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4년 쿠웨이트 스마트팜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2024-09-06
  • 출처 : KOTRA

쿠웨이트 정부, 자국 농업 육성 중요성 강조

농업 환경


아라비아 반도의 동쪽에 위치한 쿠웨이트는 국토의 대부분이 평탄하고 황량한 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막성 기후로 여름철 평균 기온은 40도 이상이며 7~8월에는 최고 기온이 50도를 웃도는 매우 뜨겁고 건조한 기후이다. 특히 토양은 유기물 함유량이 적어 영양소가 부족하고 수분 보유능력이 떨어져 농산물 생산능력이 매우 낮은 편이다. 현재 쿠웨이트에서 농경지로 활용되는 지역은 전체 국토(약 178만 헥타르)의 약 0.6%에 해당하는 1만600헥타르 규모에 불과하다.

 

<쿠웨이트 농경지 규모>

[자료: Researchgate]

 

또한 강, 호수 등 천연 수자원의 부재로 대부분의 식수를 바닷물을 담수화 해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전기 사용량이 높은 담수화 공장을 통해서만 공급이 가능하며 농업 산업 종사자는 높은 전기 비용을 감당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혹독한 기후 조건과 취약한 수자원 및 토양 자원은 쿠웨이트 농업 산업이 직면한 주요 제약 조건으로 사실상 전통 농경법은 적용이 불가능한 환경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다.


매해 증가하는 인구 증가율과 이에 따른 농산물 수요 증가를 충당하기 위해 쿠웨이트는 대부분의 농산물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코로나19 펜데믹의 여파로 글로벌 농산물 공급망 붕괴 및 물류 파동 등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한차례 위기 상황을 직면하면서 식량 자급자족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커지고 있다. 쿠웨이트 정부는 농산물의 해외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자국 농업 성장을 위한 스마트팜 도입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농업 현대화를 쿠웨이트 국가개발계획 Kuwait Vision 2035의 주요 목표로 삼고 있다.

 

스마트팜 시장 동향


대부분의 쿠웨이트 농장은 고온 건조한 날씨에 대응하기 위한 자동 급수 시설과 온도 조절용 대형 팬 등의 시설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아직까지 스마트팜 기술이 보편화되어 있지는 않으나 관련 기술 도입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쿠웨이트 농업 회사들의 주요 관심사는 관개, 자동온도조절, 토양과 급수의 염도 조절 기술 등이다. 특히 토양의 높은 염분함유율이 농업 생산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경 농업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쿠웨이트는 1955년 걸프국가 중 최초로 수경농법을 도입하였으며 첫 해 5백 제곱미터를 시작으로 1962년 2천 제곱미터로 확장한 바 있다. 쿠웨이트를 시작으로 1976년 중동시장에 처음으로 수경농법이 화훼와 채소 생산에 도입되었다.


6W Research에 따르면 2022년 쿠웨이트 스마트팜 시장의 1위 기술 분야는 관개 시스템으로 약 41.4%를 차지했으며 2029년에도 여전히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전망이다.


<쿠웨이트 스마트팜 시장 주요 기술>

[자료: 6W Research]

 

이처럼 쿠웨이트 내 농업 육성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쿠웨이트 정부는 정부 주도 하에 해외 농지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쿠웨이트 정부는 특정 작물 생산에 비교우위가 있는 농업 회사들이 해외에 투자하도록 하고 해당 기업들이 해외에서 생산한 농산물을 쿠웨이트로 수입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주요 목표 작물로는 밀, 쌀, 보리, 옥수수, 콩 등이 있다.


최근 5년간 쿠웨이트의 농업용 스마트팜 기기(Hs Code 8436) 수입 통계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중국이 1위 수출국이었으며 튀르키예, 미국, 독일이 뒤를 잇는다. 2023년 한국은 8위 수출국이었으나 2022년 기준으로는 한국이 1위 수출국을 기록하기도 했다. 쿠웨이트의 스마트팜 기기 수입 수요는 프로젝트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스마트팜 프로젝트를 수주 기업이 주요 수출국 순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쿠웨이트 농업용 스마트팜 기기(HS Code 8436) 수입 통계>

(단위: US$ 천)

수출국

2019

2020

2021

2022

2023

전세계

8,914

6,335

2,907

6,304

2,536

중국

344

499

493

385

580

튀르키예

1,087

1,678

154

141

491

미국

704

682

138

86

368

독일

1,664

329

506

1,533

325

영국

197

154

280

134

157

네덜란드

3,909

285

109

142

140

이탈리아

390

279

386

311

136

한국

0

165

131

1,704

53

스위스

9

1

517

1,423

36

말레이시아

1

0

 0

191

0

[자료: Trade Map]

 

스마트팜 기업 동향


쿠웨이트의 농업 기업들은 농장에서 관개 시스템을 필수로 사용하고 있으며 온실 온도 조절을 위한 환기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주요 농업 기업 중 하나인 House of Development는 압달리와 술래비아 지역에서 큰 규모의 농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가지, 호박, 토마토, 딸기, 오이 등을 재배하고 있다. 농장에는 미국 기업인 웨더매틱(Weathermatic)의 자동 관개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으며 온도를 낮추기 위한 반자동 대형 팬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쿠웨이트 농업 분야 주요 기업>

기업명

웹사이트

관심분야

비고

United Agriculture & Livestock Production

www.uapco.net

작물 재배, 관개, 꿀, 축산

쿠웨이트 최대 농장 2개 보유(2,200 헥타르 이상)

House of Development

www.hodagri.com

스마트 관개 시스템, 환기 시스템, 첨단 농업 장비

세미 스마트 관개 시스템 사용중이며 고성능 스마트 농기계 수요 높음

Al Qatami Agriculture Co.

www.qatamiagrico.com

쿨링팬

농장에 농기계 공급

Burgan agriculture Co.

www.burganagri.com

냉난방 시스템, 관개시스템

농부 개인에게 농기계 공급

[자료: 기업별 웹사이트]

 

진출전략


<쿠웨이트 스마트팜 산업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 정부 국가개발전략의 주요 목표 산업

- 환경적 요인으로 인한 높은 수요

- 저임금 단순 노동자~고임금 전문직 등 다양한 노동 인재풀 보유

- 척박한 기후 및 염도 높은 토양과 물

- 주변 GCC 국가 대비 낮은 시장 규모

Opportunities

Threats

- 신 농업기술 도입에 대한 민간 기업 관심 증대

- 아직까지 해외진출기업이 많지 않아 주변국 대비 낮은 경쟁

- 중국, 미국, 유럽 등 다른 경쟁 공급자

- 정부 주도 프로젝트 지연 등 불안정성

 

쿠웨이트 시장에 진출한 외국 농업 기업들은 쿠웨이트 현지 에이전트를 발굴해 에이전트 계약을 체결한 후 동 에이전트에게 제품을 수출하여 시장에 공급하는 형태이다. 따라서 현지 시장 상황을 잘 알고 프로젝트 수주 역량이 있는 에이전트 기업 선정이 중요하다. 


더불어 아직까지 쿠웨이트 시장의 스마트팜 기술이 보편화되어 있지 않고 경험이 적기 때문에 대부분의 현지 기업들은 관련 기술 활용 지식이나 노하우가 부족한 상황이다. 성공적인 스마트팜 수출 및 네트워크 지속을 위해서는 단순 기술이나 시스템 설치뿐 아니라 인력 파견 등을 통해 운영 및 유지보수 등 포괄적인 토탈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자료: Trade Map, 6W Research, 현지 언론, 현지 농업 기업 웹사이트, Researchgate,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4년 쿠웨이트 스마트팜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