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바니시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도희수
  • 2025-06-25
  • 출처 : KOTRA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바니시 시장

진출 시 SNI 국가표준 등 주요 규제와 기준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

상품명 및 HSCODE


HS Code 320890 합성 고분자나 화학적으로 변형된 천연 고분자로 만들어진 에나멜, 래커 등과 같은 페인트 바니시 제품을 포함하며, 이들은 수성 기반이 아닌 용액에 조제된 제품이다. 이러한 제품들은 금속, 목재, 플라스틱 기타 재질의 표면에 내구성과 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산업용 코팅제로 널리 사용된다.

 

시장동향 규모


비수성기반의 장식용 페인트는 표면이나 물체의 외관을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페인트의 한 종류로, 주된 목적은 기존 표면의 미관을 개선하고, 경우에 따라 코팅의 내구성을 강화하고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로 주택이나 사무실 등 건물의 내부와 외부에 도포되는 경우가 많다. 바니시는 액체 상태의 코팅제로, 건조되면서 단단하고 투명한 막으로 굳어진다. 가구 및 건설산업에서 목재 표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 마감재로, 자동차제조, 해양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자동차 산업에서는 바니시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내구성, 광택, 스크래치 저항 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High Solid’, ‘Very High Solid’와 같은 용어는 도료나 바니시에서 건조 후 실제로 표면에 남는 고체성분의 비율을 의미하며, 동시에 해당 용어의 도입은 고급차량을 위한 바니시 품질 기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해양산업의 경우에는 Jotun, International Paint(AkzoNobel), Epifanes 등의 기업이 동 분야에 특화된 페인트 및 바니시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페인트, 바니시 및 건조제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9.42조 루피아로 정점을 기록한 후 2021년도에 6조8700만 루피아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매년 꾸준히 회복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2022년도 7조5200만 루피아, 2023년도에 7조7500만 루피아로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2024년에도 이어져 2024년에는 전년 대비 약 6.2%  증가한 8조2400만 루피아로 성장했다. 2025년 이후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2027년에는 약 9조6400만 루피아로 2020년의 시장 규모 이상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네시아 페인트, 바니시 및 건조제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루피아)

[자료: 유로모니터]


페인트 및 바니시 수입동향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자료에 따르면, HSCODE 320890인 페인트와 바니시의 수입 규모는 2020년에서 2024년 사이 계속해서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2020년에 전체 수입 규모는 8,310만 달러였으며 수입량은 16,177kg으로, 전년 대비 18.5%의 큰 감소를 기록했다. 그러나 2021년에는 시장이 강하게 반등하여 수입 규모가 1억 970만 달러, 수입량은 22,190kg으로 약 32%의 성장을 보였다. 이러한 상승 추세는 2022년에도 계속되어, 수입 규모는 7.87% 증가한 1억1830만 달러, 수입량은 22,774kg로 나타났다.


2023년에는 수입 규모에 소폭의 하락이 나타나 3.38% 감소한 1억1430만 달러로 나타났으나, 수입량은 23,835kg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가격 또는 제품 구성의 변화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2024년에는 수입 규모가 1억1470만 달러로 0.3% 소폭 증가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수입량은 계속 증가하여 25,771kg에 이른다.


최근 5년을 기준으로, 약 59.3%에 달하는 꾸준한 수입량 증가세는 인도네시아 내의 건설, 가구, 자동차, 해양 산업 등과 같은 분야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수입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입액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가격 민감도가 높아지고, 이로 인해 가격 경쟁력이 있는 제품이 더 많이 선택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2020~2024년 페인트 및 바니시(HSCODE 320890) 수입 규모>

(단위: US$ 천, kg, %)

연도

수입 규모(US$)

수입 규모(kg)

증감율(%)

2020

83,097

16,177

-18.55

2021

109,700

22,190

32.01

2022

118,330

22,774

7.87

2023

114,327

23,835

-3.38

2024

114,673

25,771

0.30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국가별 수입동향


국가별 수입액을 보았을 때, 싱가포르는 꾸준히 인도네시아의 주요 교역국이다. 2024년 기준 약 15%의 점유율로 수입 규모 면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2022년에는 1,970만 달러를 수출하여 전체의 약 16.6%로 제 1위 수입국가였으나, 2023년 1,398달러로 다소 감소한 뒤, 2024년에 1,594만 달러로 회복세에 있다.


