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굴착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5-06-24
- 출처 : KOTRA
-
2024년 중국 국내에서 10만 대 이상 판매
도시 재개발, 농촌 활성화 등으로 소형 굴착기 시장 주목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상품명
굴착기 시장 규모
중국의 산업 정보분석 전문기관인 지옌컨설팅의 보고서에 의하면, 2024년 중국의 굴착기 판매량은 총 20만1131대이며, 전년 대비 3.1% 증가했다. 이 중 중국 국내 판매는 10만543대로 전년 대비 11.7% 증가했으며, 수출은 10만588대로 전년 대비 4.2% 감소했다. 2024년 기준, 내수와 수출 비중은 50% 대 50% 수준이다.
<최근 3년 중국 굴착기 시장 규모>
연도
총 판매량
내수 판매량
수출 판매량
판매량(대)
전년 대비
증감률(%)
판매량(대)
전년 대비
증감률(%)
판매량(대)
전년 대비
증감률(%)
2022년
261,300
-23.8
151,900
-44.6
109,500
59.8
2023년
195,018
-25.4
89,980
-40.8
105,038
-4.04
2024년
201,131
3.13
100,543
11.7
100,588
-4.24
[자료: 지옌컨설팅(智妍咨询)]
굴착기 시장 동향
지역별 동향
2024년 중국 지역별 굴착기 판매량을 살펴보면, 장쑤성(江苏省), 광둥성(广东省), 쓰촨성(四川省), 허베이성(河北省), 광시성(广西省) 등 5개 성의 판매량이 각각 5000대를 넘어 가장 많았다.
이 중 장쑤성(江苏省)은 6015대가 판매돼 가장 많이 판매된 지역이다. 이는 중국 정부의 ‘장강삼각주(长江三角洲) 지역 일체화 발전 규획*’에 따른 현지 장비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 장강삼각주 지역 일체화 발전 규획: 상하이(上海)를 중심으로 장쑤성(江苏), 저장성(浙江省), 안후이성(安徽省)의 교통, 정보통신, 에너지 등 주요 인프라를 통합·연결해 하나의 거대한 경제단위로 묶는 발전 계획
또한 서부 육해신통로에 위치한 쓰촨성(四川省), 광시성(广西省) 등도 판매량이 상위 10위권에 진입했다. 이는 서부대개발 및 서부 육해신통로 건설 프로젝트*에 따른 굴착기 수요 증가로 볼 수 있다.
* 서부 육해신통로 건설 프로젝트: 충칭(重庆)을 중심으로 쓰촨성(四川省), 광시성(广西省) 등 서부 12개 지역 및 윈난성(云南省), 광둥성 잔장시(广东省湛江市) 등 연해·국경지역의 해상·육로 무역로를 연결하는 프로젝트
<2024년 중국 지역별 굴착기 판매량>
(단위: 대)
[자료: My steel]
제품 유형별 동향
굴착기는 소형, 중형, 대형 등 유형으로 나뉘며, 소형은 주로 농경지 정비, 중형은 도로 건설, 대형은 토공 및 암석 굴착 등에 사용된다.
<굴착기 유형별 용도>
사용 분야
소형(0~20톤)
농경지 정비, 조경 녹화, 농촌 건설, 수리 사업 등
중형(20~30톤)
부동산 개발, 도로 건설, 도시 인프라 건설 등
대형(30톤 이상)
대형 인프라 건설, 토공 및 암석 굴착, 광산, 부동산 개발 등
[자료: 화징(华经)산업연구원, 칭다오무역관 정리]
이 중 소형 굴착기의 비중이 압도적이다. 2024년 기준, 소형 굴착기의 중국 내 판매량은 7만4873대로 전년 대비 20.6% 급증했다. 또한 소형 굴착기가 중국 국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돼 74.5%에 달했으며, 2023년 대비 5.5%p 상승했다.
<중국 소형 굴착기 판매량 비중>
(단위: %)
[자료: 중국공정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 궈진(国金)증권연구소]
소형 굴착기 비중이 높은 요인은 중국의 인프라 건설 시장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의 인프라 건설 시장은 지속적인 침체 속에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의 투자 증가율은 둔화된 반면, 도시 재개발, 농촌 활성화, 도시 기반시설 공사 등 소형 인프라 사업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소형 인프라 사업에 활용되는 소형 굴착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소형 굴착기 시장의 활황을 이끌었다.
