA급의 중간 용량 유입식 변압기는 지역별 전압 조정 및 인버터 구간의 전력 품질 안정화에 적합한 특성으로 인해 해당 분야에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제한적이지만 꾸준한 수입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스위스의 최근 3년, 변압기(HS코드 8504) 및 유입식 변압기(HS코드 850422) 전체 수입액 분석>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변압기
(8504)
1,281,745
12.87
1,531,483
19.48
1,290,206
-15.75
유입식 변압기
(8504.22)
16,413
-11.89
19,005
15.80
19,517
2.6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3.]
2024년 기준, 스위스 변압기(HS코드 8504) 및 유입식 변압기(HS코드 850422) 시장 모두 일부 국가를 중심으로 뚜렷한 수입 변화가 나타났다. 변압기 전체 시장에서 폴란드는 수입액 기준 약 2022년 약 8061만 달러에서 2024년 약 1억2418만 달러로, 2022년 대비 약 50% 이상 증가하며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보인 반면, 대만(-17.6%), 독일(-20.5%), 중국(-33.2%), 미국(-14.79%) 등 주요 공급처의 수입액은 일제히 감소했다.
<최근 3년간 스위스 변압기 수입 상위 10개국(HS 코드 8504) 분석>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독일
309,279
7.21
342,500
10.74
272,424
-20.46
2
중국
267,444
35.57
354,716
32.63
236,814
-33.24
3
이탈리아
130,282
20.29
146,310
12.30
144,392
-1.31
4
폴란드
80,617
3.54
107,254
33.04
124,187
15.79
5
오스트리아
52,686
-13.31
99,607
89.06
87,654
-12.00
6
대만
85,587
23.45
71,912
-15.98
59,290
-17.55
7
미국
28,535
11.63
37,944
32.97
32,333
-14.79
8
체코
21,733
3.99
30,869
42.03
31,652
2.54
9
프랑스
21,094
-1.15
25,423
20.52
23,149
-8.95
10
헝가리
20,567
11.52
24,782
20.49
22,006
-11.20
38
대한민국
1,766
105.71
2,439
38.15
1,795
-26.39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3.]
한편, 같은 기간 중 한국산 변압기 수입 규모는 2022년, 전년 대비 약 106% 증가하는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나, 2024년, 전년 대비 약 26% 감소로 전환됐다. 이러한 변화는 코로나 종식 이후 정책 기반의 대규모 프로젝트 발주에 따른 기고효과, 공급국의 가격 경쟁력 변화, 일부 단발성 수요의 종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다만, 최근 스위스 내 에너지 전환 정책(Energie Strategie 2050) 추진과 더불어 스마트 그리드 확산과, 고효율 설비 중심의 기자재 교체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어, 기술 경쟁력을 갖춘 한국산 유입식 변압기류의 시장 진입 가능성은 지속적으로 검토해 볼 여지가 있다.
유입식 변압기 수입 동향에서도 폴란드는 2022년 242만6000달러에서 2024년 700만8000달러로 약 190% 이상 증가하며 압도적인 수입 증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오스트리아(-60.4%), 스웨덴(-83.1%) 등은 수입 규모가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폴란드의 변압기 제조업체들은 중압용(1–36 kVA*) 유입식 변압기를 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군이 스위스의 재생에너지 확대 및 전력망 현대화 기조와 맞물려 표준에 부합하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며 수입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불어, 최근 스위스 유틸리티 기업들이 공급망을 다각화하면서, ABB와 같은 고품질 공급업체와 비용 효율적인 동유럽 제조업체를 병행 활용하는 조달정책을 취하고 있다.
* 주: kVA : 변압기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전력량
<최근 3년간 스위스 유입식 변압기 수입 상위 10개국(HS 코드 850422) 분석>
(단위: US$,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폴란드
2,426,203
18.42
4,094,110
68.75
7,008,818
71.19
2
독일
1,769,684
-68.24
2,514,990
42.12
3,766,700
49.77
3
헝가리
990,770
32.45
4,145,523
318.41
2,579,453
-37.78
4
이탈리아
471,203
-27.15
1,468,375
211.62
1,948,970
32.73
5
크로아티아
2,488,544
79.34
2,197,730
-11.69
1,497,767
-31.85
6
터키
671,278
192.57
931,714
38.80
605,885
-34.97
7
프랑스
600,677
-53.95
410,206
-31.71
565,126
37.77
8
중국
3,124
4352.48
354
-88.67
396,428
111917.12
9
오스트리아
450,530
-48.00
792,695
75.95
313,844
-60.41
10
스웨덴
1,089,380
-66.8
1,160,628
6.54
196,715
-83.05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3.]
경쟁동향
스위스의 유입식 변압기 시장은 글로벌 대기업, 현지 제조업체, 해외 기업 등이 복합적으로 경쟁하는 구조를 보인다. 시장 분석 기관인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스위스 시장은 ABB, Siemens, Schneider, General Electric 등의 글로벌 대기업들이 스마트 그리드 및 디지털 전환을 핵심 축으로 대규모 프로젝트 영역에서 주도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다.
