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진웅
  • 2025-05-22
  • 출처 : KOTRA

대기오염 심화 속,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는 공기청정기

유통 채널 다변화, 다기능 제품 수요 증가 등에 주목할 필요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명(및 해설)

847989

품명: 이류에 따로 분류되지 않은 기계류 기타(고유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한정한다)

8479891010

공기청정기(제습 및 가습 기능이 있는 것으로 한정한다)

 

시장동향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베트남의 공기청정기 판매량은 2019년 약 4만5600대에서 2024년 약 26만3200대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다만 판매 증가율은 점차 둔화하는 추세로, 2019196.9%에 달했던 성장률은 2024년에는 9.1% 수준으로 하락했다향후 2029년까지 판매량은 약 37만7900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나, 성장률은 6.6%로 계속 하락할 전망이다. 이는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고 있음을 시사하며, 판매량은 늘고 있으나 성장 속도는 점차 둔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베트남 공기청정기 판매 현황 및 전망>

(단위: 천 개,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06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4pixel, 세로 377pixel

[자료: Euromonitor]

 

시장조사기관 Markets and Data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시장은 건강에 대한 인식 제고, 대기오염 심화,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하노이와 호치민시 등 주요 대도시에서는 차량 배출가스, 산업 활동, 건설 현장의 먼지, 농작물 소각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이 심각해지면서 큰 문제로 부상했다. 하노이시 통계에 따르면, 2018~2020년 동안 PM2.5(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국가 기술기준인 25/의 거의 두 배를 초과했다. 또한, 현지언론에 따르면, 작년 13일 오전, 하노이의 공기질지수(AQI)284를 기록해 세계에서 가장 대기오염이 심한 도시로 집계됐다. 이처럼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서 공기청정기는 주요한 대안 상품으로 주목받고 있다.

 

건강 우려 또한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이다. 2020년 보건부와 WHO, 베트남 통계총국(GSO)이 공동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내 18~69세 성인의 최대 3.1%가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진단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바익마이(Bạch Mai Hospital) 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베트남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증 COPD 유병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다. 이렇듯 공기질 악화에 따른 호흡기 질환의 증가로 인해, 실내 공기질 관리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며, 공기청정기 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베트남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HS 코드 847989에 해당하는 품목 수입액은 2019113,000만 달러에서 2023158000만 달러로 증가해 40.68%의 누적 증가율을 보였다. 다만 HS 코드 847989는 공기청정기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기계류를 포괄하는 범주이므로, 본 수치는 공기청정기 수입 동향을 간접적으로 참고하는 지표로 이해해야 한다.

 

국가별 수입 비중을 살펴보면, 한국이 해당 품목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베트남은 한국으로부터 총 61152만 달러 상당의 HS 847989 품목을 수입했으며, 이는 전체 수입액의 38.63%에 해당한다. 이어 중국이 37.43%의 비중으로 2위를 차지했고, 일본은 13.29%3위에 올랐다. 기타 국가로부터의 수입은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에 머물렀다.

 

<베트남의 HS 코드 847989 수입 동향>

(단위: US$ , %)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총수입액

1,125,335

1,100,473

1,251,986

1,537,811

1,583,144

한국 베트남 수입액

386,318

422,959

354,777

607,348

611,524

전년 대비 증감률

-17.25

9.48

-16.12

71.19

0.69

총수입액 중 한국 비중

34.33

38.34

28.34

39.49

38.63

[자료: ICT Trade Map]

 

<주요 수입대상 현황(HS 코드 847989 기준)>

(단위: US$ 천, %)

순위

연도

2019

2020

2021

2022

2023

점유율

전체

1,125,335

1,100,473

1,251,986

1,537,811

1,583,144

1

한국

386,318

422,959

354,777

607,348

611,524

38.63

2

중국

310,210

272,436

421,145

458,834

592,541

37.43

3

일본

210,541

233,619

234,240

250,375

210,336

13.29

4

대만

33,298

30,040

28,407

31,829

27,563

1.74

5

말레이시아

16,831

22,466

44,488

44,552

21,509

1.36

6

싱가포르

16,459

11,552

39,434

16,989

19,470

1.23

7

인도

8,459

16,202

9,569

41,690

18,161

1.15

8

미국

33,031

13,856

22,872

15,927

17,284

1.09

9

독일

53,320

36,913

33,465

18,532

17,089

1.08

10

이탈리아

10,408

10,711

19,104

16,890

15,933

1.01

 

