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ook Mark
2020 쿠웨이트 산업 개관
  • 국별 주요산업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박성우
  • 2020-12-07
  • 출처 : KOTRA

□  산업 개요


< 쿠웨이트의 산업 현황 >

(단위 : USD억, %)

구분

분야

2018 기준

GDP

비중

오일분야

658.39

55.5%

비오일분야

농업 및 어업

5.84

0.5%

제조업

88.96

7.4%

전기 및 수도

43.75

3.6%

건설

27.43

2.3%

도소매

45.08

3.8%

호텔, 식당

103.76

0.9%

통신, 교통

78.47

6.6%

금융

105.68

8.9%

부동산

98.16

8.2%

기타 서비스

26.7

2.3%

자료 : 쿠웨이트 중앙은행(Central Bank of Kuwait)

 

  원유 생산, 정유, 석유화학 원료생산 등 석유화학 산업이 매우 큰 비중을 차지

  - 호텔, 요식업, 통신, 부동산, 금융 등 서비스 산업이 석유화학 분야 다음가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대외 경쟁력이 매우 낮고 국내 시장에 제한되어있음

  - 제조업의 경우 비금속제품-가공금속-화학제품 분야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종사자의 10%만이 쿠웨이트 자국민인 것으로 나타남

  - 농업 등의 1차 산업은 정부의 정책보조금을 받아 최소한의 산업기반만을 유지

 

  GDP의 약 40%, 정부 재정수입의 90% 이상을 석유 수출에 의존하는 석유의존형 산업구조를 탈피하기 위한 국가 개발 계획을 추진 중이나, 현재까지 그 성과는 미비

  - 제조업 기반이 거의 없는 석유의존형 경제를 탈피하기 위해 신도시 건설, 보건의료분야, 친환경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특히 인적자본구축 분야에 전체 프로젝트의 1/3에 달하는 다수의 프로젝트가 집중되어 있을 정도로 국가성장의 동력으로 미래세대 인적자원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음

  - 경제개혁조치의 일환으로 일부 업종 외국인 직접투자 허용(2003.10), 외국법인에 대한 법인세율 인하(2008.1) 및 내국법인에 대한 법인세 도입 추진

  - 민간부문의 자국인 고용 확대를 위한 자국인 고용촉진법 제정 시행, 일부 공사의 경우 외국기업에 대한 입찰 참여 제한, 공공 프로젝트에 대한 국내산 의무 조달 비율 지정 등의 쿠웨이트化(Kuwaitization) 정책 추진

 

  국가개발계획에 의존한 정부발주 건설·플랜트 분야의 프로젝트 위주의 시장 형성

  - 금융 및 무역의 허브 건설과 산업 다변화 추진 

  - 걸프만 최북단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 걸프지역의 금융, 문화, 상업의 중심지로의 육성하기 위한 나와프 국왕의 비전(Vision 2035) 실현을 위한 전략

  - 저유가로 인한 재정적자에도 불구하고 중장기 국가개발 계획에 따라 인프라 건설 및 산업다각화 진행에 대한 정부지출 유지

  - Bubyan Island 항만 개발, 자유무역지대 확대, 쿠웨이트 국제공항 2터미널 신설 등 추진

  - 석유산업 고도화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석유화학 공장 건설, 정유시설 신설 및 개보수, 석유수출항 건설 등도 추진

 

  2015년~2020년까지 국내 기업들은 약 87억 달러의 17개 프로젝트를 수주

 

<우리 기업이 수주한 주요 프로젝트>

업체명

프로젝트명

발주처

계약금액

(백만달러)

계약시기

대림산업

Sulfur Handling Facilities

KNPC

513

‘13.5

대우건설

Clean Fuel Project(CFP) MAB PKG 2

KNPC

1,135

‘14.04

신규 정유공장 PKG

KNPC

2,023

‘15.7

두산중공업

Doha RO 담수설비

MEW

390

‘16.5

토지주택공사

South Saad Alabdullah Smart City 마스터플랜

PAHW

38

‘17.4

현대ENG

Az-zour LNG 수입 터미널

KNPC

1,395

‘16.3

현대건설

Jaber Causeway

MPW

2,617

‘12.11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패키지 5

KNPC

1,501

‘15.10

아주르 LNG 수입터미널 프로젝트

KNPC

2,932

‘16.3

현대중공업

North Az-Zour IWPP

KAPP

973

‘13.12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패키지 2&3

KIPIC

1,155

‘15.9

GS건설

Doha Link

MPW

572

‘14.10

신규 수처리 시설 프로젝트

KOC

305

‘15.9

SK건설

Clean Fuel Project(CFP) PKG 1

KNPC

1,615

‘14.4

신규 정유공장 프로젝트 패키지 5

KNPC

435

‘15.10

자료 : 해외건설종합정보서비스 등


  산업 정책


 ㅇ 쿠웨이트는 석유 중심의 산업에서 탈피하고 걸프 북부의 지리상 이점을 살려 걸프 북부의 무역 및 금융 중심지가 되고자 목표를 세우고 국가 중장기 비전인 New Kuwait 2035 전략을 발표

  - 경제부분 주요 추진사항은 산업다각화와 민간부분 육성, 공공예산의 불균형 시정, 외국인 투자 유치 및 개발 촉진을 위한 인프라 제고 등


 ㅇ 산업단지 및 자유무역지역 운영

  - 쿠웨이트 정부는 총 13개의 산업공단과 1개의 자유무역지구를 운영

  - 입주 기업들에 대한 편의시설, 무이자 대출 지원, 설비 및 기계 수입 관세 면제 등의 혜택을 제공

  - 또한 쿠웨이트 공공 분야 프로젝트의 경우 쿠웨이트에서 생산된 제품 10%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강제