이 중, ABB는 유입식 및 건식 변압기 전반을 아우르는 경험과 IoT 기반 원격 모니터링, 디지털 변압기 기술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및 스마트 그리드 연계 프로젝트에서 선도적 입지를 유지한다. Siemens는 고효율 유입식 변압기를 중심으로 산업 및 송전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강세를 보이며, Schneider는 친환경 냉각유(바이오 오일) 기반 유입식 변압기와 디지털 솔루션으로 데이터센터와 상업용 빌딩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General Electruc 고전압 직류(HVDC) 전송용 초고압 유입식 변압기를 통해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스위스 현지 제조업체인 R&S Rauscher & Stoecklin은 철도, 터널, 수력발전소 등 특수 인프라 수요에 맞춘 유입식 변압기를 공급하며 틈새 시장을 공략하며 Trafag AG는 변압기용 정밀 센서 및 상태 모니터링 솔루션을 제공해 보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만, 현지 업체들은 대부분 중소형 특수기기 및 부품 조립에 특화돼 있어, 산업용 중대형 유입식 변압기 분야에서는 대규모 공급 역량이 제한적이다.
스위스 시장에 진출 중인 중국의 TBEA, CRRC 및 이탈리아 기업 SEA는 가격 경쟁력과 대량 공급 능력을 바탕으로 가격 민감형 프로젝트에서 점유율 확대를 시도하고 있다. 특히 SEA는 친환경 냉각유 기반의 유입식 변압기를 통해 스위스의 엄격한 환경 규제에 부합하는 제품을 공급하며 차별화하고 있다.
우리기업인 HD Hyundai Electric Switzerland Ltd.는 유럽 내 R&D 역량을 강화하며, 유럽의 고효율·친환경 규격(EN/IEC)을 충족하는 유입식 변압기 및 차세대 전력기기 개발에 주력해 왔다. 특히, HD Hyundai Electric 한국 본사는 2024년 스웨덴에서 약 5000만 달러의 415kVA 초고압 변압기 공급 계약을, 2025년에는 스코틀랜드에서 400kV 초고압 변압기 4대를 공급 계약을 성공적으로 체결하며, 검증된 기술 역량과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 능력을 바탕으로 유럽 시장에서 신뢰를 구축하고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다.
스위스 변압기(이하 유입식 변압기 포함) 시장의 유통구조는 배전반 시장과 유사한 점이 많으나, 변압기의 높은 가격과 기술적 복잡성으로 인해 일부 차별화된 특성을 가진다. 특히 스위스 변압기 시장은 산업 및 에너지 유틸리티 기업(취리히시가 소유·운영하는 공공 전력회사 ewz와 같은 전력 인프라 기업) 전력 생산, 배전 및 공급 업체가 전체 수요의 약 60% 이상을 차지한다는 점에서 배전반 시장과 비슷한 구조를 보인다.
* 참고: 스위스 배전반 시장동향
그러나 변압기는 배전반에 비해 전압과 용도에 따른 기술적 요구사항이 더욱 까다롭고 단일 제품의 가격 또한 높기 때문에, 직접 계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배전반 시장보다 더 크다. 배전반이 설치 유연성 및 통신 기능 통합을 주로 강조하는 반면, 변압기 유통에서는 유통업체들이 통합 솔루션 제공에 더욱 중점을 둔다. 결론적으로, 스위스 변압기 시장은 직접 계약과 기술영업 중심의 유통 파트너를 통해 산업 및 에너지 유틸리티 기업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인증 획득과 기술적 신뢰성이 유통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스위스 내 사업군에 따른 변압기 유통 구조>
수요 산업군
유통 방식
대표 기업
특징
에너지 유틸리티 기업
직접 계약 및 입찰방식
ewz, Axpo, BKW
장기 계약 중심, 대용량·고전압 변압기 중점
제조 및 산업시설
기술영업 중심 유통 파트너
ABB, Schneider, Siemens
산업 설비 맞춤형 솔루션, 통합 시스템 구축
상업 및 건설 프로젝트
현지 유통업체, 시스템 통합업체
Schneider, Legrand
중소규모 프로젝트 대응, 설치 및 유지보수 서비스
철도 및 교통 인프라
직접 계약 및 기술영업 파트너
Stadler, Siemens
고도의 신뢰성 및 내구성 요구, 특수 규격 제품 필요
데이터센터 및 IT시설
시스템 통합업체 및 직접 계약
ABB, Eaton, Vertiv
고효율성, 통신기능 통합 및 관리 솔루션 제공
[자료: 스위스기계산업협회(Swissmem)]
<스위스 내 주요 변압기 유통 기업>
기업명
기업 국적
산업 분야
대표 제품 및 서비스
ABB Schweiz
스위스
전력설비, 자동화 기술
고전압 변압기, 배전용 변압기, 통합 관리 시스템
Axpo
독일
에너지 유틸리티
발전소용 변압기, 고전압 배전 변압기
BKW
스위스
에너지 유틸리티, 인프라
에너지 인프라 변압기, 고전압 솔루션 제공
ewz
스위스
에너지 유틸리티
송배전용 변압기, 도시 에너지 시스템 통합 관리
Legrand
프랑스
전기 설비, 빌딩 자동화
중저전압 변압기, 빌딩 전력 관리 시스템
Schneider Electric
프랑스
전기 장비, 자동화 기술
배전용 변압기, 스마트 그리드 솔루션
Siemens
독일
전력설비, 자동화 기술
고전압 변압기, 철도 및 산업용 특수 변압기
[자료: 각 해당 기업 홈페이지]
스위스는 변압기 수입 시 관세율은 배전반과 마찬가지로 무관세로 수입된다. 2024년부터 시행된 스위스의 산업용품 관세 폐지 정책에 따라 변압기 또한 일반적으로 무관세로 수입되고 있다. 다만 포장재 및 무게에 따른 행정적 수수료나 소액의 환경세 등이 일부 부과될 수 있다.