수입규모 및 수입동향
2024년 중국의 굴착기(HS 코드 8429.52 기준) 수입액은 총 2억1000만 달러이며, 주요 수입국은 일본, 한국, 인도네시아 등이다. 2024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3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6.4% 감소했으며, 전체 수입의 11.3%를 차지했다.
<중국 굴착기 주요 수입국(지역) 현황(HS 코드 8429.52 기준)>
(단위: US$ 천, %)
국가(지역)
2022년
2023년
2024년
2024년 수입 점유율
전년대비 증감률
(23/24년)
-
총액
123,456
182,138
210,101
-
15.4
1
일본
65,222
105,571
162,588
77.4
54
한국
41,739
70,375
23,675
11.3
-66.4
3
인도네시아
6,155
3,001
14,989
7.1
399.5
4
독일
861
1,006
3,674
1.7
265.3
5
1,591
249
2,403
1.1
864.5
6
크로아티아
0
0
1,430
0.7
0
7
벨기에
302
70
308
0.1
341.4
8
미국
564
881
135
0.1
-84.7
9
네덜란드
213
0
77
-
0
10
체코
0
0
60
-
0
[자료: KITA]
경쟁동향
중국 굴착기 시장은 브랜드 간 경쟁이 치열하고, 시장 구조가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중국의 국내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며 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해왔고, 장기간 해외 브랜드가 주도해 온 시장 구도를 깨고 주도권을 차지했다. 대표적인 브랜드로는 삼일중공(三一重工), 쉬공(徐工), 류공(柳工) 등이 있다. 삼일중공은 수년간 중국 내 굴착기 판매량 1위를 기록했다.
해외 브랜드 또한 기술력과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시장 개척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터필러(Caterpillar), 고마쓰(小松), 히타치(日立), HD현대건설기계 등이 있다.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의 주요 굴착기 브랜드는 두산밥캣(山猫), HD현대인프라코어의 디벨론(DEVELON) 및 HD현대건설기계의 현대(HYUNDAI)로 각각 중국에 생산 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두산밥캣(山猫) 굴착기는 중국에서 주로 소형 굴착기를 생산하며, 소회전 설계를 적용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비가 유연하게 회전할 수 있다.
HD현대건설기계는 중국에서 대형, 중형, 소형 굴착기를 모두 생산하며, 제품 조작 편리성과 연비를 강조한다. 특히 시정 공사와 중형 건설 프로젝트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원제품으로 수입되는 초대형 굴착기는 중국 신장(新疆) 지역의 광산 공사에 사용되고 있다.
<주요 굴착기 브랜드 제품>
두산밥캣의 소형 굴착기(E17z)
현대 초대형 굴착기(R1250-9)
[자료: 두산밥캣, 현대건설기계(중국) 홈페이지]
유통구조
현지 주요 굴착기 제조업체들은 일반적으로 직판과 대리상 판매를 병행하는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큰 굴착기 제조업체는 직판 방식을 채택해 대형 기업 고객, 주요 공사 프로젝트 및 정부 조달 등을 대상으로 직접 판매를 진행한다. 대리상을 통한 판매는 중국 굴착기 시장에서 가장 전통적이고 중요한 판매 경로다. 주요 굴착기 브랜드들은 전국적으로 대리상 네트워크를 광범위하게 구축했다. 각 지역의 대리상과 협력해 제품을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한다.
또한 일부 굴착기 대리상은 렌탈 방식을 활용해 제품을 홍보하고, 렌탈 후 판매 비즈니스 모델을 추진한다. 고객은 일정 기간 장비를 임대해 사용하면서 장비 성능과 적합여부를 따져보고, 지속적인 장비 수요가 있을 경우 임대한 장비를 구매할 수 있다.
관세율 및 인증제도
중국 해관에 따르면, 굴착기 종류 및 관세협정에 따라 관세율이 다르나 우리나라의 부가세 개념인 증치세는 13%로 동일하다.