 ㅇ KDIPA(Kuwait Direct Investment Promotion Authority) Licence 제도

  - 외국인 투자 촉진 목적으로 2013년 외국인 직접 투자법을 개정 및 전담기관은 쿠웨이트 투자진흥청 KDIPA 설립

  - KDIPA에서 발급한 Licence를 보유한 외국기업의 경우 100% 지분 보유, 법인세 10년간 인하, 회사 설립에 필요한 과실 송금 보장, 투자 기반 시설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 등 다양한 실질적 인센티브를 제공

  - 2020년까지 외국인 투자금액 203억 달러 달성, 자국민 일자리 1000개 창출, 비석유 분야 GDP 증대를 목표


 ㅇ 창업지원제도

  - 쿠웨이트 정부는 중소기업 창업 및 확장을 지원하기 위해 2013년 20억 달러 규모의 SME Fund를 설립하고 아래와 같은 지원정책들을 추진


기관

지원내용

IBK

(Kuwait Industrial Bank)

 - 창업계획을 심사해 저금리로 최대 10년간 대출 

SME Fund

(National Fund for SME Development)

 - 스타트업 창업 희망자 대상으로 최대 3년간 자금 조달, 사업운영 멘토링, 업무공간, 직업훈련 등을 포함하는 스타트업 창업 패키지 제공

 - 스타트업 대상 업무 공간 제공 및 부지 할당

 - 상업은행과 협력해 현존 중소기업의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자금의 최대 80%를 저금리로 대출

 - 중소기업 대상 Business Consulting 제공 등

KBC

(Kuwait Business Center)

 - 사업자등록증(Commercial License) 취득에 소요되는 행정과정을 간소화한 One Stop 서비스센터 운영



□  진출유망산업

 

1. (보건의료) 진단키트, 방역 시스템 등 코로나19 관련 품목의 현지수요 공략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ㅇ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하여 쿠웨이트 내 진단키트와 방역시스템 관련 시장 급성장

ㅇ 쿠웨이트는 모든 보건의료 제품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 큰 비중을 수입

ㅇ 2020년 진단키트 수입 등으로 인하여 현지의 한국산 의료기기에 대한 인식이 크게 개선

 

 ◦웨이트 보건부 공공발주와 민간부문 진출을 위한 Two-Track 전략 수행

  - 코로나19 확산 이후 성공적인 한국의 방역 사례와, 진단키트 제품의 높은 신뢰도로 인하여 한국산 의료 제품에 대한 현지 수요와 이에 따른 수출기회가 크게 증가

  - 의료제품의 수출을 위해서는 쿠웨이트 보건부의 승인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관련분야 전문성이 높고, 현지 네트워크가 형성된 쿠웨이트 에이전트 선정이 중요

  - 진단키트, 의료기기 뿐 아니라 스마트 방역 관리 시스템, 병원정보시스템(HIS) 등 융복합 분야도 프로젝트 입찰, 시범사업 추진 등을 통해 참여가 가능

 

2. (소비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유망품목 발굴 및 적극적인 현지수요 공략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ㅇ 코로나19 이후 소비자들의 바뀐 니즈와 트렌드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적극적인 공략이 필요

ㅇ 코로나 이전과 비교하여 야외활동이 제한되다 보니 화장품, 의류 등에 대한 소비가 크게 줄었고 그 대신 식료품, 의약품 등 필수소비재에 대한 소비와, TV 등 전자제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

ㅇ 온라인쇼핑 문화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e커머스 사이트 입점 및 인플루언서 활용전략을 통한 온라인 유통채널 공략

   - Xcite, Souq, Blink 등 쿠웨이트 유력 e커머스 사이트 입점을 통한 시장진출 수행

  -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등을 활용할 경우 더욱 효과적인 현지 진출이 가능

  - 코로나 시대에 접어든 이후 전자제품, 가전제품, 홈트레이닝 용품 등의 소비재 제품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시장성숙도가 아직은 낮으나 밀키트 등의 식품시장 역시 유망

 

3. (언택트) 이러닝, 컨텐츠, 게임 등 언택트 시대의 수혜종목들의 시장진출 추진

시장여건 및 전략적 가치

ㅇ 코로나19 확산 이후 이러닝, 콘텐츠, 게임 등의 분야에 현지 수요가 크게 증가

ㅇ BTS, 베틀그라운드,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 등이 현지에 성공적으로 진출해 큰 인기를 끌고 있으며, 한국문화 및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성공적인 시장진출이 기대됨

 

적극적인 현지화와 마케팅을 통한 쿠웨이트 시장 공략

  - 코로나19 확산 이후 이러닝, 컨텐츠, 게임 등 언택트 관련 분야의 현지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관련 분야 기업들의 쿠웨이트 시장진출 기회가 확대

  - 자국 컨텐츠가 거의 전무하다보니 대부분 넷플릭스, 리그오브레전드 등 세계적인 인기 컨텐츠들을 소모하고 있으며, 베틀그라운드 등 한국산 게임 및 엔터테인먼트 역시 일부 진출해 인기를 끌고 있음

  - 이전 세대보다 한국에 대한 이미지와 호감도가 높아 한국 게임 및 드라마 등에 관심이 높은 쿠웨이트의 젊은 세대를 타겟으로 한 적극적인 마케팅과 현지화를 통해 드라마, 게임, 엔터테인먼트 등의 현지 진출 노력이 필요


# 자  료 : 쿠웨이트 중앙은행, 쿠웨이트 통계청, PAI, KDIPA,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0 쿠웨이트 산업 개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