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쿠웨이트 콘택트렌즈 시장 동향
  • 상품DB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2025-05-22
  • 출처 : KOTRA

쿠웨이트의 콘택트렌즈 1위 수입국은 5년 연속 한국

글로벌 기능성 브랜드와 중동 특화 컬러 렌즈 브랜드로 시장 양분

콘택트렌즈(HS Code 900130) 시장 동향


쿠웨이트의 콘택트렌즈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력 교정용 뿐만 아니라 미용 목적의 컬러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젊은 소비자층 사이에서 패션 및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일회용 렌즈 및 색상 옵션이 다양한 제품군의 판매가 확대되고 있다.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쿠웨이트의 콘택트렌즈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7470만 달러 규모로 추정된다. 2030년에는 약 1억117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8%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쿠웨이트 콘택트렌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Grand View Research]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쿠웨이트의 콘택트렌즈 1위 수입국은 한국으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2022년에는 전체 수입 1100만 달러 중 660만 달러를 한국으로부터 수입해 약 60%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2024년에도 약 55%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2위 수입국은 독일로 매년 수입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영국,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 5년 쿠웨이트의 콘택트렌즈(HS Code 900130) 10대 주요 수입국>

(단위: US$ )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전체

6,244

9,511

11,107

12,063

7,687

대한민국

2,944

4,907

6,660

6,145

4,234

독일

559

735

714

1,099

1,576

네덜란드

0

3

2

0

990

영국

44

200

179

137

290

이탈리아

42

89

70

10

286

중국

245

74

74

55

98

사우디아라비아

42

   0

2

9

80

대만

0

0

44

76

74

스페인

0

8

9

10

23

벨기에

0

0

0

0

10

[자료: Trade Map]

 

경쟁 동향


쿠웨이트 콘택트렌즈 시장은 글로벌 기능성 브랜드와 중동 특화 컬러 렌즈 브랜드가 양분하고 있으며 소비자 니즈에 따라 의료용 중심과 미용 중심으로 시장이 이분화돼 있다. 


컬러 렌즈 부문에서는 한국의 Bella와 이탈리아의 Desio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Bella는 자연스럽고 선명한 색감으로 GCC 지역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Desio는 세련된 디자인과 자연스러운 색상 표현으로 프리미엄 컬러렌즈 시장에서 강한 존재감을 보이고 있다. 쿠웨이트 콘택트렌즈의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자료는 공개된 것이 없으나 한국산 콘택트렌즈 수입이 전체 수입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Bella 브랜드가 쿠웨이트 컬러렌즈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기능성 콘택트렌즈 시장에서는 스위스의 Alcon, 미국의 Bausch+Lomb와 Johnson & Johnson과 같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 브랜드들은 의료기기 인증을 기반으로 병원, 안경원, 약국 등 전문 유통망을 중심으로 공급되고 있으며 건조증 개선, 고수분 유지, 장시간 착용 가능성 등 기능적 특성을 앞세워 의료용 시장에서 높은 신뢰도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쿠웨이트 주요 콘택트렌즈 브랜드 개요>

브랜드명

제조국

특징

Bella

한국

장 점유율 1위 브랜드

자연스러우면서도 선명한 색감으로 인기가 높으며 쿠웨이트, UAE, 카타르 등 GCC 지역 중심으로 강세

Desio

이탈리아

프리미엄 컬러 콘택트렌즈 브랜드로 고급스러운 패키징과 유럽 감성의 자연스러운 컬러로 인지도가 높음

Alcon

스위스

건조증 개선 및 장기 착용 가능 등 의학적 기능성 중심 제품으로 의료용 렌즈로서 신뢰도가 높음

Bausch + Lomb

미국

고수분 및 장시간 착용에 적합한 제품군이 강점이며 글로벌 의료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음

Johnson&Johnson Vision

미국

세계 최대 콘택트렌즈 브랜드 중 하나로 실리콘 하이드로겔 도입 선도, 산소 투과율과 착용감에 강점이 있으며 일회용 렌즈 분야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 보유

EYEBOU

영국

신생 브랜드로 맞춤형 콘택트렌즈를 제공하며 지속 가능성 강조, 온라인 중심 유통 중

[자료: 각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KOTRA 쿠웨이트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쿠웨이트의 콘택트렌즈 유통 경로는 오프라인 전문 유통망과 온라인 플랫폼이 있다. 기능성 콘택트렌즈의 경우 주로 안과 병원이나 약국 등 의료 전문 유통채널을 통해 공급되며 쿠웨이트 보건부의 의료기기 등록을 마친 제품만 유통이 가능하다. Alcon, Bausch+Lomb, Johnson & Johnson 등 글로벌 브랜드는 병원 및 약국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형성하고 있다.


컬러렌즈는 뷰티 전문 매장, 쇼핑몰 내 렌즈샵, 드러그스토어 등을 통해 오프라인 유통되며 Boutiqaat, Taw9eel 등 로컬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유통도 활발하다. 온라인 유통의 경우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SNS 연계를 통해 젊은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콘택트렌즈에 적용되는 기본 관세율은 5%다.


쿠웨이트로 콘택트렌즈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쿠웨이트 보건부의 사전 등록 및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합한 수입 라이선스를 보유한 로컬 에이전트가 필요하다. 제품 등록 시에는 △제조사 라이선스, ISO 인증서, 성분 분석표, BSE Free 증명서, 안전성 자료(MSDS) 등의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렌즈의 재질에 따라 추가 자료가 요구될 수 있다. 일반적인 등록 유효기간은 5년이며 등록 비용은 약 300~500KWD(쿠웨이트 디나르, 약 135만~226만 원)이다.

 

시사점


쿠웨이트 콘택트렌즈 시장은 한국 브랜드에 비교적 유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 최근 수년간 쿠웨이트 콘택트렌즈 수입국 중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컬러렌즈 부문에서는 Bella 브랜드를 중심으로 전체 수입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이는 K-뷰티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 색상 다양성, 우수한 착용감, 중동 소비자 취향에 부합한 디자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은 신규 한국 브랜드에 유리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전략적인 마케팅과 현지화된 제품 기획을 병행한다면 성공적인 시장 진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콘택트렌즈 수출의 경우 쿠웨이트 보건부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진입 초기의 행정적 장벽이 다소 높기 때문에 보건부 등록 경험이 풍부한 현지 업체와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온라인 유통망과 인플루언서 마케팅이 활발한 시장인 만큼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병행한다면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Trade Map, Grand View Research, 쿠웨이트 주요 온라인 판매 플랫폼, 현지 언론 및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콘택트렌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