반면 중국은 인도네시아로의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수출액은 2022년 1,665만 달러에서 2023년 1,412만 달러, 2024년에는 1,378만 달러로 점차 감소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며, 2024년 기준 중국의 수입 규모는 전체의 약 12%로, 2022년 대비 약 14.5% 감소하였다.


한편, 베트남, 네덜란드, 대만은 인도네시아로의 페인트 및 바니시 부문 수출이 증가하였다. 베트남의 수출은 2022년 642만 달러에서 2024년 1,050만 달러로 63.6%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시장 점유율도 5.42%에서 9.16%로 상승하였다. 대만은 수입 규모는 작지만 가장 높은 비율로 성장하고 있다. 2023년에는 수출이 129만 달러로 소폭 감소했지만, 2024년에는 241만 달러로 급증하며, 2022년 대비 61.3%의 증가율을 보였다. 대만의 시장 점유율 역시 같은 기간 66.4% 상승하였다.


<2022~2024년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바니시(HSCODE 320890) 수입액>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연도별 수입액(US$ 천)

연도별 점유율(%)

증감율(%)

(’23-’24)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세계

118,330

114,427

114,673

100

100

100

0.22

1

싱가포

13,877

14,777

17,233

11.73

12.91

15.03

16.62

2

19,704

13,978

15,941

16.65

12.22

13.90

14.04

3

태국

13,925

12,305

14,172

11.77

10.75

12.36

15.17

4

16,645

14,116

13,783

14.07

12.34

12.02

-2.36

5

베트남

6,417

10,067

10,504

5.42

8.80

9.16

4.34

6

말레이시아

8,677

10,703

9,024

7.33

9.35

7.87

-15.69

7

일본

9,744

8,991

6,867

8.23

7.86

5.99

-23.63

8

스위

8,465

10,401

5,912

7.15

9.09

5.16

-43.16

9

네덜란드

2,604

3,281

3,699

2.20

2.87

3.23

12.73

10

대만

1,494

1,289

2,410

1.26

1.13

2.10

87.00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유통 구조


인도네시아 페인트 바니시 산업의 유통 구조는 제조사와 소매점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거나, 프로젝트 판매를 통해 기업 건설 프로젝트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진다. HS Code 320890 해당하는 페인트 바니시 제품의 유통 구조 유통업체 목록은 아래와 같다.

 

<페인트 바니시(HSCODE 320890) 유통 구조>



 [자료: Coating World Analysis,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바니시 주요 유통사>

연번

회사명

회사 로고

기본정보

1

PT Chemifin Jaya Utama


- 1984년 설립된 산업용 화학 원자재 유통업체로 페인트 및 코팅, 접착제, 건설화학 등의 분야에 특화됨

- https://www.chemifin.com/

2

PT Asia Solusi logistic

- 산업용 페인트 및 방청 코팅제품 유통에 중점을 두고 있음

- https://asiasolusilogistik.com/

3

PT Sigma Utama

- 선박, 해양구조물을 위한 방청코팅 및 산업용 코팅, 특수화학제품을 취급

- https://sigmautama.com/

4

PT Dimas Jaya

- 2003년에 설립된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코팅분야 전문기업

- https://dimasjaya.com/

[자료: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경쟁 동향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바니시 주요 경쟁사>

 연번

회사명

회사 로고

기본정보

1

PT ICI Paints Indonesia

- 1971년도에 설립, 모회사는 AkzoNobel이라는 네덜란드 기업으로- Dulux라는 대표적인 프리미엄 장식용 페인트를 생산 및 유통함

- https://www.dulux.co.id/

2

PT Propan Raya Industrial Coating

- 1979년에 설립된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페인트 기업으로, 인도네시아 전역에 47개의 지사 및 18개의 서비스센터 운영 중