기타

46,460

29,719

44,485

34,845

31,734

2.00

[자료: ICT Trade Map]

 

경쟁동향

 

글로벌 브랜드인 삼성, 샤프(Sharp), 샤오미(Xiaomi), 필립스(Philips), LG 등은 다양한 소비자층을 겨냥한 폭넓은 제품군을 바탕으로,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 내에서 견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이 기업들은 저가형 소형 모델부터 고급형 정밀 필터 시스템 및 스마트 기능을 갖춘 프리미엄 제품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제품군을 제공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편, Karofi, Dr.Ozone 등 일부 베트남 현지 기업들도 시장 진입을 시도하고 있으나, 브랜드 인지도와 기술력 측면에서는 외국계 주요 브랜드들에 비해 경쟁력이 다소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베트남 시장 내 공기청정기>

제품

제품 사진

제품 설명

가격

Philips AC0650/1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2pixel, 세로 112pixel

- 최대 44공간 정화 가능

- Nano Protect HEPA 필터 탑재

- 알레르기 유발 물질, 바이러스 및 미세 입자 제거 기능

- Air+ 앱을 통한 스마트폰 제어 가능

2,390,000 VND

($95.79)

Xiaomi Mi Air Purifier 4 Lite BHR5274G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08pixel, 세로 108pixel

- 최대 43공간 정화 가능

- HEPA 필터 탑재 

- 초미세먼지(PM2.5 0.3) 제거 기능

- iOS Android 스마트폰과 연동 가능

2,290,000 VND

($91.78)

Sharp FP-J30E-B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3pixel, 세로 133pixel

- 최대 23공간 정화 가능

- 중간 필터 및 HEPA 필터 탑재

- 초미세먼지(PM0.3) 제거 기능

- 플라즈마클러스터 이온 기술 적용하여 상쾌한 공기 제공

2,090,000 VND

($83.76)

LG PuriCare AS60GHWG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5pixel, 세로 115pixel

- 최대 61공간 정화 가능

- HEPA H13 필터 및 이오나이저 필터 탑재

- 초미세먼지(PM0.01), 바이러스, 박테리아, 알레르기 유발 물질 제거 기능

- LG ThinQ 앱을 통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5,990,000 VND

($240.07)

Samsung AX34R3020WW/SV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6.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9pixel, 세로 139pixel

- 사용 면적: 최대 34

- 3중 필터(HEPA 포함) 탑재

- 초미세먼지(PM0.3), 박테리아, 악취 제거 기능

- 공기질에 따라 변하는 4단계 LED 색상 표시 기능

3,290,000

VND

($131.86)

 

*: 25.5.9. 기준 베스트셀러 상위 5개 제품

[자료: Nguyễn Kim Trading JSC]

 

한편, 제습기, 가습기, 선풍기, 모기 퇴치기 등의 기능이 결합된 다기능형 공기청정기는 베트남의 기후적 특성에 부합하는 올인원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부 제품은 습도 조절 기능, UV 살균 조명과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는 모기 퇴치 기능 등을 탑재함으로써,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처럼 공기청정기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부가기능은 제품 간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며, 기업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한다.