인증
변압기는 배전반에 비해 기술적 복잡성 및 안전성 요구가 높아 스위스 시장 진출 시 관련 기술 인증 및 품질 관리가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아래는 유입식 변압기 인증 요구 사항이다.
* 참고: 소형, 중형, 대형 전력 변압기 관련 유럽 의회 지침 및 인증 요구 사항
<스위스 변압기 인증 요구 사항>
인증 및 표준 번호
주요 내용
IEC 60076
전력 변압기 설계, 제조 및 시험에 관한 국제 표준 인증으로 유입식 변압기의 내구성, 절연성, 온도 내성 등 기술적 성능을 평가하는 인증
EN 60076
IEC 60076을 기반으로 하는 유럽 표준으로, 스위스 시장 내 품질과 안정성 보장을 위해 필수로 받아야 하는 인증
IEC 60529 (IP 등급)
외부 환경 영향(먼지, 물 등)에 대한 보호 수준을 나타내는 표준으로 변압기 보호 등급을 명시하는 인증
ISO 9001
품질 경영 시스템 표준으로 기업의 품질 관리 능력과 신뢰성을 입증하는 인증
[자료: 유럽연합 공식 홈페이지]
시사점
스위스 변압기 및 유입식 변압기 시장은 ABB, Siemens, Schneider Electric 등 현지에서 입지가 견고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 또는 협력해야 하는 만큼, 현지 기업과 전략적 제휴나 공동 프로젝트 추진 등을 통한 시장 진입이 효과적이다. 최근 스위스 정부는 전력 인프라 개선 계획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기업들의 스위스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스위스의 에너지 전력 2050에 따른 탄소중립 목표 달성, 노후 인프라 현대화, 스마트 그리드 확대 등 정책적 흐름은 단순한 교체 수요를 넘어 고효율·친환경 변압기로의 구조적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입식 변압기는 고온·고부하 환경에 우수한 성능을 보일 뿐 아니라 친환경 기반 절연유 기술을 적용해 친환경 설계를 강화함으로써, 스위스의 엄격한 환경 규제와 기술 기준에 부합하는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스위스의 분산형 전력망 및 고지대 지형 특성상, 유입식 변압기는 다양한 운영 환경에서 폭넓은 수요를 기대할 수 있어 우리 기업들이 주목할 만하다.
자료: Euromonitor, 스위스 전력 설비 기업 R&S Group 웹페이지, Global Trade Atlas, 스위스기계산업협회, 주요 변압기 유통 기업 홈페이지, 유럽연합 공식 홈페이지, KOTRA 취리히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스위스 변압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의류(티셔츠류) 시장동향
일본 2025-06-25
-
2
스페인 정부, 16세 미만 대상 안경 및 콘택트렌즈 구매 지원 정책 시행
스페인 2025-06-25
-
3
일본 LED 시장 동향
일본 2025-06-25
-
4
2025 한전 북미 전력기자재 무역사절단 달라스 수출촉진회 참관기
미국 2025-06-19
-
5
중국 굴착기 시장동향
중국 2025-06-24
-
6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바니시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2025-06-25
-
1
2024년 스위스 반도체산업 정보
스위스 2024-08-27
-
2
2021년 스위스 시계 산업 정보
스위스 2021-12-29
-
3
2021년 스위스 소비재 유통 산업 정보
스위스 2021-12-28
-
4
2021년 스위스 국별 산업 개관
스위스 2021-12-14
-
5
2021년 스위스 화장품 산업 정보
스위스 2021-12-13
-
6
2021년 스위스 기계 산업 정보
스위스 2021-12-13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