휠타입 굴착기(HS 코드 8429.5211)의 경우, 한-중 FTA 및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APTA) 적용 관세율은 7.2%, MFN(최혜국 우대) 관세율은 8%이다.
무한궤도식 굴착기(HS 코드 8429.5212)는 한-중 FTA 및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 적용 관세율(APTA)은 없으며, MFN(최혜국 우대) 관세율인 8%가 적용된다.
기타 굴착기(HS 코드 8429.5219)의 경우, 한-중 FTA 및 아시아태평양 무역협정(APTA) 적용 관세율은 5.2%이며, MFN(최혜국 우대) 관세율은 8%이다.
<굴착기 종류 및 관세협정별 관세율>
구분
휠타입 굴착기
(8429.5211)
무한궤도식 굴착기(8429.5212)
기타 굴착기
(8429.5219)
한-중 FTA
7.2%
-
5.2%
APTA
7.2%
-
5.2%
MFN(최혜국 우대)
8%
8%
8%
[자료: 중국 해관]
굴착기를 수입하는 회사는 세관 통관 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반드시 중국 상무부에 ‘자동수입허가증(自动进口许可证)’을 신청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입 기업이 중국 상무부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신청하고 있다.
자동수입허가증 신청 시 준비 서류는 ▲기계전기제품 수입신청서(온라인 양식), ▲사업자등록증 사본 1부, ▲물품 수입 계약서 원본 1부다. 이 외에 수입 굴착기의 총 금액이 200만 위안을 초과할 경우, 해당 제품이 입찰 대상 제품이면 ‘낙찰 통지서(中标通知书)’를 준비해야 하며, 비입찰 제품이면 ‘입찰 면제 신청서(免招标申请书)’를 제출해야 한다.
시사점
1. 2024년부터 굴착기 교체 시기 도래
2016년부터 중국 정부는 인프라 투자를 확대했으며, 이 시기 부동산 시장도 호황으로 굴착기 수요가 많았다. 또한 당시 중국 정부가 새롭게 발표한 배출가스 기준으로 많은 기업들이 기준에 맞는 장비로 교체를 했다. 보통 굴착기의 교체 주기는 8년에서 10년으로, 2016년에서 8년이 지난 2024년부터 교체 시기가 도래함에 따라 굴착기 시장 성장이 예상된다.
2. 신에너지·스마트 굴착기가 향후 시장 성장 주도
전기 굴착기는 대기오염물질 무배출, 저소음, 유지비용 절감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도시 건설 및 환경 요구가 높은 작업 현장에 특히 적합하다. 향후 배터리 에너지 밀도의 향상과 충전 속도의 증가로 전기 굴착기의 주행 거리와 작업 효율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충전 인프라의 정비도 전기 굴착기의 보급 확대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전기 굴착기 외에 수소에너지 등 친환경 동력 기술의 적용도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수소 에너지 굴착기는 고효율, 친환경, 지속 가능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어 향후 굴착기 시장의 중요한 발전 방향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스마트 기술을 적용할 경우 굴착기의 작업 효율을 높이고,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스마트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굴착기는 더욱 큰 발전 가능성을 맞이할 것이다.
3. 시장 세분화에 따른 기회 포착 필요
광산 전용 굴착기, 터널 전용 굴착기, 고원 전용 굴착기 등 세분화된 시장은 수요가 비교적 안정적이며 경쟁 강도가 낮고, 수익성도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관련 기업은 세분화된 시장의 수요에 주목해 혁신적인 제품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해야 한다.
자료: 지옌컨설팅(智妍咨询), 화징(华经)산업연구원, My steel, Sina, 현대건설기계(중국), 두산밥캣, 중국 공정기계공업협회(中国工程机械工业协会), 중국해관, KITA 및 KOTRA 칭다오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굴착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무인운반로봇(AGV) 시장동향
중국 2025-06-24
-
2
뷰티 웹사이트에 K-뷰티 메뉴 등장, 모로코 화장품 시장 트렌드
모로코 2025-06-24
-
3
이스라엘 스낵 시장 동향
이스라엘 2025-06-24
-
4
슬로바키아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슬로바키아 2025-06-23
-
5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6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