 

<베트남 시장 내 다기능 공기청정기>

제품명

제품 사진

제품 설명

가격

LG PuriCare AeroTower FS15GPCJ0.ABA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pixel, 세로 115pixel

- 최대 76m² 공간 정화 가능

- UVnano 기술 탑재

- 3단 바람 조절 기능

- LG ThinQ 앱으로 원격 제어 및 모니터링 가능

13,900,000 VND

($557.09)

Daikin MCK55TVM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9pixel, 세로 141pixel

- 최대 41m² 공간 정화 가능

- 가습 기능으로 건조한 공기 및 바이러스 차단

8,690,000 VND

($348.28)

Sharp DW-E16FA-W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8pixel, 세로 122pixel

- 최대 60m² 공간 정화 가능

- 탈취, 제습, 의류 건조, 공기청정 기능

- 플라즈마클러스터 이온 기술로 알레르기 유발물질 제거

7,990,000 VND

($320.23)

Sharp FP-JM40V-B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bce4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0pixel, 세로 128pixel

- 최대 30m² 공간 정화 가능

- 모기 퇴치 기능

- 플라즈마클러스터 이온 기술로 박테리아, 곰팡이, 알레르기 유발물질 및 냄새 제거

3,990,000 VND

($159.91)

[자료: Mediamart Vietnam JSC]

 

유통구조

 

Euromonitor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를 포함한 공기정화 제품 유통은 점차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있다. 가전·전자제품 전문 매장이 여전히 주요 유통 경로이긴 하나, 시장 점유율은 201988.5%에서 202478.7%로 하락했고, 같은 기간 전자상거래는 9.6%에서 19.9%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온라인 쇼핑의 편의성, 가격 경쟁력, 제품 사양 및 소비자 리뷰 접근성, 물류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공기정화 제품 유통 추이>

(단위: %)

유통채널/년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가전·전자제품 전문점

88.5

86.7

83.1

81.6

80.2

78.7

전자상거래

9.6

11.4

15.2

16.8

18.3

19.9

슈퍼 및 하이퍼마켓

1.9

1.8

1.7

1.7

1.5

1.4

[자료: Euromonitor]

 

관세율 및 수입통관절차

 

HS 코드 847989에 해당하는 공기청정기는 베트남에서 MFN 및 다양한 FTA를 통해 관세율 0%가 적용된다. 일반 수입관세는 5%이지만, 이는 MFN FTA 미체결국에만 해당된다. 베트남은 한국을 비롯한 다수 국가와 MFN FTA 체결국 관계를 맺고 있어, 대부분 국가로부터 수입되는 공기청정기는 실질적으로 무관세 상태로 유통되고 있다.

 

<베트남의 HS 코드 847989 품목 관세율표>

(단위: %)

HS 코드

품목명

MFN

AKFTA

VKFTA

RCEP

8479

84류에서 달리 명시되거나 포함되지 않은, 개별 기능을 가진 기계 및 기계장치

0

0

0

0

847989

기타 유형

(Other Types)

0

0

0

0

84798969

기타

(Other)

0

0

0

0

[자료: 베트남 관세총국]

 

인증 정보

 

TCVN 11858:2017은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평가 기준을 규정한 베트남의 국가표준이다.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제품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으로 활용되며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다.

 

<TCVN 11858:2017 주요 내용>

항목

내용

초기 필터 효율

(실내 대기 중 PM2.5 농도의 99% 저감 소요 시간)

level 1: 120

level 2: 90

level 3: 60

탈취 효율

작동 30분 후 악취 제거율 50% 이상

누적 집진량

(필터 효율이 초기 대비 50%로 저하될 때까지의 필터에 누적된 먼지의 양)

(제조사 제출 기준에 따름)

[자료: 베트남 법률정보 포털]

 

시사점 및 진출전략

 

베트남 정부는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고 있으나, 제도적 노력에 비해 실질적인 개선 효과는 아직 제한적인 상황이다. 예컨대, 오토바이 배출가스 정기 검사 제도(Circular 47/2024)의 도입은 긍정적인 신호이지만, 전체 대기질 개선에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맥락에서 공기청정기는 자가 보호 수단으로서 소비자 일상에 더욱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실내 공기질 관리에 대한 수요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특히,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에서는 최소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결합한 제품이 점점 더 인기를 얻고 있다. 한국 기업들은 공기 정화 기능 외에 가습, 제습, 냉방, 스마트 조명 등을 통합한 제품을 제안함으로써, 도시 주거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시장을 공략할 수 있다.

 

 

자료: Euromonitor, ITC TradeMap, 베트남 관세총국, 베트남 법률정보 포털, 현지언론,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공기청정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