- https://www.propanraya.com/

3

PT Avia Avian Tbk

- 1978년에 설립된 인도네시아의 대표적인 페인트 기업으로, 21년도에 증권거래소 상장, 건축용 페인트 부분에서 업계 선두에 있음

- https://avianbrands.com/about/avian-brands

4

PT Nipsea Paint and Chemicals

(Nippon Paint)

- 일본의 대표적인 페인트 제조업체로, 인도네시아 장식용, 산업용 페인트 분야에서 점유율이 높음

- https://www.nipponpaint-indonesia.com/

5

PT Jotun Indonesia

- 노르웨이에 본사를 둔 Jotun Group의 인니법인으로, 해양용, 보호용, 분체 코팅 및 장식용 페인트에 특화됨

- https://www.jotun.com/

6

PT Bital Asia

- 1999년 설립된 인도네시아 페인트 기업으로, 방수코팅과 내외부용 페인트를 판매함  

- https://bitalasia.com/

[자료: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관세율 인증

 

HS CODE

IMPORT DUTY (%)

VAT

MFN

AK-FTA

IK-CEPA

320890

-

-

-

-

32089030

10

0

0

12

32089090

10

0

0

12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인도네시아에서 페인트 및 바니시 제품의 유통과 판매를 위해 필요한 주요 인증에는 SNI (인도네시아 국가표준)이 있다. SNI는 제품의 안정성, 품질, 성능기준을 충족하는지 보여주는 국가표준으로 벽면용 페인트나 목재용 코팅제와 같은 일부 페인트 제품은 SNI 3564:2009, SNI 19-6506.1-2000과 같은 기준에 따라 의무적으로 SNI 인증을 받아야 한다. SNI 인증을 위해서는 아래 환경인증 및 시험기관을 통한 실험 및 성능테스트가 요구된다.


-      에코라벨 또는 환경 인증
환경친화적인 제품임을 인증하기 위해 환경산림부(Ministry of Environment and Forestry) 또는 독립기관에서 발급하는 것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과 같은 유해 물질의 함량이 낮은 제품에 해당 인증이 부여된다.

-      시험기관을 통한 실험 및 성능 테스트
제품의 화학 성분, 내구성,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은 필수이며, 일반적으로 SucofindoBaristand와 같은 공인 시험기관에서 수행된다. 한편, 유해물질이 포함된 제품은 관련 당국으로부터 공식 유통 허가(izin edar)를 받아야 할 수도 있으며, 이는 제품이 인체 건강이나 환경에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더 중요하다.


시사점


인도네시아는 페인트 바니시와 연계된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무제품 가구 생산, 자동차 산업, 조선업, 건설 분야에서 꾸준히 수요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산업의 성장은 현지 업체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있으며, 단순히 수입을 넘어 제품을 개발하거나 유통하는 여러 방식으로 협력이 가능하다.


현재 일본과 네덜란드 페인트 업체가 인도네시아 내에서 제조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으며, 본국에서 원재료를 수입해 오는 방식과 로컬화를 통해 현지에서 원재료를 조달하기도 한다. 신규로 진출하는 우리 기업들은 현지에서 생산시설을 설립하거나, 혹은 현지에 있는 인도네시아 유통사 제조사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원재료 유통 부분 등을 협력할 있다.


아울러 페인트 바니시 분야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들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규제와 기준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SNI 인증을 비롯하여, 대기질 환경 규제, VOC(휘발성유기화합물) 제한 환경부 산하의 오염물질 제한 규정 등도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이 점을 사전에 면밀히 파악해야 하며, 점차 엄격한 규제를 도입 중이라는 점을 숙지해야 한다.  이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들은 현행 규정뿐만 아니라 향후 강화될 가능성이 있는 규제에 부합할 있는 적법한 생산계획에 대해 검토해야할 것이다.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 인도네시아 재무부, 유로모니터, Coating World Analysis,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페인트 및 바니시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